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산

검색결과 25,024건 처리시간 0.056초

시중에 판매되는 한국산 엉겅퀴와 중국산 엉겅퀴의 성분 비교 (Comparison of Physi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and Chinese Cirsium japonicum)

  • 김은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4-293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산과 중국산 엉겅퀴(전초, 뿌리)의 일반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은 전초보다 뿌리에서 더 많았고, 국내산과 중국산의 함량은 비슷하였으며, 회분 함량은 국내산 엉겅퀴 전초에서 많았다. 단백질 함량은 국내산 전초와 중국산 뿌리에서 많았고, 지방 함량은 중국산 엉겅퀴에서 많았으며, 탄수화물 함량은 국내산 뿌리가 많았다. 칼륨 함량은 중국산 뿌리가 많았고, 칼슘, 마그네슘 함량은 국내산 전초가 제일 많았다. 인과 철 함량은 국내산 전초에서 많았다. 구리는 국내산 전초와 중국산 뿌리가 많았다. 비타민 A와 비타민 C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비타민 E와 $\beta$-carotene은 국내산 전초에서 5.35 IU/100 g, 1,113.18 ${\mu}g$/100 g을 검출되었다. 수율,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국내산 뿌리가 많았다. Sylimarin, cynarin, narirutin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국내산 전초에서 apigenin이 확인 되었으며, 중국산 뿌리에서 acacetin이 검출되었다. 항산화성은 국내산, 중국산 엉겅퀴에서 낮았다. 따라서 국내산 전초가 영양성분이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apigenin 함량이 많아 중국산이나 국내산 뿌리보다 더 우수하였다.

  • PDF

국내외 표고 균주의 단백질 및 아미노산 함량

  • 고영우;임승빈;진성우;김경제;하늘이;정희경;윤경원;최유진;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6-116
    • /
    • 2022
  • 표고는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과 같은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어 있고 독특한 맛과 향기를 가지고 있어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성분 중 단백질 및 아미노산은 생체기능 및 대사에 관여하는 영양소이며 풍미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표고균주와 수입표고균주의 조단백질과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국내산표고균주 4종과 수입표고균주 4종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국내산표고균주의 조단백질 함량은 25.36~34.11%, 수입표고균주는 18.91~28.70%로 나타났으며, 아미노산은 16종류의 아미노산이 분석되었다. 국내산표고균주와 수입표고균주의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8,318.66~17,672.59mg%와 9,828.10~16,944.87mg%였다. 국내산표고균주와 수입표고균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466.78~899.82mg%와 407.12~669.34mg%로 나타났다. 국내산표고균주와 수입표고 균주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27.92~37.67%, 33.74~61.59%로 확인되었다. 수입표고균주의 필수아미노산이 국내산표고균주에 비하여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나, 표고의 아미노산 함량이 차이가 있어 수입산표고균주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국내산보다 높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결과는 표고의 산업화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표고의 영양학적 지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며, 추후 더 많은 시료를 수집하고 분석항목을 다양화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 PDF

지역별 구상나무 생육현황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 of Abies koreana Wilson by Districts)

  • 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0-87
    • /
    • 2000
  • 구상나무림 보전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의 아고산지대에 9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 서식지의 입지인지를 조사하였다 구상나무는 흉고직경 10-30cm의 범위에 드는 나무들이 주로 고사목으로 나타났으며 고사목의 비율은 전체적으로 총개체수의 11.51%였다 고사목의 비율또한 덕유산에서 18.18%로 가장높게나타났고 한라산 지역이 8.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 치수의 개체수 구상나무의 수고와 흉고직경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 구상나무의 상대밀도 등은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생육중인 구상나무의 활력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으로 순으로 좋았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치수의 개체수는 한라산에서 6.0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덕유산에서는 치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상대밀도도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는 해발고와 정의 상관, 방위, 낙엽퇴의 두께, 조사구당 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구상나무 상대밀도는 해발고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방위 조사 구당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수관울폐도,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에 자생하는 구상나무는 해발고가 높으며 볕이 잘들고 낙엽퇴가 얕으며 종구성이 단순하고 활엽수가 적은 지역에 보다 많이 분포한다.

  • PDF

한국산(韓國産) 개암 종실(種實)의 아미노산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mino Acid Components of Korean Hazel Nut)

  • 김미란;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1981
  • 한국산 개암종실의 유리 및 전(全)아미노산의 종류 및 함량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 (Technicon PNC-1 type)에 의해서 정량한 결과 유리아미노산의 전체량은 4.14mg/g이고 전(全)아미노산의 총함량은 180.64 mg/g이며 유리 아미노산 중 아르기닌의 함량이 가장 많고 글루탐산, 프롤린, 알라닌 및 발린의 순이었고 전(全)아미노산의 경우 역시 아르기닌의 함량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글루탐산, 프롤린, 로이신 및 아스파르트산으로서 개암중에는 영양학적으로 중요한 필수아미노산을 모두 함유하고 있어서 영양상 뿐만 아니라 풍미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된다.

  • PDF

유기산을 이용한 pH 조절 처리가 잎새버섯 자실체 발이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Acid Addition on Fruiting Productivity and Primordium Formation in Grifola frondosa)

  • 김정한;장명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33-240
    • /
    • 2019
  • 잎새버섯 안정생산을 위하여 배지의 pH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유기산을 이용한 pH 조절 및 적정 첨가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혼합배지에 4종의 유기산(구연산, 호박산, 사과산, 주석산)를 5수준(0.5, 1, 1.5, 2, 2.5, 3%)으로 처리하여 균사생장정도를 측정한 결과 유기산 0.5% 수준에서 균사생장이 빨랐으며, 그 중에서도 호박산이 가장 우수하였다. 유기산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혼합배지의 pH는 낮아지는 경향으로 배양기간 경과에 따라 대조구의 pH는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유기산 처리구는 유지되는 경향이었다. 발이율은 0.5%의 농도에서 호박산이 95%, 구연산 92.5%, 사과산과 주석산 80%로 대조구의 60%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유기산의 농도가 1% 이상에서는 발이가 지연되거나 억제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배양기간은 유기산 0.5% 처리구가 30~34일로 대조구의 35일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재배기간은 0.5% 호박산이 52일, 0.5%의 구연산과 사과산이 54일, 0.5%의 주석산이 52일로 대조구의 59일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병당 수량성은 0.5%의 호박산과 구연산 첨가 시 각각 121 g, 107 g으로 가장 우수하였고 대조구의 87.5 g에 비해 21~37% 증수되었다.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RFLP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Molecular Detection Marks Using PCR-RFLP Technique for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 조은섭;정춘구;김철원;손상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79-883
    • /
    • 2005
  • 한국산과 중국산 피조개의 신속 진단, 유전적 특성 및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DNA 수준에서 확인 할 수 있는 PCR-aided RFLP를 사용하였다. 피조개 mtDNA 165 rDNA gene를 제한효소로 처리하여 그 band 양상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165 rDNA gene을 분리하기 위하여 ArkF-3, ArkR-3 primer를 사용한 결과 한국산과 중국산 피조개 모두 분자량이 720 bp band가 나타났다 PCR에 의하여 증폭된 16S rRNA gene을 총 8종류의 제한효소(PvuII, BamHI, HinfI, HaeIII, EcoRI, RsaI, Ksp221, BstX21)로 절단하여 RFLP 양상을 보았다. HinfI의 제한효소 처리 시 득량, 가막, 남해, 진해, 태안산 피조개 모두 275 band절편이 관찰되었으나, 중국산은 나타나지 않았다. HinfI를 제외한 나머지 제한효소는 다형형이 관찰되지 않았고 한국산과 중국산 모두 700 bp의 동일한 band를 보였다. HaeIII에서도 득량, 가막, 태안과 남해와 진해산 PCR product가 700 bp위치에서 상이하게 보였다. 또한 한국산과 중국산 절편이 다르게 나타났다. 한국산 피조개 종내 restriction 쇼pe에 의해 유연관계의 결과에 의하면 득량, 가막, 태안은 동일한 유사도를 보였고, 남해와 진해와는 거리가 7 정도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산과 중국산 거리는 25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서,HinfI 제한효소는 한국산과 중국산을 구별하는데 매우 유용한 molecular marker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유전적으로 거리가 먼 것으로 보인다. 또한 HaeIII은 한국산 종내 구분 및 중국산 신속 동정에 좋은 molecular tool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산 보리와 미국산 보리의 제맥특성 (Malting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North American Barley Varieties)

  • 이원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03-208
    • /
    • 1989
  • 한국산 맥주맥 8종, 미국산 맥주맥 9종 및 한국산 6조맥 겉보리 3종의 제맥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미국산 보리는 한국산 보리에 비하여 발아력이 우수하고 추출수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당화력도 우수하였다. 미국산 보리의 단백질함량은 $11.8{\sim}14.2%$로 비교적 일정하였으나 한국산 보리의 단백질 함량은 $9.7{\sim}15.5%$로 다양하였다. 한국산 6조맥 입식용 겉보리는 2조맥 맥주맥에 비하여 발아력, 추출수율, 당화력이 떨어지고, 맥즙의 점도가 현저히 높아 여과에 어려움이 있어 맥주제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 PDF

한국산 인삼, 장뇌삼 및 중국산 장뇌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 황유진;양희진;이수원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309-311
    • /
    • 2006
  • 한국산 인삼, 장뇌삼 및 중국산 장뇌삼의 각 추출 용매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 용매에 따른 전자 공여 능력은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며, 그 중 한국산 장뇌삼의 hexane 추출물 $600{\mu}g/mL$에서 71.4%로 가장 높은 전자 공여능을 보였다.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 능력에 대해서는 $H_2O$, hexane, butanol, chloroform 및 total 추출물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고, 시료별로는 한국산 장뇌삼이 가장 활성이 높았고, 그 다음으로 중국산 장뇌삼, 한국산 인삼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및 일본산 굴, Crassostrea gigas 종패의 성장비교 (Comparison of Growth of the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Cultured with Korean and Japanese Spats)

  • 정우건;조상만;문수경;정보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6
    • /
    • 2001
  • 일본산에서 이식한 종패의 성장과 한국산 굴의 성장을 조사하고자 1995년 6월부터 12월까지 경상남도 통영시 북만해역에 두 종패를 수하하여 패각 및 육성장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수온은 표층 11.2-27.8$^{\circ}C$ (평균 19.84 $\pm$ 5.47$^{\circ}C$), 저층11.1-23.6$^{\circ}C$ (18.31 $\pm$ 4.18$^{\circ}C$) 였고, 염분은 표층 31.45-34.57 (평균 33.10 $\pm$ 1.16), 저층 31.69-34.35 (평균 33.24$\pm$ 1.06) 이었으며, 월별로는 9, 10월이 가장 낮았고, 12월이 가장 높았다. 클로로필은 1.66-2.67 mg/㎥ (평균 2.01 $\pm$0.36 mg/m$^3$) 의 범위였으며, 11월이 1.66 mg/$^3$으로 가장 낮았다. 패각 성장은 일본산이 한국산 보다 월등히 높은 성장량을 나타내어 12월 수확시 한국산은 70.3 $\pm$ 12.5 mm, 일본산은 96.2 $\pm$ 14.6 mm였다. 6-7월간의 성장이 가장 빨랐고, 한국산은 10월 이후 패각성장이 둔화된 반면, 일본산은 11월 이후 다시 급격한 성장을 하였다. 육중량은 9월까지 한국산과 일본산은 거의 비슷하였으나, 9월 이후 현저하게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2월 수확시한국산 4.6 $\pm$ 1.9 g, 일본산 7.5 $\pm$ 2.9 g으로 일본산의 육성장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일본산은 11월에 8.1 $\pm$ 3.0 g으로 가장 높은 육중량을 나타내었다가 12월에 다시 감소하였는데, 이는 먹이량에 의한 양식장의 수용력에 의해 조절된 것 같다(정, 1998). 한국산은 산란 후 회복이 느려 10월까지 비만도가 감소한 반면, 일본산은 9월부터 다소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 이후 급증하였고, 11-12월에 다시 급격히 감소하였다. 12월 수확시 비만도를 보면, 한국산은 12.8, 일본산은 15.3으로 일본산이 훨씬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일본에서 이식한 종패의 성장이 모든면에서 한국산보다 우수하였다. 북만에 수하 양성한 한국산 및 일본산 굴 종패의 각고-각장 상관식은 아래와 같다. Korean oysters: S$_{h}$ = 2.922St - 4.8024 ($r^2$= 0.8541) Japanese oysters: S$_{h}$ = 3.623St - 5.1239 ($r^2$= 0.7782) Bae et al. (1976)과 Lee et al. (1992)이 보고한 한국산 종패의 각고-각장 상관식과는 기울기 차이가 현저하여 각고의 길이가 늘어나 일본산 종패 이식이후 한국산 굴의 형태적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산 아가리쿠스 버섯의 일반성분 분석 (Chemical Compositions of Agaricus blazei Murill Fruiting Bodies Cultivated in a Korean Local Farm)

  • 이문한;이후장;조일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4-98
    • /
    • 1998
  • 항암 효과가 뛰어난 건강식품으로 알려진 아가리쿠스 버섯은 많은 약리 성분을 함유하고 잇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가리쿠스 버섯의 주요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우선 일반성분을 분석하고 그것을 약리성분 분석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건조 아가리쿠스 버섯의 일반성분은 일본산 아가리쿠스 버섯과 큰 차이는 없었으나, 당질의 함량이 일본산이 41.56% 인 반면 , 한국산 5.40%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무기물의 조성은 일본산 K, Phosphate, Si, Chloride 그리고 Mg 이 각각 56.49%, 12.7%, 12.25%, 4.26%, 2.67%의 순으로 나타나 있는데 반해, 본 실험에서 사용한 한국산 아가리쿠스 버섯의 무기물 조성 함량은 K, Phosphate, Si, Chloride 그리고 Sulfate가 각각 45.77%, 27.78%, 8.16%, 7.80%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은 cysteine을 제외한 16종의 아미노산이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미노산중 glutamic acid 가 19.33%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78.3%로 지방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불포화 지방사의 함량은 일본산 아가리쿠스 버섯이 70.5%인데 반해, 한국산 아가리쿠스 버섯의 함량은 80.7%로 일본산 아가리쿠스 버섯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