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 농촌경관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시근교마을의 경관구조에 관한 연구 - 평택시 팽성읍 두정1리 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andscape Structure of Suburban Rural Village - Focused on Doojeong Maul in Pangsung, Pyeongtaek city -)

  • 양원석;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7-24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is how to understand of structural and elemental landscape image in suburban village. Nowadays, it is well known fact that suburban villages are most likely to be invaded by urbanization. Therefore, the research is focused on how the image of suburb has been changed, what patterns have been created in residential area, what are the different outcomes from different distance, and what are the changes in types of buildings, at particular village called Doojeong in Pyeongtaek city. When collecting supplemental information, elders in village have been participated in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foreign. The village shows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such phenomenon.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re are three results. First, ironically, the structural patterns of the village is concentric as seen on urban garden, yet they do not have central function. Second, traditional homes are transformed into functional shape. The most popular roof design that takes 65 percent of whole is modernized flat roof shape. Hanok (Korean traditional house) style is disappearing. Third, due to the massive barn buildings and their monochrome, the beauty of community and architectural harmony are buried.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논 경관의 시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of Darangyi-paddy in Garchon, Namhae)

  • 윤경숙;이창훈;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6-84
    • /
    • 2010
  •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논은 해안 경사지의 특수한 지형환경에 입지하여 자연적 경관 미가 나타나며 지속적인 경작을 위한 한국적 원 풍경으로 전통경관이라 할 수 있다. 매력적인 다랑이논 경관이 있음에도 경관을 보전함에서 시각적인 해석은 불충분하고, 여러 가지 면에서 다랑이논 경관 전체를 보전해가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남해 해안 지역의 다랑이논을 중점적으로 보전해 가는 것이 더욱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되며, 각 시점과 조망대상과의 관계성의 명확화가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시각적 특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도출하였다. 첫째,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논 지역의 대표적인 시각구조를 알아보았고, 그 시각적 특징을 살펴볼 때 다랑이논 우수 조망점들은 대부분 수평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각이 대부분이었으며, 그 범위는 주로 시각적으로 중심영역이 되는 하안 값 $-5^{\circ}{\sim}-30^{\circ}$ 이내로 조사되었다. 분석된 수치에서 다수의 사람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다랑이논 경관은 시각적으로 조망이 양호한 곳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시각구조에 나타난 다랑이논의 경관 형태를 보는 방법은, 앞으로의 다랑이논의 조망거점의 정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가천 다랑이논 경관 요소에 있어 다랑이논 외 주변요소가 경관구성에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경관 요소 분석에서, 다랑이논이 경관의 주체가 되어 있음에도, 논이라는 개체와 다랑이논 주변에 분포하는 산림, 하늘, 바다, 취락지, 도로 등의 주변요소가 시각적 인지 부분에서 상관도가 높음을 보였다. 다랑이논을 제외한 주변요소들도 다랑이논 경관 형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논이라는 요소와 함께 경관을 연출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다양한 경관 요소는 원거리의 경관 형태에서 특히 현저하게 나타났고, 우수한 경관연출은 다랑이논 이외 주변요소들이 필요 불가결한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랑이논의 경관보전을 고려했을 때, 논이 지형에서 단 차를 보이는 형태적 요소만을 대상으로 하는것은 충분하지 않고 다랑이논의 주변요소도 염두에 두고 종합적인 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어 진다. 셋째, 경관의 변화에서 계절별 특성이 뚜렷하나, 그중 설문분석에 의해 볼 때, 연중 봄철 물 대는 시기와 하루 중에서 역광촬영이 가능한 시기가 다랑이논 경관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랑이논 경관의 시각적 특성, 시각과 요소의 구성 및 일조 조건 등은 다른 지역의 다랑이논에 있어서도 공통점이 있을 것으로 보고, 다른 지역에서도 일조 조건 등을 가미한 양호한 다랑이논 경관이 얻어질 수 있는 시점을 확보하는 것과 거기서 보이는 다랑이논과 주변요소, 혹은 양호한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방법들을 연구하여 다랑이논을 보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주민참여에 의한 농촌경관자원조사 방법 연구 - 경관맵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research method measuring rural landscape resources by inhabitants participation - Focused on a case study using Landscape Evaluation Map)

  • 이정원;윤진옥;임승빈
    • 농촌계획
    • /
    • 제16권4호
    • /
    • pp.13-22
    • /
    • 2010
  • Rural landscape is an outcome of residents' life activity based on natural environment. Unlike city, rural residents make their own landscape over a period of time interacting with nature through cultivating and building houses and huts based on the background. Therefore, residents' role in rural area is of greater importance than city's and their recognition of landscape is a key factor to evaluate and manage rural landscape. Landscape Evaluation Map which utilizing Feeling Map method is a evaluation tool to [md out residents' recognition of landscape. In this tool, responses evaluate landscape around their living space and mark color dots which mean landscape grade on a map. This research is to examin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tool, Landscape Evaluation Map, which is recommended to estimate residents' evaluation of landscape. Through analyzing 7 cases of field application, the effectiveness of Landscape Evaluation Map has been verified and also demerits have been drawn. After modifying detailed techniques and developing resident education, Landscape evaluation map could be applied to [md out landscape resources rather than to evaluate whole rural landscape.

국내 농촌 경관계획 가이드라인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West Australia의 경관계획 매뉴얼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nalyze and Improvements for Rural Landscape Planning Guideline - Focused on Rural Landscape Planning Guideline in Western Australia -)

  • 신재선;김상범
    • 농촌계획
    • /
    • 제22권2호
    • /
    • pp.57-65
    • /
    • 2016
  • Landscape elemen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nd elements that have negative impact on landscape due to reckless development teem in rural area. Due to this, local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visual landscape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and content of domestic rural landscape planning process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it. For that, this study measure guideline of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gainst guideline of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o analyze th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 of australia which is similar to domestic rural landscape planning process, and to compare both guide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stage of landscape resource survey and assessment progressed systematically, but it was not practical because for the lack of survey and assessment method. Therefore, it should be suggested for the survey and assessment technique. The rural landscape plan, established in master planning stage, do not necessarily reflect local government's landscape management on the ground of abstract technic of landscape management. For this sake, to develop evaluation method for development of landscape element seems necessary.

농촌마을 지붕경관 특성에 관한 조사 연구 - 가로변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Roof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Rural Villages - Focused on Road-Side Rural Villages -)

  • 김윤학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7-24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and investigate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se of buildings, the number of layers, and structure, and roof landscape characteristics such as roof types, materials, and color in rural villages which were located on the street on the assumption that the landscape of rural villages should be managed by considering visual asp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mmonest frequency was found in 'residence'(2/3) for the use of buildings and 'masonry structure'(2/3) for the structure. 'Wood structure' and 'light gauge steel structure(prefabricated structure)' were also commonly found. Th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many rural houses have partially improved by agricultural and fishery development projects and garden suburbs has been increased by city residents' desire for rural life, there have been still many old houses. Frequently used roof types were a gambrel roof and a hipped roof. Roof materials were mixed in several materials such as tiles, slate, panels, color steel plate, reinforced concrete, and asphalt shingles. Roof color was also mixed in several colors such as reddish N7 and N0.5 of Neutral color, 10R3/6 and 10R3/10 of R color, 7.5B4/10 and 7.5B7/8 of B color and 5G8/6 of G color. The result suggests that roof color impedes the landscape of rural villages on the street. Based on the results, some roofs of rural villages were improved by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or the local governments but there are still many old roofs. The mixture of improved roofs and old roofs mainly contributed to impeding the landscape of rural villages and it was probably caused by the lack of systematic landscape plans by individual improvement of build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systematic landscape plans in consideration of local identity and neighbor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guideline for roof color influencing a street landscape should be established.

마을 재개발을 위한 지역계획수립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s of Regional Planning for Village Renewal in Korea)

  • 임상봉
    • 농촌계획
    • /
    • 제19권3호
    • /
    • pp.157-16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자체의 계획수립 정책과 마을주민의 요구를 분석하여 농촌마을 재개발을 위한 지역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마을재개발 주요 내용으로는 생활편의성 향상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 역사문화와 같은 어메니티 자원과 경관자원 등의 보전과 활용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취하였다. 마을주민에 대한 설문조사와 마을재개발 계획수립 과정 및 결과에 분석을 토대로, 농촌마을재개발 계획의 특징을 파악한 후,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마을재개발시 국토이용계획과 농촌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토지이용 및 농촌개발 관련법을 보완해야 한다. 둘째, 농촌지역에 주거 및 취락지구를 도입하여 체계적인 마을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계획수립 체계를 토지이용계획과 마을재개발 추진에 적합한 형태로 확립, 운영토록 한다. 넷째, 마을개발 부지 확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농지교환분합 제도를 활성화해 나가도록 한다. 다섯째, 지역계획과 마을재개발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추진될 수 있도록 우선 개발 마을을 선정하고, 마을주민의 요구를 반영한 마을발전계획을 수립하며, 농촌취락지구와 같은 농촌토지 용도지구를 도입, 운영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마을재개발 시범사업의 추진 및 평가를 토대로 체계적인 본 사업을 확대, 시행해 나가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일곱째, 농촌지역의 낙후도를 고려한 사업지원 및 추진에 차등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about Rural Landscape Resources - Centered on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Rural Village -)

  • 이동근;옥주희;홍찬선;윤소원;박창석;유헌석
    • 농촌계획
    • /
    • 제11권2호
    • /
    • pp.21-34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ning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a rural landscape. For suggesting the planning direction, this study was classified rural landscape resources based on spatial type to understand the assessment of rural landscape. This study examined literature reviews and site investigations for collecting the data on the resources of a rural landscape to maintain rurality. First above all, it was classified into physical and non-physical resources. Non-Physical resources include elements such as inhabitants' will, leaders' will and the software. It is also to reflect all these factors on the planning. Next, this study classified the resources of a landscape into artificial and natural resources and applied these resources to rural areas which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industry area, life area, natural landscape area, program area and human behavior area. The pictures obtained from this field survey were used for a questionnaire survey to understand the value of a rural landscape.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survey we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presentation condition of a rural land-scape and assessment of a rural landscape. Especially, the value of a rural landscape was divided into the ecological value, socio-cultural value and holistic value.

근대기 서양인들의 조선견문기를 통해 본 19세기 말 조선의 경관 - 경관 관련 어휘와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A Landscape of Joseon Dynasty in Late 19th Century through Experience Record of Modern Westerners - Focused on Landscape Vocabulary and Content Analysis -)

  • 김동현;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0-33
    • /
    • 2018
  • 본 연구는 서양인들의 시각에서 조선이 근대화되기 시작한 19세기말 조선의 경관을 조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서양인들의 경관 관련 기록의 역사적 의미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경관의 유형화 및 그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시 조선을 방문했던 서양인들은 조선의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 개입되거나 오랜 기간 여행을 통해 조선의 문화를 이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이 여러 저서에서 공통으로 확인되는 점은 그들의 기록을 통해 당시의 경관을 조명하는 과정이 유의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서양인들의 기록에 나타나는 조선의 경관은 소도시 및 마을, 자연환경, 명승 고적, 근대시설, 경작지 등이 주로 언급되었다. 소도시 및 마을은 허름한 뒷골목과 빼곡히 들어선 가옥들이 주로 언급되고 있으며, 자연경관은 산악경관과 해안 및 하천을 따라 펼쳐지는 다양한 지형경관과 주변식생이 확인되었다. 궁궐과 산성, 사찰 등은 명승 고적의 주요 대상으로 기록되었으며 근대화된 시설에는 외국인 공사관 및 거류지, 교회나 학교 등의 서양식 건축이 언급되고 있었다. 경작지는 낙후되고 방치된 모습이 확인되었으나, 조망구도가 넓어질수록 평화롭고 번창한 분위기의 농촌경관으로 비춰지고 있었다. 셋째, 조선에 대한 당시 서양인들의 인식은 비위생적이고 낙후된 주거환경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빼어난 산수와 수려한 명승고적, 상류층의 주택정원을 대상으로 하는 긍정적 인식이 나타났다. 근대화된 경관에 대해서는 문명화된 경관 개선이라는 점에서 긍정적 인식이 형성되었으며, 전통경관의 훼손 및 이질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농촌경관 보전을 위한 보조금 지원제도 연구 -영국의 환경관리제(Environmental Stewardship)를 중심으로- (An Case Study of the Direct Payment Program for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 Environmental Stewardship in England -)

  • 채혜성;안동만
    • 농촌계획
    • /
    • 제14권2호
    • /
    • pp.65-75
    • /
    • 2008
  • Recently the program of direct payment for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attracts great interests as it may help disadvantaged rural people. Recognized the effect of the program to improve the rural landscape and economy,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rogram of direct payment for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should be expanded. This paper presents the measures and status of Environmental Stewardship, the direct payment program for landscape conservation in England, as following; 1) rural development policies in UK organized under EU, 2) measures and agreements for rural landscape management, 3) the statues of ES enforcement. We sampled a pilot farm, surveyed inside and outside landscape of the farm, and interviewed local government officers and farmers in order to find policy implication.

농촌경관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정관요소에 관한 연구 -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 (Key Landscape Elements in Constituent Spaces of Rural Village Area - Centered on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

  • 김상범;이상영
    • 농촌계획
    • /
    • 제12권3호
    • /
    • pp.13-18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ning directions for rural landscap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With wide literature review,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were selected as case study areas to search for the main elements according to various spatial types. The pictures taken from the site investigation were used for a questionnaire survey to understand and to find the value of rural landscape. Finally, we found out 25 items from 3 spatial type (rural life area, agriculture production area and natural environment area), and Analyzed the Preference of rural landscape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