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남동부

Search Result 30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2000년 서해 함평만 부유성 어란 자치어의 분포와 계절 변동

  • 전송미;이경식;변도성;조영철;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11-412
    • /
    • 2001
  • 본 연구해역인 함평만은 서해 남부에 위치한 최대 폭 12 km이고 길이는 약17km 정도의 중대형 반폐성 만이다. 만 입구는 매우 좁고 북서쪽으로 열려져 있고 주 조류로는 만의 중앙부를 따라 북서-남동 방향으로 발달되어 있다. 함평만은 1910년대 이후 농지 확보를 위한 소규모 간척 사업으로 해안선의 변화가 있었고 비교적 육지와 연결된 큰 수계가 없어 육상기원의 환경오염원은 적은 편이다. (중략)

  • PDF

Seismic Structures of the Eastern Bransfield Basin, Antarctic Peninsula (남극반도 동부 브랜스필드분지의 탄성파구조)

  • Jin, YoungKeun;Nam, SangHeon;Kim, YeaDong;Lee, JooHan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7 no.2
    • /
    • pp.99-112
    • /
    • 2004
  • The Basin, a marginal basin located between the Antarctic Peninsula and the South Shetland Islands, is consist of three small basins, the Central, Eastern, Western Basins. Seismic data obtained on December 1995 show well-defined spreading ridges, basement highs, faults, morphology of the basin, distribution of sediments, crustal and sedimentary deformation, diapirs, and contourites. The main spreading axis of the Central Bransfield Basin connecting Deception and Bridgeman Islands continues up to the central part of the Eastern Basin, whereas deep basin covered by thick sediments without any spreading structures develops in the northeastern part. This indicates that back-arc spreading along the axis of the Bransfield Basin has been taken place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ern Basin, not in the northeastern part. Many NW-SE trending faults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asin would be related with strike-slip movement of the Shackleton Fracture. Zone. Extensinal strutures like deep basin without any spreading structures in the northeastern part, normal faults and diapirs on both continental slopes of the Eastern Basin would be formed by extension as a consequence of the sinistral movement between Antarctic and the Scotia plates.

  • PDF

Tourism Development in the Eastern Part of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수도권 남동부지역의 관광개발)

  • Kim, Won-Ji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1
    • /
    • pp.75-77
    • /
    • 2007
  • 관광의 활성화에서 지방정부 및 지역사회의 관심은 절대적인 요소에 해당한다. 수도권 동부지역은 관광서비스와 관련하여 지방정부 및 지역사회의 관심이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지속적인 관광의 활성화보다는 일시적이고 가시적인 관광효과에 치중한다고 판단된다. 지속 가능한 관광개발은 가시적 효과보다는 지역의 잠재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측면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한데, 연구지역은 이러한 지속적인 관광개발이 체계적으로 전개되지 못하고 있어, 향후 관광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조경수에 발생되는 병해-수지가 많이 흘러나오는 푸사리움가지마름병

  • 이상현
    • Landscaping Tree
    • /
    • s.106
    • /
    • pp.23-24
    • /
    • 2008
  • 최근 소나무류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푸사리움가지마름병은 외국의 경우 pitch canker(수지궤양병)라 불리며, 그 유래는 가지, 순, 노출된 뿌리에 발생한 궤양에서 많은 양의 수지가 흘러나오는데서 이름 지어 졌다.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도 도입된 리기다소나무에서 이 병이 발견되었으며, 점차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푸사리움가지마름병은 미국의 남동부지역 플로리다에서 1946년에 처음 보고되었으며, 조림지, 종자원 묘포장에서 만성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병으로 1976년 이후 이병은 지역적인 질병에서 국가적이고 범세계적인 중요 질병으로 발달하였다.

  • PDF

Biotope Analysis of the Total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 off the Southeastern Coast, Korea (한국남동해 저서유공충의 생물장)

  • 장순권
    • 한국해양학회지
    • /
    • v.21 no.3
    • /
    • pp.136-145
    • /
    • 1986
  • Biotope analysis(UPGM) of the data on the total benthic foraminferal assemblage (Kim and Han, 1982) collected from the southeastern sea off the Korean Peninsula shows that foraminiferal assemblages are related to the water masses prevailing in the study area. South Proper facies is governed by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Southern Deep facies is influenced by the cold water mass moved down along the bottom. Northern Nearshore facies is governed by the North Korea Cold Current, and North Proper facies is affected by the North Korea Cold Current and Japan Sea Proper Water. It is also evident that the upper part of the study area is under the influence of the North Korea Cold Current rather than the East Korea Warm Current which flows northward along/or off the right side of the study area. Planktonic foraminiferal occurrence also supports this biotope analysis.

  • PDF

경상분지 남동부 일광광산에 산출하는 전기석 기원과 그 중요성에 관한 예비연구

  • 장주연;양경희;이준동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58-59
    • /
    • 2001
  • 부산에서 북동쪽으로 대략 25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일광광산 부근의 지질은 백악기 화산암ㆍ퇴적암 그리고 이를 관입한 화강암류와 이 암주 내에 발달하는 구리-중석을 함유하고 있는 각력파이프광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광광산의 화강암류는 거의 타원형으로 felsic한 중앙부와 mafic한 양상의 주변부로 나뉘어지며, 암주 내에 수직적인 원통형의 각력파이프가 광화대를 이루고 있고, 그 주변에는 모암변질대가 발달되어 있다. 각력파이프를 충진하고 있는 vein과 화강암의 중앙부에는 전기석이 풍부하게 산출되고 있다. 일광광산에서 산출되는 전기석은 야외 관찰시 각력파이프 중심에서부터 외곽부쪽으로 전기석의 풍부함이 감소하며 산출형태도 달라진다. 파이프에서 대략반경 150m내에서 전기석은 침상형 의 방사상 모양 내지 rosettes형으로 풍부하게 산출되며, 화강암내의 mafic한 암편을 치환한 형태로 산출되기도 한다. 암주의 중앙부 주변부에서는 거의 미세한 구상형으로 산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전기석은 복잡한 화학식 {(Na, Ca)(Fe, Mg)$_3$(Al, Li)$_{6}$(BO$_3$)$_3$Si$_{6}$O$_{18}$ (OH, F)$_4$}을 갖는 붕산 규산염광물이다. 이러 한 다양한 성분은 마그마의 진화과정, 모암의 특성, 온도, 압력, 성분과 같은 물리ㆍ화학적 성질에 따라 전기석의 성분이 체계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모암과 전기석 기원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파이프 부근의 화강암류는 현미 경상에서 전기석이 석류석과 같이 풍부하게 나타나며 장석들은 변질받은 상태로 세리사이트, 녹렴석으로 나타나고, 흑운모와 각섬석은 녹니석화되어 변질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파이프 중심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전기석의 함량은 줄어들고 있고 장석들이 알바이트ㆍ칼스베드 쌍정을 보이며, 흑운모가 각섬석보다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기석은 주상 결정, 자형 내지 반자형의 입자로 다색성을 보이며, 결정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파란색과 황갈색의 광학적 누대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일광광산에서 산출되는 전기석에 대한 현미경 관찰은 열수기원임을 지시하고 있다. 야외조사와 현미경 관찰의 예비조사에 의하면 일광광산의 전기석이 형성된 환경은 다른2가지 화학적인 저장소의 혼합 효과의 결과로 생성되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일광의 화강암류를 만든 마그마는 전기석을 형성할 만큼의 Fe-Mg성분이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 화강암 내에 흑운모와 각섬석의 결정작용에 의해 마그마의 Fe-Mg성분이 고갈되어지고 이로 인해 그 함량이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마그마 내에 남은 붕소(B$_2$O$_3$)는 열수로 용리되고 흑운모, 각섬석과 평형을 유지하며 열수에 남아있게 된다. 잔류용융체에 남은 붕소의 함량은 전기석을 만들기에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Fe-Mg 함량이 부족하여 마그마 기원의 전기석 결정을 만들 수가 없다가 광맥이 형성된 시기에 또 다른 열수가 공급되면서 이전의 평형이 깨지고 기존의 흑운모와 같은 염기성 광물이 붕소(B)를 함유한 새로운 열수와 반응하여 전기석을 형성한 것으로 예상한다. 앞으로 전암과 광물에 대해 지화학적 연구를 통해 화강암류와 전기석과의 지화학적 연관성, 주성분 원소와 열수의 특성과의 상관관계, 전기석의 기원(마그마 기원인지 열수기원인지)이 보다 정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마그마 진화에 따른 전기석의 성분변화와 기원을 이용하여 일광광산의 동광화대를 형성한 마그마 계에서 열수계로 이어지는 지질학적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암석 성인론적 지시자로서 어떠한 중요성을 갖는지 논의되어질 수 있다.

  • PDF

Horizont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in Sediments from the Southeastern Yellow Sea (황해 남동부 해역 저질 내 와편모조류 휴면포자의 분포)

  • Hwang, Choul-Hee;Heo, Seung;Kim, Chang-Hoo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42 no.1
    • /
    • pp.68-72
    • /
    • 2009
  • To g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for future harmful algal bloom (HAB) outbreaks and to trace the dispersal paths of dinoflagellates,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3 station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23 different types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were identified from the samples. Protoceratium reticulatum (1-391 cells/g dry weight), Gonyaulax scrippsae (0-254 cells/g dry weight), G. spinifera (0-301 cells/g dry weight) and Alexandrium spp. (ellipsoidal type) (0-76 cells/g dry weight) were the dominant species at all surveyed stations. The overall distribution pattern demonstrated that the resting cyst densities were highest in the offshore area and decreased gradually toward the Korean coast. 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ion rate of resting cysts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species to the total dinoflagellates was higher in the Korean coast region than in the offshore area. We supposed that this distribution patter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the hydrographic featur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Yellow Sea.

석영의 파동소광을 이용한 포천-기산리 일대의 화강암 변형의 정량화

  • 정원석;윤현수;나기창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5a
    • /
    • pp.80-80
    • /
    • 2003
  • 포천-기산리 일대에 분포하는 쥬라기의 대보화강암류의 변형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석영의 파동소광의 강도(IWE : Intensity of Wavy Extinction)를 편광현미경, 디지털 카메라, NIH Image로 측정하였다. 파동소광이 나타나는 석영입자의 한 부분이 편광현미경 상에서 최대 소광이 될 때 IWE를 측정하고, 이 때 나타나는 파동소광의 아입자경계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NIH Image는 파동소광을 보여주는 각 부분의 광도를 256단계의 흑백 농담변화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측정 길이에 대한 농담변화로 IWE를 구하였다. 이렇게 획득한 IWE를 5$^{\circ}$ 단위로 묶어 돗수분포표로 처리하였으며, 자료의 분포특성상 히스토그램의 최빈값과 중간값 사이의 중간값을 그 암석의 대표 IWE로 정의하였다. 이를 다시 5단계의 변형대(무변형, 저변형, 중변형, 고변형, 최고변형)와 각각의 변형지수(D1, D2, D3, D4, D5)로 묶었다. 본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는 흑운모화강암(Gb), 동부의 석류석흑운모화강암(Ggb) 그리고 북부의 복운모화강암(Gtm)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본 연구에는 크게 포천읍을 기준으로 서부에 분포하는 Gb와 동부에 분포하는 Ggb에서 파동소광의 강도 측정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Gb는 D2 이하의 낮은 변형도가 나타났고, Ggb는 D3이상의 고변형이 나타나, 전반적으로 조사지역의 북서부에서 남동부로 갈수록 변형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 PD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xtreme rainfall based on movements for tropical storms in the United States (미국의 열대폭풍으로 인한 극한강우와 이동에 따른 특성 분석)

  • Young Hoon Song;Jae Yeol Song;Hyung Ju Kim;Eun-Sung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76-276
    • /
    • 2023
  • 미국의 열대저기압(tropical cyclone)은 강풍, 폭우, 해일 등의 위험을 동반하는 기후와 관련된 자연재해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열대저기압이 동반하는 강우는 해안과 내륙지역에서의 홍수로 이어지며 인명피해 및 경제적 손실의 주원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열대저기압이 동반하는 강우와 해안지역에서 열대저기압의 이동 특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열대폭풍(tropical storm)은 열대저기압에 비해 바람세기의 등급은 낮지만 비교적 많은 양의 강우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 남동부에서 1979년부터 2021년 사이에 발생한 열대폭풍이 동반한 극한강우와 열대폭풍의 이동 특성을 관련지어 분석하였다. 열대폭풍 보다 높은 등급의 사상에 대한 이동 경로, 거리, 속도 등의 자료를 얻기 위해 HURDAT2를 이용하고, 열대폭풍의 이동과 중심반경에 따른 강우자료를 얻기 위해 NLDAS-2와 시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2000년도를 기준으로 과거기간(1979-2000년)과 현재기간(2000-2021년)에 대하여 열대폭풍의 해안과 내륙지역 이동에 따른 극한강우의 경향성과 변동추세 및 강우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열대폭풍의 이동에 따른 극한강우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Heavy Mineral Analysis of the Cretaceous Hayang Group Sandstones, Northeastern Gyeongsang Basin (경상분지 북동부 백악기 하양층군 사암의 중광물분석)

  • 이용태;신영식;김상욱;이윤종;고인석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8 no.1
    • /
    • pp.14-23
    • /
    • 1999
  •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is widely covered by the Cretaceous Hayang Group (Aptian to Albian). The Hayang Group consists of the IIjig. Hupyeongdong, Jeomgog, and Sagog formations. Heavy miner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possible source rocks of the Haynag Group snadstones. Heavy minerals separated from IIjig, Hupyeongdong, and Jeomgog sandstones are hematite, ilmenite, leucoxene, magnetite, pyrite, actinolite, andalusite, apatite, biotite, chlorite, epidote, garnet, hornblende, kyanite, monazite, muscovite, rutile, sphene, spinel, staurolite, tourmaline, and zircon. Based on their close association and sensitiveness, the heavy mineral assemblages can be classified into 6 syutes: 1)apatite-green tourmaline-sphene-colorless/yellowish zircon; 2) colorless garnet-epidote-rutile-brown tourmaline; 3) rounded purple zircon-rounded tourmaline-rounded rutile; 4) augite-hornblende-color- less zircon; 5) epidote-garnet-sphene; and 6) blue tourmaline. The possible source rocks corresponding to each assemblage are 1) granitic rocks; 2) metamorphic rocks (schist and gneiss) ; 3) older sedimentary rocks; 4) andesitic rocks; 5) metamorphosed impure limestone; and 6) pegmatite, respectively. Previous paleocurrent data suggest that the sediments of the study area were mainly derived from the northeastern to southeastern directions. Thus, the most possible source areas would be the east extension part of the sobaegsan metamorphic complex to the northeast and the Cheongsong Ridge to the southea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