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지형학회

검색결과 7,571건 처리시간 0.039초

국지풍이 소규모만의 해수유동에 미치는 영향

  • 이충일;김동선;조규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44-245
    • /
    • 2001
  • 육상 환경과 인접해 있는 연안해양환경은, 그 변화 특성이 매우 독특하며 복잡하게 나타난다. 해양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 중에는 해류와 조류 등과 같은 유체의 운동의 역할이 크다. 특히 바람과 같은 기상환경인자는 해표면의 유체의 운동에 큰 영향을 주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유체내의 입자물질(적조생물, 유류 등)의 집적 및 확산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우리 나라는 계절풍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지역이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주변 지역과의 기압배치 및 지형적인 요인등에 의해서 그 특성이 충분히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적인 국지풍은 만과 같은 소규모 지역에서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된다. (중략)

  • PDF

인도네시아 수역에서의 물때와 조업시간에 따른 트롤의 어획량 변동

  • 김광홍;김형석;정순범;오택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71-72
    • /
    • 2001
  • 접근하는 어군을 기다려서 어획하는 연안의 정치망과 같은 고정식 어구는 지리적인 여건과 지형적인 특성이 해황의 변동과 더불어 어획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어군을 쫓아서 조업하는 어구의 경우는 어구ㆍ어법의 개량 등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고, 해황의 변동으로 인한 어획량의 감소가 있을 경우에도 어군을 찾아서 어장을 이동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중략)

  • PDF

산불로 인한 해양 환경 오염원에 대한 미역(Undaria pinnatifida)의 활력 측정

  • 강세은;최재석;홍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03-204
    • /
    • 2001
  • 산불의 발생은 산림 내에서 낙엽, 낙지, 초류, 임목 들의 연소로서 산불재 및 질소, 인 ,칼륨 등의 식물 영양염류와 토사 등이 산지에서 이탈되어 하천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산지와 해양이 인접한 지형에서는 하천에서의 자정작용 없이 곧바로 해양으로 유출되어 해양생물의 생태계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해양 생태계에서는 하천의 오염원 유입으로 인하여 일차적으로 강 하구의 고착생물 즉 해조류들에 영향을 줌으로써 해양환경 오염에 대한 indicator 생물로서 이들 해조류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중략)

  • PDF

대한해협 서수도 중앙에서 조류와 해류의 연직구조

  • 조규대;이재철;김호균;윤종환;김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40-241
    • /
    • 2001
  • 대한해협은 대마난류가 동해로 유입되는 통로이고 대마난류의 변동은 동해의 해수순환에 많은 영향을 준다 대한해협에서 해류에 대한 연구는 지형류계산에 의한 것(Yi, 1970)을 시작으로 해류계의 계류관측이 여러차례 수행되었으나(Shim et at, 1984; Lee et al, 2001), 대부분 20∼40일 정도의 단기간에 한정되어 해류의 장주기 변동성을 규명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에 걸친 해류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대한해협의 조류 및 해류의 연직구조와 그 변동성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중략)

  • PDF

동해중부 연안 저서어류의 분포 특성

  • 전영열;황선재;허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13-414
    • /
    • 2001
  • 우리나라 동해는 남해나 서해와는 달리 수심이 깊고 해안선이 단조로우며 급경사를 이루는 곳이 많은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연안역은 생산성이 높은 해역으로 수 많은 해양생물이 산란, 생육 및 섭식의 장소로 이용하고 있어 어장으로서 가치가 매우 높은 곳이다. 특히 동해 중부연안은 동한난류와 북한한류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해역으로서 한ㆍ난류성 어류 및 표 저층성 어류 등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고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Bouncing Model of Spinning Ball based on Real Trajectory (실측 기반 회전공의 튐 모델)

  • Baek, Seong-Min;Kim, Myu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C)
    • /
    • pp.421-42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빠르게 회전하는 공에 대한 바운싱 모델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바운싱 모델은 충격량을 기반으로 공의 회전력, 지면의 탄성 및 마찰력을 고려한다. 제안된 모델의 정확도를 측정하기 위해 그린, 페어웨이 및 러프 지형에서 공의 궤적을 촬영하고, 영상으로부터 공의 실제 궤적을 추출하여 비교한다. 시뮬레이션 모델은 실제 궤적을 기반으로 튜닝함으로써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본 바운싱 모델은 실감형 스포츠 게임에서 보다 사실감을 높일 수 있다.

An Icon and Label Replacement Algorithm for Generating Schematic Map (도식화된 지도 생성을 위한 아이콘과 레이블 배치 알고리즘)

  • 류동성;박동규;이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596-59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아이콘과 레이블을 가진 도식화된 지도(Schematic map)를 생성차기 위한 아이콘과 레이블의 효과적인 배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먼저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원시 정보를 파서로 분석한 후, 지형도 데이터에서 시각화에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한 후 이들 선분에 대하여 선분 간략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기도를 생성한다. 그리고 장식 및 정보의 표기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아이콘 및 레이블 정보들의 특징을 반영하여 후보 영역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후보영역 내에서 중첩이 발생하기 않으면서 아이콘을 설명하는데 적절한 최적화된 위치의 레이블을 배치하여 이들의 배치 값들 중 최적의 값을 얻은 후 이 최적의 위치에 아이콘과 레이블을 배치하도록 하였다.

  • PDF

Techniques for Building Remote Sensing Databases (원격탐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술)

  • 이용주;정진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150-15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요구사항들을 분석하고, 원격탐사 자료의 메타 데이터 스키마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한다. 특히, 현행 지형 공간 표준화 스펙을 따르는 자료구조가 연구되고, OMEGA(Object Management systEem for Geo-Spatial Applications)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을 사용하여 SAIF(Spatial Archive and Interchange Format)를 기반으로 한 스키마 구현에 관해 기술한다. 이 연구는 차세대 데이터베이스 기술(예를 들면, 복잡한 데이터 타입 지원, 병렬처리, 사용자 편의성 인터페이스, 그리고 웹(Web) 데이터베이스 기술)에 대한 사전 기초 연구로써 실험적인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되어 졌다.

  • PDF

A Design of 3D Visualization Model based on GIS (GIS 기반의 3차원 시각화 모델의 설계)

  • 한정규;황수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27-29
    • /
    • 1999
  • 가상현실 시스템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현실세계 데이터를 컴퓨팅 세계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경우 정확한 실사를 통한 지리정보의 확보와 그래픽 시각화를 통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제공을 주요 목적으로 삼는다. 본 논문은 지리정보시스템의 데이터모델을 기반으로 3차원 시각화를 위한 지형 데이터 모델과 가상 이미징 객체모델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