• Title/Summary/Keyword: 항암효과

Search Result 1,58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Anticancer Effect and Mechanism of Photodynamic Therapy Using 9-Hydroxypheophorbide-a and 660 nm Diode Laser on Human Squamous Carcinoma Cell Line. (9-hydroxypheophorbide-a와 660 nm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광역학치료의 항암효과와 치료기전에 대한 연구)

  • Ahn, Jin-Chul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9 no.6
    • /
    • pp.770-780
    • /
    • 2009
  • A new photosensitizer, 9-Hydroxypheophorbide-a (9-HpbD-a), was derived from Spirulina platensis. We conducted a series of experiments, in vitro and in vivo, to evaluate the anticancer effect and mechanism of photodynamic therapy using 9-HpbD-a and 660 nm diode lasers on a squamous carcinoma cell line. We studied the cytotoxic effects of pheophytin-a, 9-HpbD-a, 9-HpbD-a red and 660 nm diode lasers in a human head and neck cancer cell line (SNU-1041). Cell growth inhibition was determined by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reduction assay. The effects of 9-HpbD was higher than those of 9-HpbD-a red or pheophytin-a in PDT. We then tested the cytotoxic effects of 9-hydroxypheophorbide-a (9-HpbD-a) in vitro. The cultured SNU-I041 cells were treated with serial concentrations of 9-HpbD-a followed by various energy doses (0, 0.1, 0.5, 3.2 J/$cm^{2}$) and by various interval times (0, 3, 6, 9, 12 hr) until laser irradiation, then MTT assay was applied to measure the relative inhibitory effects of photodynamic therapy (PDT). Optimal laser irradiation time was 30 minutes and the cytotoxic effects according to incubation time after 9-HpbD-a treatment increased until 6 hours, after which it then showed no increase. To observe the cell death mechanism after PDT, SUN-I041 cells were stained by Hoechst 33342 and propidium iodide after PDT, and observed und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principal mechanism of PDT at a low dose of 9-HpbD-a was apoptosis, and at a high dose of 9-HpbD-a it was necrosis. PDT effects were also observed in a xenografted nude mouse model. Group I (no 9-HpbD-a, no laser irradiation) and Group II (9-HpbD-a injection only) showed no response (4/4, 100%), and Group III (laser irradiation only) showed recurrence (1/4,25%) or no response (3/4, 75 %). Group IV (9-HpbD-a + laser irradiation) showed complete response (10/16, 62.5%), recurrence (4/16, 25%) or no response (2/16, 12.5%). Group IV showed a significant remission rate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9-HpbD-a is a promising photosensitizer for the future and that further studies on biodistribution, toxicity and mechanism of action would be needed to use 9-HpbD-a as a photosensitizer in the clinical setting.

담자균류 ${\beta}$ -글루칸의 특성 및 생산

  • Hong, Eok-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7-22
    • /
    • 2002
  • 지구상에는 수천종의 버섯류가 자생하고 있어 유전자원으로서의 중요성이 지대할 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소재 및 각종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신약개발 소재로도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 버섯은 균사체의 영양대사로 얻어지는 대사산물이 축적된 자실체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최근에 와서 자실체 및 균사체의 추출물이나 균사체 배양물이 체질개선이나 각종 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건강식품이나 의약품으로서의 용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담자균이 생산하는 특정 구조를 갖는 다당류는 오래전부터 종래의 화학요법제와는 달리 숙주내의 면역 기능을 부활하여 소위 면역요법제로서의 항암효과를 나타냄이 알려져왔었다. 현재까지 제약 및 의학적인 방법이 질병의 주된 치료방법으로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에 특정식품의 섭취가 만성질환의 발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킨다는 연구 보고가 나오면서부터 만성질환의 치료방법으로서 식이요법을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식품소재 및 가공식품의 개발을 통한 성인병 등의 각종 질병예방이 국민보건문제 해결에 필수적이다. 현재 일본 등에서는 표고버섯, 구름버섯 및 치마버섯 유래의 다당체 또는 단백다당체인 lentinan, krestin 또는 PS-K, schizophyllan 및 PSP 등이 실용화되어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야생 구름버섯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단백 다당체인 Copolang(광동제약)이 개발되어 PS-K와 유사하게 암의 치료에 병행 사용되고 있고, 또 강력한 항암활성이 보고된 상황버섯의 균사체 추출물인 단백 다당체가 Mesima-Ex FK(한국신약)라는 상품명으로 암의 치료에 병행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담자균류와 아울러 미생물 유래 다당체는 그 구조와 특성에 있어서 매우 다양함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 유래 다당류의 공업적 생산과 이용에 대한 연구로서는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생산하는 dextran이 혈장증량제로 개발된 이래 Xanthomonas campestris가 생산하는 pullulan, Zoogloea rgmigera가 생산하는zooglan둥이 대표적인 예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미생물 유래 다당류는 구성당, 분자량, 화학적 구조 등과 같은 특성의 차이에 의해 많은 종류가 존재하고 있으며, 다양한 물성 및 유화제, 응고제, gel 형성제, 필름 형성제, 흡착제, 안정제, 접착제 등과 같은 용도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미생물 유래 다당체가 지니는 항암활성이 확인되어 새로운 의약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그 밖에도 기존에 알려져 있는 식물 및 해조류 유래의 다당체와는 달리, 발효조를 이용한 연속배양에 의해 공업적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더욱이 생산된 다당체의 분리 및 회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유전공학적 기법을이용한 고생산성 변이균주 및 새로운 기능을 지닌 다당체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는 등 고부가가치를 지닌 새로운 바이오 소재로서의 기능 및 용도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담자균류중 Agaricus blazei로부터 생산되는 다당체는 고형암 이외에 S형 결장암, 난소암, 유방암, 폐암, 간암 등에 효과가 입증되었고, 천연물질에 의한 암 면역요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항암 및 항virus의 완치율과 저지율에서 현재 여러가지 약효가 있는 버섯중에서도 탁원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고 있다. 이들 다당체는 사이토카인을 생산시켜서 T임파구와 B임파구의 항원 특이적인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고, 세포장해성 T세포와 활성화 대식세포의 세포장해 기능을 충진시켜서 암세포를 파괴시킨다. 또한 콜로니 자극인자인 사이토카인을 생산시켜서 면역담당세포의 신생을 촉진시키기도 하며, 암의 화학요법과 방사선 요법으로 저하된 백혈구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최근의 연구동향은 생산된 다당체의 항암활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여 배양기간중에 interleukin을 의도적으로 첨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담자균체 유래 다당체는 버섯의 기원에 따라 그 형태에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기는 하나 그 기본 형태는 ${\beta}-(1,6)-glucosyl$ 분지를 가진 ${\beta}-(1,3)-glucan$이며, 평균 분자량은 50 ${\sim}$ 200만 정도이다. Agaricus blazei의 원산지인 브라질의 피에다데(Piedade) 지방의 환경조건(산지의 습도는 80%, 낮 기온 $35^{\circ)C$, 밤 기온 $20{\sim}25^{\circ}C$로 대단히 높으며, 정기적으로 열대지방 특유의 소나기가 내리는 지역)에서 볼 수 있듯이 Agaricus blazei의 성장 환경은 매우 까다로운 편이며, 날것으로는 보관이 잘 안되기 때문에 그 재배에 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고체배양에 의해 생산된 버섯 자실체로부터 유기용매 및 열수추출 방법으로 다당체를 생산하는 방법은 균일한 형태의 버섯 자실체를 공급받기가 어렵기 때문에 다당체의 생산 수율이 낮고,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액체배양에 의한 다당체 생산의 경우는 고체배양에 의한 다당체 생산에 비해 일정한 조건하에서 배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항상 균일한 균사체 및 배양액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유용물질을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Immuno-stimulating and Antitumor Effects on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Hericium erinaceus (노루궁뎅이(Hericium erinaceus) 자실체 추출 조다당류의 생쥐 Sarcoma 180에 대한 면역증강 및 항암 효과)

  • Choi, Yon-Il;Lee, Jae-Seong;Lee, U-Youn;Lee, Tae-So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0 no.4
    • /
    • pp.623-631
    • /
    • 2010
  • Hericium erinaceus, an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 belonging to the Basidiomycota family, has been used for curing gastric ulcers and stomach cancers in human beings and is also known to have good inhibitory effects on sarcoma 180 and Ehrlich carcinoma in mice. Neutral saline soluble (0.9% NaCl), hot water soluble and methanol soluble substan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 NaCl, Fr. HW and Fr. MeOH, respectively) were extracted from the fruiting body of the mushroom. In in vitro cytotoxicity tests, crude polysaccharides were not cytotoxic against cell lines such as Sarcoma 180, HepG2, HT-29 and NIH3T3 at concentrations of $10{\sim}2,000\;{\mu}g/ml$.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crude polysaccharides exhibited a life prolongation effect of 29.1~54.1% in mice previously inoculated with Sarcoma 180. Fr. Na increased the numbers of spleen cells by 2.9 fold at a concentration of $50\;{\mu}g/ml$ compared with the control. Fr. Na improved the immuno-potentiating activity of B lymphocytes by increasing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y 5.5 fold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a concentration of $200\;{\mu}g/ml$. Fr. NaCl increased the numbers of peritoneal exudate cells and circulating leukocytes by 4 and 2.3 folds at a concentration of 50 mg/kg, respectively. Therefore, the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he fruiting body of H. erinaceus could improve antitumor activities in mice.

Effect of Sparassis crispa Extracts on Immune Cell Activation and Tumor Growth Inhibition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추출물의 면역세포 활성화 및 항암 효과)

  • Kim, In-Kyu;Yun, Young Chul;Shin, Yong Chul;Yoo, Jiy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3 no.8
    • /
    • pp.984-988
    • /
    • 2013
  • Sparassis crispa is an edible mushroom with medicinal properties that contains more than 40% ${\beta}$-glucan. The role of S. crispa in regulating the functional activation of macrophages has yet to be fully elucida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the immune-stimulatory function of S. crispa soluble ${\beta}$-glucan and extracts on macrophages.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S. crispa soluble ${\beta}$-glucan was able to stimulate TNF-${\alpha}$ and IL-$1{\beta}$ production through NF-${\kappa}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We also showed that S. crispa extracts could not only enhance TNF-${\alpha}$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but also suppress tumor growth in vivo. All of our results suggest that S. crispa could be developed as a promising immunostimulatory principle, applicable to cancer patients.

담자균류의 약효성분의 개발에 관한 연구

  • 복진우;여경숙;최응칠;김병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53-253
    • /
    • 1994
  • 영지와 구름버섯의 원형질체 융합 균주 F-1의 배양 균사체로 부터 열수추출한 분획 Fr.I을 DEAE-cellulose ion chromatography와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분획 Fr.II, III, IV,로 분리 정제하였다. Sarcoma 180에 대한 종양억제율을 검사한 결과 Fr.IV는 68.73%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동계 복수암에 대한 수명 연장 효과도 140 %의 유의적인 결과를 얻었다. 면역 관련 장기의 중량에 대한 영향을 실험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간, 비장 및 흉선의 중량을 증가시켰고, 마우스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독성 작용을 보이지 않았으나 면역 실험을 실시한 결과, 마우스에서 용혈반 형성세포수를 1,36배 증가시켰으며 암이식군에서 감소된 T lymphocyte활성을 정상수준까지 회복시켰고 또, macrophage의 superoxide anion 분비를 2.25배 증가시켰다. 이로써 이 항암 성분은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Fr.IV히 분자량은 7.9$\times$$10^4$ dalton이고 75,57%의 다당체와 4.47%의 단백질로 이루어졌으며 그 다당체는 주로 glucase, xylose와 mannose로 구성된 heteropolysaccharide이었으며 그 단백질은 Alanine과 Valine을 위시한 15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Artemisia princeps(sajabalssuk), Pelargonium graveolens and Cymbopogon citratus (사자발쑥, 제라늄 및 레몬그래스 정유성분의 항균활성)

  • Cho, Yeon-Hee;Choi, Young;Jang, M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3.04a
    • /
    • pp.132-134
    • /
    • 2003
  • 독특한 향기와 향미를 지닌 식물성 천연 정유는 향수, 향신료 및 의약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특히, 정유를 이용한 면역성 증가(Buchbauer, 1991), 신경계 안정효과, 항암효과(Zheng, 1993), 노화억제 및 항균력(Sowthwell,1996) 등의 약리적 특성이 보고됨에 따라 천연정유를 산업적으로 응용하게 되었고,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Lawless, 1995). 식품 및 화장품업계에서 천연향신료, 천연방부제 및 감미료가 갖는 항균작용과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식물성 천연정유는 본래의 향미 기능 외에 부가가치가 더욱 상승되고 있다(Deans and Waterman, 1993). (중략)

  • PDF

남해산 해조류의 항산화 활성

  • 신정혜;주종찬;최덕주;권오천;성낙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4.07a
    • /
    • pp.45-45
    • /
    • 2004
  • 대사작용의 개선, 정장작용과 유독 물질의 제거, 혈압과 콜레스테롤치의 정상화, 항균 및 항암효과 등 다양한 생리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해조류의 기능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총 6종(진두발, 갈래곰보 꼬시래기, 돌가사리, 고장초 톳)의 해조류의 에탄을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실험하였다. 해조류의 환원력은 시료의 첨가농도에 비례하는 경향이었으며, SOD 유사활성은 고장초의 경우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첨가농도 500 $\mu\textrm{g}$/$m\ell$와 1000 $\mu\textrm{g}$/$m\ell$에서 각각 35.43%와 56.71%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중략)

  • PDF

국내 잡곡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 Jeong, Yong-Jin;Jo, Yong-Jun;Kim, Geon-U;Yun, Gyeong-Yeong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12 no.1
    • /
    • pp.31-39
    • /
    • 2013
  • 잡곡은 혈압강하, 당뇨병 질환, 고혈압 예방, 면역성 증가, 혈당강하, 항산화, 항염증 효과 및 항암효과 등 기능적 특성을 가지는 작물로서 최근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잡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잡곡은 현재 재배면적 및 생산량의 감소, 수입산에 대한 경쟁력 약화 및 농가 생산기피 등의 이유로 국내산 잡곡 생산량 및 재배면적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잡곡의 부가가치 상승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최근 국내 식품의 트렌드는 바쁜 사회생활 및 불균형한 식습관으로 인하여 편이식이 또는 식사대용 형태의 편이식이 제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잡곡을 활용한 indoor용 맞춤형 가공식품 개발은 바쁜 일상생활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으로 건강에 대한 우려가 있는 현대인들 특히 영양요구성이 가장 높은 청소년 및 고령층의 영양보충뿐만 아니라 수입산 잡곡에 대한 국내 잡곡시장의 경쟁력 강화 및 농가소득 상승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The Antioxidant and Antitumor Effects of the Extract of Bulnesia sarmientia (Bulnesia sarmienti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 Jo, Dae-Hyoun;Min, Kyung-Jin;Cha, Chun-Geu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2 no.2
    • /
    • pp.120-126
    • /
    • 2007
  • Present study have been performed to develop Bulnesia sarmienti as a functional food. Methanol,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extracts of Bulnesia sarmienti contained total phenol by 5.81 to 7.47%. It is high content than fruits which were known as high contests of total phenol.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the extract of Bulnesia sarmienti were in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extracts. At $500{\mu}g/mL\;and\;1000{\mu}g/mL$, the all extracts showde more than 80% of scavenging abilities, which means the equal effect of the antioxidant, BHT.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were measured as follows: methanol, butanol, 5.53, 5.77% at $100{\mu}g/mL$, respectively. The ethyl acetate extract was 73.29% at $1000{\mu}g/mL$ which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nd methanol, butanol, n-hexane, chloroform and water extract were 65.65, 65.02, 47.49, 52.51, 45.54% which also showed relatively high activities.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each solvent extract on tumor cell were as follows: test against SUN-1, the gastric carcinoma cell, exhibit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s at $100{\mu}g/mL$ where the n-hexane extract was 61.6%. The ethyl acetate and water extracts did not revealed any inhibitory effects. Hela, the uterine carcinoma cell, exhibit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s at $100{\mu}g/mL$ where the n-hexane extract was 75.1%. The water extracts did not revealed any inhibitory effects. HT-29, the colon carcinoma cell, also exhibit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s at $100{\mu}g/mL$ where n-hexane extract was 57.4%. In conclusion, Bulnesia sarmienti have been shown the antioxidant and antitumor effects, and that it is expected to be developed as functional foods.

Quinone Reductase Inductive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Hepatoma Cell of Oriental Melon Extract (참외 추출물의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 및 간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 Kim, Hye-Suk;Ku, Kang-Mo;Suh, Jun-Kyu;Kang, Young-Hwa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8 no.4
    • /
    • pp.448-453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anticancer activities of various parts, such as peel, flesh, placenta, seed, stalk and stem leaf of oriental melon. Chemopreventive and anticancer effects of oriental melon extract were evaluated by detoxifying enzyme, quinone reductase (QR) inductive activity, cytotoxic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hepatoma cell. Stalk and stem leaf extracts of oriental melon showed the increment of QR inductive activity with dose-dependent manner and induced quinone reductase 3.9, 1.5-fold at $200{\mu}g/mL$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oriental melon extract against mouse hepatoma cell (Hepa1c1c7) was investigated by crystal violet (CV) assay. Stalk and stem leaf of oriental melon showed potent growth inhibitory effect. Based on these result,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stalk, stem leaf at various concentration were examined in detail by MTT assay using human hepatoma cancer cell (HepG2). All of two parts showed growth inhibitory effects and expecially stalk exhibited inhibitory effect of 60.3% at maximum concentration.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stalk of oriental melon has a possibility as a source of natural cancer chemopreventive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