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중무역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형 절충교역 추진 모델 연구(구매자 측면)

  • 이재석;정태윤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년도 동계학술발표회
    • /
    • pp.355-389
    • /
    • 2009
  • 절충교역은 국방과학기술의 다양한 획득방법 중의 하나로써 국외로부터 무기체계를 구매할 경우 반대급부로 핵심기술, 방산물자 및 부품 수출 등을 획득하는 국제무역거래의 한 특수형태이다. 우리나라는 방위산업의 발전과 국방과학기술력 향상을 위해 1983년부터 절충교역을 추진하여 오고 있다. 절충교역은 일반적인 상업 무역거래와는 달리 절충교역 추진국가가 기술 수혜국으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여 성공적인 기술이전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절충교역 추진과장상의 운영의 묘미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그동안 절충교역 추진 효율성을 강화하고 실패사례를 줄이기 위해 절충교역 추진 목적과 정책을 전략적으로 개선하여 절차화 표준화해오고 있다. 최근 방위사업청 개청 이후 절충교역 추진 정책의 방향을 목표지향 성과지향적으로 설정하고 다시 한번 제도를 개선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책적 방향성에 부합하는 실무적 절충교역 추진 모델은 미흡하여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절충교역 제도의 완성도를 높여 우리나라의 국방과학기술력 향상과 방위산업 육성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선순환 구조의 한국형 절충교역 추진 모델을 개발 제안한다. 제안하는 한국형 절충교역 추진 모델은 현행 제도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개선 필요사항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전체 절충교역 추진절차를 식별(Detecting), 확보(Securing), 이전(Transfer), 활용(Applying), 확산(Diffusion)이라는 다섯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의 성공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 PDF

한.중.일 정보 인프라 구축을 통한 전자무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ilitation of Electronic Trade by Establishing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 이충배;이정민
    • 통상정보연구
    • /
    • 제4권2호
    • /
    • pp.131-153
    • /
    • 2002
  • An information technology revolution is sweeping the world driven by digitalization and tremendous popularity of the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and trade is the mainstream of this trend, and realization of a cyberspace without physical, spatial, and time restraints has led radical structural changes in international trade. Northeast Asi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a core economic region in terms of economic growth, intra-regional trade in particular. The introduction to electronic trade system and networks would playa vital role in speeding up trade of commodities, service and information etc.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xamine a scheme to facilitate international trade in Northeast Asia by establishing information infrastructures. The study begins with reviewing current situation in information infrastructure such as the number of PC, utilization ratio of internet, information network, volume of electronic commerce. It is analyzed that what kinds of obstacles to facilitating electronic trade in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terms of physical infrastructure, institutions, regulations, technologies regarding information exchange among countries. Finally this study presents some suggestions in order to remove the problems currently existed in vitalizing electronic trade.

  • PDF

한.중 통상분쟁의 해결과 한국의 대응 (The Trade Dispute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Its Preventive Measures of Korea)

  • 이승영;이건형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17권3호
    • /
    • pp.81-9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rade disput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erms of broad industrial policy concept and to derive some solution. It provide first a historical overview of the basic theory for the trade policy in the developing countries to see how the trade policy evolved the different stage of option and then try to highlight features of China's trade policy development after the capitalization. An attempt is also made to review the trade dispute in Kimchi in order to identify what are the underlying reasons for policy failure. Finally, we will try to suggest trade strategy with major policy directions which could be relevant for trade development of Korea today. The trade dispute issue with China has been newly coined referring to Korea's weakening economic stance among the two powerful Asians countries, China and Korea has always been closed partners geographically and economically. The study has stressed that the Koreans should not recoil from the trade crisis but to consider it as an opportunity. Rapidly growing Chinese manufacturing industry has heightened the importance of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indicating conversion in specialization from vertical to horizontal, according to the economic research so far. This paper has proposed strategy to cope with any trade disputes between Korea and China.

  • PDF

베트남의 통상정책과 한·베트남 통상협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etnam's International Commerce Policy and Commerci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Vietnam)

  • 강영문
    • 무역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7-116
    • /
    • 2017
  • 한국과 베트남은 1992년 국교를 정상화한 이후 통상관계가 괄목할만 성장을 하여 한국은 베트남에서 외국인투자 1위 국가가 되었다. 베트남은 WTO 가입 등을 통해 통상관련 제도 등을 선진화하면서 국제통상에서 가장 각광받는 나라중에 하나이다. 베트남은 한국의 대아세안 통상정책에서 중요한 통상파트너이다. 또한 베트남의 미국, 중국, 일본과의 통상관계는 한국의 통상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연구는 베트남의 통상정책을 경제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정치적, 국제관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분석하여 한국과 베트남의 통상증진의 방안을 미시적인 양국의 통상관계 뿐만 아니라 다자간 통상협의체의 관점과 미중일의 삼국간의 관점에서 거시적으로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자동차 소음.진동 대책의 현황과 장래 (Vehicle N.V.H - Today and Tommorrow)

  • 이충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과학연구소, 21 May 1993
    • /
    • pp.5-13
    • /
    • 1993
  • 최근 인간의 생활을 가장 크게 바꾸어 놓은 수단중 하나가 바로 자동차이며 자동차문화라는 새로운 환경에서의 생활에 점점 더 익숙해져 가고 있다. 한 편 치열해지고 있는 무역전쟁, 경제전쟁에 있어서는 자동차가 가장 큰 주목 을 받고 있으며,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것이 곧 오늘날 의 국제 경쟁에서 승리 할 수 있는 중요한 관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자동차 기술의 발달 과정은 크게 두 가지 요소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노 력의 결과로 점철되어 왔다. 이들은 주위 환경 여건과 소비자의 욕구로 볼 수 있으며, 전자의 경우는 환경 보전과 사회적, 법적 측면에서 요구되는 자 동차의 구조, 성능 기준이고, 후자의 경우는 순수하게 고객 즉 사용자의 입 장에서 본 욕구이다(물론 이들 두 가지가 완전히 독립된 것은 아니다). 따라 서 자동차의 기술 발달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향들은 이들 두 가 지 요소에 포함된 특정한 구조나 성능들이 주요 관심사로 되는 것과 부합되 어 나타나기 마련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최근의 자동차 관련 기술중 관 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공해, 안전, 성능, 경제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당연히 자동차 산업의 사활을 좌우하는 요소임에 틀림없다.

  • PDF

일본기업 REACH 대응 설문조사 (Results of questionnaire on Japanese companies$^\circ\phi$ response to REACH)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169호
    • /
    • pp.58-64
    • /
    • 2007
  • 지금까지의 국제환경규제 중 가장 강력한 환경규제로 평가되는 유럽연합(EU)의 REACH(신 화학물질 관리제도)가 다음달인 6월 발효된다. 이 제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유럽 수출길이 막히게 돼 국내 기업들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REACH가 가장 강력한 환경규제로 꼽히는 이유는 규제 대상의 광범위성 때문이다. 화학제품은 물론 전자, 자동차, 생활용품 등 완제품에 함유된 화학물질도 모두 등록 대상으로 총 3만종이 넘는다는 게 EU 화학물질관리청의 추정이다. 그러나 문제는 REACH가 EU 수출에 있어 거대한 무역 장벽으로 등장하고 있지만 국내 산업계의 대응은 아직 크게 미흡하다는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REACH의 개념조차 제대로 모르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부가 지난해 말 EU에 수출하고 있는 32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률은 127개(회수율 4%)밖에 안됐으며 설문에 참여한 117개 중소기업 중 제도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다는 답변이 36%나 됐다. 본 고에서는 일본기업 REACH 대응 설문조사 결과 내용을 통해 국내 인지도와 비교해 봄과 동시에 REACH 제도에 대응하기 위해 나아갈 방향을 조명해 본다.

  • PDF

한국 중소기업의 uTradeHub 활용 및 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Usage and Performance of the uTradeHub in Korean SMEs)

  • 문희철;조품
    • 통상정보연구
    • /
    • 제15권1호
    • /
    • pp.333-356
    • /
    • 2013
  • 본 연구는 uTradeHub시스템의 정식운영이 개시된 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uTradeHub시스템 활용실태를 분석하고, 다수의 표본기업들을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이 uTradeHub시스템을 활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활용요인과 uTradeHub시스템의 활용수준 및 성과의 인과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글로벌 전자무역의 활용전략과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협력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uTradeHub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회원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한 결과 uTradeHub시스템의 활용 요인 중 기업외부요인으로는 산업내 경쟁강도와 거래강도, 기업내부요인으로는 최고경영자의 지원, 정보화 요인으로는 기업의 IT인프라와 정보화 훈련정도 등이 uTradeHub의 활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uTradeHub시스템의 활용도는 전자무역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신용장발행은행의 독립지급의무의 실무적인 운용과 예외 (Exceptions and Practical Operations to Independent Payment Obligation of Issuer under L/C Transactions)

  • 김선옥
    • 무역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89-110
    • /
    • 2018
  • 본 연구는 신용장거래에서 은행의 독립지급의무 및 이 의무에 대한 예외적인 취급원칙과 방향에 대한 문제를 소재로 취급하였다. 독립원칙과 독립원칙에 대한 예외문제는 신용장의 본질에 관계되지만 국가마다 이러한 문제를 취급하는 태도에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에서의 태도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원칙과 예외문제를 취급한 판례 중에서 지도적인 판례로 인정되는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독립원칙과 예외문제를 취급하는 영국의 입장을 분석하였다. 영국법원은 가능한 한 상인들 간에 형성되어 온 상관습을 존중하려는 입장을 취해 왔으며 독립원칙의 실무적인 적용에 있어서도 이러한 입장을 반영하여 독립원칙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개개의 사안마다 당사자의 형평을 고려하여 예외문제를 취급하여 왔다. 그러나 미국의 Sztejn 사건을 계기로 하여 영국에서도 독립원칙의 적용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보여 신용장거래에서의 사기뿐만이 아니라 기초계약에서의 사기도 독립지급의무에 대한 예외사유로서 인정하기 시작하였다. 그렇지만 독립원칙에 대한 예외의 운영방식에 따라 신용장제도의 존재의의가 상실될 우려가 있고 또한 발행의뢰인에 의해서 예외적용을 남용할 가능성도 있다는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영국은 비록 사기적인 요소가 존재하지만 수익자 자신이 선의의 입장에 있는 경우에는 수익자를 보호하는 입장을 채택함으로써 예외인정과 예외의 남용문제 간의 조정을 도모하고 있다.

  • PDF

한·중 기술무역장벽의 경제적 효과 추정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 of Technological Barrier to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 하태정;전주용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1호
    • /
    • pp.469-49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중국간 기술무역장벽(TBT)의 경제적 효과를 국제투입산출분석법(IIO)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WTO 출범과 FTA 확산으로 관세나 수량할당 등의 관세 혹은 비관세 장벽은 크게 감축 내지 철폐되고 있으나 대표적인 비관세 장벽 중의 하나인 기술무역장벽(TBT)의 영향력은 오히려 강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 결과 각국의 정부 및 학계의 TBT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TBT의 경제적 효과를 수량적으로 분석하려는 실증 연구들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적으로는 TBT 관련 연구가 TBT의 개념 및 동향, 관련 제도 및 정책 등에 대한 문헌 고찰 수준에 머물고 있어 TBT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정량적 분석은 거의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깝고 또한 교역량이 급증하고 있는 중국을 대상으로 양국간 TBT의 경제적 효과를 생산과 고용의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추정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기초자료로는 하태정 외(2010)의 예비연구에서 추정한 산업별 TBT와 IDE-JETRO에서 발간한 아시아국제투입산출표(AIIO)를 이용하였다. 추정결과는 생산에서 최대 363억 달러의 생산유발과 고용에서 최대 181만 명의 고용유발이 예상되었다. 그러나 양국간 산업 및 지리적 연관관계는 높지 않았으며 중간재의 투입률과 배분율에서 중국의 산업들은 전반적으로 한국의 산업들보다 높고 대외의존성은 상대적으로 한국이 높게 나타났다.

새해기상도 - 2017년 거시경제 전망

  • 민성환;강두용
    • 광학세계
    • /
    • 통권167호
    • /
    • pp.19-23
    • /
    • 2017
  • 최근 국내 실물경기는 수출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건설투자 중심으로 내수가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내수는 설비투자가 부진한 반면 건설투자가 높은 증가세를 보이면서 전체 성장을 주도하고 있고, 민간소비는 완만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수출은 전년에 이어 감소세가 지속 중이나, 금년들어 감소폭이 줄어들고 있다. 전체적으로 수출 부진에 따른 성장 둔화를 건설투자가 보전하는 구조로, 경제성장의 건설투자 의존이 심화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2017년 세계경제는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전년보다 소폭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선진권의 경우 비교적 꾸준하고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나, 중국은 완만한 성장 둔화 추이가 이어질 전망이다. 유가는 세계경제의 소폭 개선과 OPEC의 감산 합의 등으로 2017년 중 평균 배럴당 50달러 내외로 높아질 전망이며, 원/달러 환율은 연중 비교적 높은 변동성을 보이겠지만, 연평균 기준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1,150원대)이 예상된다. 2017년 국내경제는 수출 부진이 다소 완화되겠지만, 2016년 경제성장을 견인해 온 건설투자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고 구조조정 등이 민간소비 증가를 제약하면서 전년보다 약간 낮은 2.5% 내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비로는 상${\cdot}$하반기 비슷한 성장이 예상되지만, 전년 패턴의 기저효과로 전년동기비 성장률은 소폭의 上低下高 흐름이 예상된다. 대외적으로는 미국 신정부의 정책 기조와 연준의 금리인상, 중국의 성장 둔화 폭 확대 가능성 등이, 국내적으로는 가계부채 문제와 구조조정 여파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간소비는 유가 반등에 따른 소득 증가세 둔화, 가계부채 부담, 구조조정 여파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전년보다 소폭 낮은 연간 2% 내외의 증가세가 예상된다. 설비투자는 수출 부진의 완화에 힘입어 소폭 증가세가 예상되며, 건설투자는 전년의 높은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건설규제 등에 따라 증가세가 크게 둔화될 전망이다. 수출은 세계경제의 소폭 개선과 유가 반등에 따른 단가 하락세 진정 등으로 증가세로 돌아설 것이나, 매우 완만한 흐름이 예상된다. 2017년 수출은 2.1%, 수입은 3.6% 증가하면서 무역수지는 전년보다 약간 줄어든 857억 달러의 흑자를 보일 전망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