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패션 디자이너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3초

최근 오뜨꾸뛰르 복식에 표현된 개더(Gather)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sticity of the Gather Represented in Haut Couture)

  • 강숙녀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25-33
    • /
    • 1998
  • 오뜨꾸뛰르 복식은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창인 할 뿐 아니라 복식의 고유한 요소 즉, 수공예 적이며 전통고수의 성격을 강하게 갖으면서 20세기에 들어와서는 대중적 요소가 결합되어 세계모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요소는 개더의 고유한 구조 자체가 갖고 있는 기술 구사 적 측면으로서만이 아니라 기본적인 기술적 요소가 현대의 여러 사조 및 소재나 복식디자인 적 요소와 유합 하여 복식의 기능적 측면과 장식적인 측면이 융합되어 착용 자나 디자이너에게 있어 미적 표출과 감성적인 측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20세기는 새로운 예술운동의 범람과 전위적 운동의 전개로 전통적 장르가 붕괴되거나 혼합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믹싱 현상은 트랜드의 부재, 패션의 부재라 할 수 있는 해체주의 적 경향을 띄게 되어 최근 오뜨꾸뛰르에 나타난 개더의 유형으로 아이템이나, 소재, 디자인에서 혼합적 양상이 개더의 디테일 적 요소와 유합, 상충, 병치되어 등 인위적인 구성인 복합구성의 자유로운 형태로서 다종다양하게 나타났다.

  • PDF

한국 패션디자이너 작품에 나타난 여성적 숭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emale sublimity represented on Korean fashion designers' works)

  • 지정숙;이예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6호
    • /
    • pp.898-918
    • /
    • 2022
  • Contemporary fashion research has paid increasing attention to the sublimity in the context of postmodernism. Sublimity is considered essential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s it arouses complex emotions which verbal expression cannot describe. Therefore, contemporary fashion designs need to b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sublimity. Through a detailed review of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discusses Kantian and Lyotardian sublimity as main theories representing conventional and cotemporary concepts of sublimity. This paper selected five Korean fashion designers who won the prize of Samsung Design Fund from 2006 to 2019 and actively introduce their works every year. Image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ir designs introduced from 2018 S/S to 2019F/W at their website. In addition, formative and colo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hanging features of s sublimity. Major finding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ll designers' collections reflected both male and female sublimity with the respect to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Color characteristics of sublimity indicated that Jeong, Wook Jun's collections represented features of male sublimity and other designers works showed elements of female sublimity. Essentially, the typical contemporary concept of the sublimity was found in the designs of Seo, Hye In. Consequently, female sublimity is more inclusive than male sublimity, while being opened to otherness.

고부가가치 패션제품개발을 위한 오뜨꾸뛰르 디자이너 복고적 재킷디자인 분석 (An Analysis on Retro Jacket Designs of Haute Couture Designers for the Development of High-Value Added Fashion Products)

  • 김언정;유영선
    • 복식
    • /
    • 제64권3호
    • /
    • pp.77-9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xpression methods of Haute Couture designers' high value-added jacket design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positions and sizes of the design component items of tailored jackets designed by Haute Couture designers from the 1940s to the 1970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ilhouette changed while leading the contemporaneous fashions, and such changes could be confirmed by the width and length of the jacket's shoulder, chest, waist, and hem that determine the silhouette. Particularly, the length of the chest changed which signifies that the depth of the armhole w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high value-added jackets in relation to the sleeves and the fit of jackets. Second, the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dart are the components that can express the fit of a jacket and the designer's creativity, The starting point position of the dart and the position passing by waist, and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dart were placed in the position beyond B.P. depending on the designer's creativity and techniques, deriving the changes of the silhouette and creating high value-added jackets. Third, the tailored collar, which was a three-dimensional component made up of the upper collar, gorge line, lapel, and break line, was an important component that could express high value-added jackets. Changes in the width and the height of the break line position of the sides of the neck were represented as changes in the neck size of the collar, and changes in the vertex locations of the upper collar corner-point, the gorge line (the corner-point of the lapel and V zone) were also represented as diverse tailored collar designs. And the differences in the width and the length of each component of the collar were related to each other and represented as changes in the slope and angle of the collar outline. Fourth, the changes in sleeve designs of the jacket were in such items as the width of the sleeve opening, the width of the sleeve hem, and the length of the sleeve, and were represented as diverse sleeve designs such as widened sleeve opening types, and straight line types.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 1980년대 이후 한국디자이너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eauty of Traditional Dress Expressed in Korean Fashion Design)

  • 최세완;김민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3-11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daptation of beauty of traditional dress depicted contemporary Korean fashion design. For this purpose, the external form and the internal meaning based on 'the double roots' proposed by W$\ddot{o}$lfflin were analyzed in Korean traditional dress. Documentary studies and objective studies were done with descriptive and content analytic methods. And homospatial process was devised in order to develop the traditional identity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the external form, H. O. A silhouette, chogori, ch'ima, paji, and po concerning internal type, kaftan, flat form related to structured type were represented. Traditional color sense were love of white, contrasting as well as analogous color harmony shown often in nature phenomena, and temperate achromatic color harmony. Texture were characterized as rough and coarse expressing vividness, fine and smooth expressing delicateness and tenderness. As the internal meaning, the beauty of purity related to nature, tragedy, and symbolism were represented. 2. Since 1980's. Korean fashion designers frequently applied unstructural kaftan form and H silhouette to Korean fashion design, and sought natural and pliable line in whole dress. Use of white and achromatic color harmony as well as use of linnen were prominent. Designers' aesthetic consciousness was pursuit of the beauty of nature. Representative designers who concentrated on expressing traditional beauty were Lee Shinwoo, Sul Yoonhyung, Jin Taiok and others. 3. A homospatial process could be a method in the creative design which enables to express Korean identity in fashion design, and could suggest ideas of new designs full of Korean identity by superimposed and fused imaginery.

  • PDF

현대 패션에 나타난 버내큘러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ernacular Designs in Modern Fashion -Focused on Korean Designers-)

  • 주신영;전재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96-809
    • /
    • 2014
  • This study identifies formativeness and the Korean consciousness of the vernacular design in a Korean designers' collection in order to discover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expression elements. The study is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and an analysis of cases collected from Korean fashion designers' clothes. Research is limited to international collections of clothes presented by Korean fashion designers since 2,000. The process of Korean vernacular designs in fashion were analyzed for formativeness in form, color, pattern and detail. The research findings identified formativeness and Korean's consciousness of modern fashion designs that reflect vernacular designs as follows. First, they are round, flexible line and shape based on assimilated with nature, rhythmic curve to express life force and asymmetry based on an ecstatic world based on nature. Second, a white color explained the pure mind and racial peculiarities in regards to the five colors that expressed the thinking of traditional rituals such as prayers for comfort of life and ancestor worship. Third, there were patterns around shape of nature, praying, and Korea culture. Finally, there were skills of Korean traditional handcrafts such as embroideries, knit-works, gold foils, and quilts where clothes expressed the hardship of life and strong willpower to overcome. In conclusion, the clothing of Korean vernacular designs contains characteristics such as natural beauty, decorativeness, shamanism, and eclecticism.

뉴욕 거주 한국인 디자이너의 일상생활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veryday Life of Korean Designers in New York)

  • 오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26-340
    • /
    • 2017
  • This study explores the daily life of Korean designers in New York. We use in-depth interviews within the daily lives of participants to first reveal the time structure and meaning of everyday life. In this everyday time frame, this study reveals the content and meaning of life in New York, which is especially useful for fashion majors. Participants were 11 single Korean women around 30 years old working as designers in New York. Data was collected from Manhattan, New York, from November 2013 to February 2014 through the use of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Data collected daily life information on time usage, money, and energy that is first summarized into 229 meaning units. In the following, 55 central meanings were derived from stories common to behaviors for study participants and 19 subcategories were compressed into academic language. Finally, the generalized categories a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of study life, work life, future life, family life, leisure life and fashion life. As a result of the first study, the daily time structure consisted of customary public time and personal repeat time. Second, the customary public time categories included the studying for 'Beginning to jump again to the best', 'Now working as a designer in New York', and future life expecting 'Future growing as a career woman'. Repeated personal time categories include family life: 'A single life of a lonely and poor gentile', leisure life: 'Healing life that is supported by abundant advanced culture', and fashion life: 'New York fashion life coexist with harmony'. Third, work was the center of everyday life for study participants versus fashion and leisure that were central to everyday life when not working.

섬유.패션디자인을 위한 컬러코디네이션 지원모델 개발 (A Study on the Color coordination System to fashion)

  • 정재우;이재정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67-174
    • /
    • 2005
  • 본 연구는 컬러 코디네이션 지원모델과 도구를 개발하여 디자이너의 감성적 직관적 의사결정을 객관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선행연구인 '섬유컬러 그루핑 체계에 관한 연구'에서 제안된 컬러 그루핑 체계와 대표 어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배색 그룹의 설계를 통해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컬러 코디네이션지원 모델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컬러 그룹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컬러 도출을 위해 $1999{\sim}2003$년까지의 5년간 세계 4대 collection, 2002 F/W 2003 S/S 시즌의 Street 패션, 자 그룹별 대표 브랜드에서 총 687개의 컬러를 수집하였다. 둘째, 687개의 수집된 컬러는 비색 그룹을 위한 추출을 위해 3단계의 과정을 거쳐 총 144색의 컬러로 정리하였다. 셋째, 최종 추출된 컬러는 선행전구에서 제안한 그루핑 체계인 브라이트, 파스텔, 딥, 뉴트럴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4개의 대그룹은 다시 12개의 소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넷째, 제시된 각 그룹 내의 색깔은 그룹 내에서의 코디네이션은 물론, 타 그룹과도 서로 대치 될 수 있는 크로스 오버코디네이션 개념을 도입하여 커러 코디네이션 체계를 구축하였다. 다섯째, 위와 같이 계통 색조별 4개의 대표 그룹(12개의 소그룹)으로 된 배색 체계를 구성하는 총 144개의 컬러를 섬유패션 디자인 산업의 대표 소재라 할 수 있는 면사에 염색하였다. 또한 글로벌 비즈니스로서의 패션 산업적 특성과 연관 디자인 산업분야와의 호환성을 고려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색상에는 팬 톤 컬러 기호와 CMYK 값을 명시했다. 여섯째, 완성된 면 소재의 얀(yarn)을 크로스 코디네이션이 용이하도록 디자인된 용기에 포장하여 패션 실무자들이 쉽게 활용 할 수 있는 컬러 코디네이션 시스템을 완성하였다.

  • PDF

안경디자인의 엔드피스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lasses Design about Construction of an End Piece)

  • 강민수;김인수;강성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49-258
    • /
    • 2006
  • 안경이 가지는 기능은 많다. 예전의 의료용구 기능과 더불어 현재의 패션과 접목되는 액세서리 역할과 개인이 표현의 매개체가 될 수 있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안경이 가지는 여러 가지 목적과 용도에 따라서 많은 콘셉트가 적용된다. 안경 디자인을 하는 디자이너 입장에서 보면 사용자가 사용상에서 가지는 문제점과 니즈를 철저히 분석하여 표면적으로 보이는 아름다움보다 제품이 튼튼하고 사용하기 편리함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연구사항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소비자가 항상 최고의 디자인을 원하기 때문이다. 최고의 디자인이 갖추어야 할 요건은 독창성, 만족감, 사용 편의성, 정체성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이것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통용되는 디자인 요소로 적용하고 동사에 국내 안경 산업이 한 층 더 발전하는데 촉매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최고의 디자인을 위해 가장 기초적으로 연구 되어야 하는 안경의 부품이 바로 엔드피스이다. 이것이 가지는 중요성은 안경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하므로 사용자의 착용감에 밀접한 영향을 준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고 현재 안경 산업에서 문제화 되고 있는 모방에 관한 불신을 해소시키는 동시에 해외 안경 업체들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특별한 구조의 엔드피스를 다자인해야만 한다.

  • PDF

퍼지이론을 이용한 색채계획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Planning System Based on Fuzzy Set Theory)

  • 엄진섭;이준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55-64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퍼지이론을 이용하여 방이나 사무실 등의 색채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로 조화로운 색채공간으로 설계해 가는 의사결정 보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여기서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란 색채공간이 주는 여러 가지 감정효과를 의미하고 이는 '낭만적인','우아한' 등의 형용사로 표현되며 조화로운 배색이란 원하는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색채계획이 조화를 이루는 배색을 의미한다. 개발된 색채계획 시스템은 색채공간을 그리기 위한 2차원 그래픽 툴,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를 입력하는 입력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주색을 결정하는 주색 결정부, 주색과 조화를 이루는 조화색 결정부, 추천된 색을 수정하는 미세 색조정부 등의 5가지 부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색채계획 시스템은 인테리어 디자인의 색채계획에 있어서 일반사람들이나 디자이너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패션 디자인, 상품 디자인 등의 유사한 색채계획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거으로 기대된다.

  • PDF

빅데이터를 배경으로 한 여성 가방 실용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Research on the Practical Design Process of Lady Bags Through Big Data)

  • 왕요화;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91-199
    • /
    • 2021
  • 본 논문은 조사 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여성 가방에 대한 단계별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축하였다. 이 디자인 프로세스는 조사 연구, 개념 도출, 단계별 디자인, 디테일 개선 등 네 가지 단계로 구분되어 있다. 여성 가방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비중에 근거하여 핵심 요소 데이터를 분석하고, 신제품 디자인과 관련된 요소를 추출하여 개념을 조합한 뒤 단계별로 나누어 디자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로써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비중을 가늠하고, 최종적으로 신제품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이 프로세스는 디자이너에게 새로운 디자인 각도를 제공해 패션 디자인의 실효성과 실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실험으로 입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