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19초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이 아동·청소년기 자녀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s' Self-Esteem and Happiness on the Self-Esteem and Happi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곽수란;송미옥;김영호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25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한 아동청소년패널 2018, 초4와 중1 패널 1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아동·청소년기 부모와 자녀의 자존감과 행복감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 맥락은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이 양육태도 미치는 영향, 더 나아가 자녀의 학업활동, 자존감 그리고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존감과 행복감은 상호작용 요인이기 때문에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을 외생변수로 투입하여 상관관계로 확인하였으며, 자녀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인과관계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정신건강 척도인 자존감과 행복감이 부모의 자존감과 행복감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아동·청소년기 건강한 발달을 도모 하는데있어 가정 배경인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마트폰의존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Smartphone Depend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권혜민;김보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827-839
    • /
    • 2022
  • 스마트폰중독에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알려져 있는 초기청소년의 스마트폰의존에 대한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요인을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1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 2,607명과 중학교 1학년 2,590명이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되었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마트폰의존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자아존중감, 공격성,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 부정적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규모), 경제수준, 건강상태, 학교생활만족도, 교사관계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의존도에는 유의하였으나 중학생에게는 유의하지 않았다. 중학생에게서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유의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초기청소년들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수립 및 사회서비스제공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아동과 청소년의 흡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Publication Trends in Smoking-Related Research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 Analysis of Korean Academic Journals)

  • 손현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69-276
    • /
    • 2019
  • 이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흡연과 관련된 연구 중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논문 선정, 분류 유목 결정, 평정지침서 작성, 논문 분석, 코딩, 코딩 결과 분석의 절차를 거쳤다. 분석대상은 2018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선정 기준에 부합한 350편의 논문이며, 발표 연도,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흡연 관련 연구는 1995부터 2000년 사이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그 추세가 유지되었다. 주된 연구 대상은 일반 아동과 청소년이었으며,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관련 요인', '개입', '실태', '예방', '특성', '법과 정책', '척도', '개관과 이론'의 순이었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자료는 연구자가 직접 질문지를 활용해 수집하는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점차 패널 데이터의 활용 사례가 늘고 있었다. 향후에는 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질적 및 혼합 연구 방법을 포함한 균형 잡힌 연구 방법도 제안되었다.

운동시간의 변화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GRIT) 변화량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Change in the Effect of Change in Exercise Time on Change in Self-esteem in Adolescents)

  • 김인우;하민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43-55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운동시간의 변화가 자아존중감의 변화로 이어지는 관계에서 그릿의 변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의 중1 코호트 2개년도 자료 중 결측치를 포함한 케이스를 제외한 2,438명(남=1,327명, 여=1,111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각 변인의 변화량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1차년도 측정값과 2차년도 측정값의 회귀분석에서 생성된 표준화잔차점수를 변화량 변수로 활용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운동시간의 변화량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량, 그릿의 변화량은 모두 서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운동시간의 변화가 그릿의 변화를 통해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시간의 감소가 청소년의 그릿과 자아존중감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 또래소외 매개효과중심으로 (The Convergence effects of on Adolescent depression on Aggression by Gender Difference : Focusing on Peer Rejection)

  • 엄주란;남미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93-202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우울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또래소외가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7차년도 자료에서 남자 청소년 869명 여자 청소년 800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또래소외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청소년은 우울할수록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청소년은 우울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또래소외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의 경우는 매개효과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우울과 공격성에서 남자 청소년의 경우 또래소외가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고 성별에 따른 차별적 개입의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dolescents' Experiences of Abuse Damage on Aggressiveness in the Convergence Era: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s of Resilience)

  • 김숙향;김형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31-34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초4 패널 중에서 7차년도(2016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1.0을 사용하여 대상의 일반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다중공선성을 확인 한 후 매개변인 효과를 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 경로분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공격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학대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강화의 중요성과 모든 청소년들의 성공적인 성인기를 맞이할 수 있도록 예방적 차원에서 자아탄력성 강화가 필요함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의미를 가지며, 이를 토대로 청소년을 대상으로는 자아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이 제공이 사회복지실천에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 김선희;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477-487
    • /
    • 2018
  • 본 연구는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진로정체성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 조사의 초4 패널 6차년도(2015) 자료를 이용하였고, 조사당시 본 연구에 적합한 중3 재학생 1,823명을 대상으로 변수간의 위계적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진로정체성은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스마트폰 의존도는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진로정체성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스마트폰 의존도를 완화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청소년의 우울, 자아존중감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Academic Helplessness i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 이상미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119-127
    • /
    • 2023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위축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 1패널의 제4차 년도(2021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는 고등학교 1학년 2,26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자료는 SmartPLS 3.0을 이용하여 부분최소제곱법 기반의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에 우울과 사회적 위축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은 유의한 정적 매개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학업 무기력에 대한 접근 시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위축과의 영향 관계를 고려한 전략이 요구된다.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and Multicultural Accetance in Adolescent)

  • 김혜진;홍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1-4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CYPS) 중에서 초등학교 1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6차년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6차년도의 학년은 초등학교 6학년 고등학교 3학년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6과 고3의 자아정체성,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공동체의식, 다문화 수용성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기분석을 통하여 자아정체성과 공동체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정체성,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부분매개와 완전매개모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청소년 전체와 초6은 부분매개모형이, 고3은 완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 초기에는 자아정체성의 형성이 다문화수용성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고, 청소년 후기에는 공동체의식이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발달에 따른 자아정체성 정립과 공동체의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적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팬덤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dolescent fandom activity on self-esteem :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 최옥주;김동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243-25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팬덤활동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때 자아탄력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의 초4패널의 7차년도(2016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378명의 설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덤활동은 자아탄력성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팬덤활동은 자아존중감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자아존중감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탄력성은 팬덤활동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팬덤활동은 자아존중감을 직접적으로 낮추기도 하지만 자아탄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낮추기도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팬덤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이르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