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효과 향상

Search Result 1,84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sis of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in Medical Team Education (의학용어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촉진 수업방식의 효과 분석)

  • Chae, Yoo-M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6
    • /
    • pp.227-237
    • /
    • 202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the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could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was investigated among 63 first-year Medical Terminology undergraduates in the C area. A repeat measurement variance analysis of the general linear mode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hile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creased from 177.3 to 180.8 for those under 18 years of age, and 192.9 to 196.5 for those over 19 years of age (p<0.05). After the team activity, the overall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was improved, and both high- and low-achieving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p<0.05). The environment surrounding learners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when given the right degree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appropriate feedback.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form basic foundation material for professors and class designers who want to draw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from memorizing subjects.

Design of Algodoo Simul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Algodoo 시뮬레이션 교수 학습 프로그램 설계)

  • Jeong, Jaehoon;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199-20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교과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융합인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고도화로 인해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과 지식의 융합을 교육 환경에 적용하는 스마트러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학생들은 모바일 기기의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학교 현장에서는 모바일 기기와 교육용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이 활성화 되고 있다. Algodoo는 2D기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물리적인 효과를 태블릿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며, 웹에서 다양한 물리적인 효과나 원리에 대한 학습내용을 참고 할 수 있다. 교수 학습자료는 2009 개정교육과정 초등 과학에 나온 내용을 분석 후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을 통해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 후에는 학생들이 시뮬레이션을 설계 및 실행하여 평가 및 반성을 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A Study about development of the web courseware for improving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mildly mental retarded children (경도정신지체 아동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용 웹 코스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 Jang, Yoo-Soon;Kim, Chang-Geun;Kim, By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51-254
    • /
    • 2002
  • 정신지체학생은 주의 집중의 문제, 느린 학습속도, 기억력, 저조한 흥미와 관심 등으로 인하여 전통적 수업방식으로는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멀티미디어와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집중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개인차가 심한 정신지체학생들에게 개별학습을 함으로써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한 수 있다. 다양한 경험과 생환중심의 교육이 필요한 정신지체아동들이 실생활에서 접하기 힘든 내용을 가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코스웨어나 학습한 후에 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생활중심 코스웨어, 인터넷 환경의 웹 기반 코스웨어 등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환경에서 멀티미디어와 컴퓨터를 통하여 다양한 경험뿐만 아니라 실생활에 필요한 내용을 학습하여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웹 기반 코스웨어 개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Impact of Adult College Students' Social Support and Servic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on Learning Engagement: Focusing on Medium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성인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대학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Jae-Cheol Cho;Jin-Sook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2
    • /
    • pp.251-259
    • /
    • 2023
  • This study is prepar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constructing learning system to reinforce learning facilitation and improve learning effect for adult college students by testing the medium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in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servic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nd learning engagement. For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73 adult college students attending 2-to-3-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The analyz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motivation had partial medium effect in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learning engagement. Second, learning motivation seemed to have complete medium effect in the relation of servic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nd learning engagement.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development and efforts are needed to establish various support systems and improve educational services in order to increase adult college students' immersion in learning.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Recommendation Model for the Customized Learning Course (맞춤형 학습코스 추천 모델의 효과분석 방안)

  • Han, Ji-won;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221-224
    • /
    • 2017
  • 본 논문은 사용자 수준에 적합한 맞춤형 학습코스를 추천하여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추천모델을 개발하고, 효과분석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수준이나 학습내용 등에 따라 적합한 학습주제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나, 일반적인 추천은 전문가 그룹을 활용한 사람중심의 추천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자원의 비효율적 한계점[1]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TF-IDF를 이용해 단어별 가중치를 계산하여 고빈도 단어를 추출하여 벡터 공간에 배치시키고, Cosine Similarity 기법을 이용해 벡터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였다. 학습자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학습스킬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학습코스를 추천하기 위해, 워드 임베딩 기법을 적용하였고, 이를 위해 오픈소스 Gensim[2]을 이용하였다. 맞춤형 학습코스 추천 모델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고 평가 문항지를 개발하였다.

  • PDF

The Effect of a Robot Programming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Lee, EunKyoung;Lee, YoungJ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6
    • /
    • pp.19-27
    • /
    • 2007
  • To help programming learning, we have designed a robot programming course that improves complex cognitive abilities. The developed course was implemented in college programming classes and educational effects were analysed. While students are learning through LEGO Mindstorms NXT and NXT-G software, the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have been enhanced. The developed robot programming course gives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problem solving abilities. It means that the developed course helps a learner in a cognitive domain.

  • PDF

Effect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Structures in a Scienc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초등 과학 수업에서 구조 활용 협동학습 효과 분석)

  • Shin, Eun Sun;Lee, Myung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71-174
    • /
    • 2012
  • 이 연구는 협동학습의 수행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느끼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협동학습 활동을 돕기 위해 협동학습 구조의 활용방안을 제안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구조 활용 협동학습을 설계하고,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과학과에서 실험단원을 선정하여 구조 활용 협동학습의 각 단계에 따라 수업을 하고,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관점에서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ㅎ'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 중 사전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에서 동질집단으로 확인된 2개 학급 56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구조 활용 협동학습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과학 탐구 능력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과학에 관련된 태도 변화에 있어서도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습자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Effects of cooperative Blended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instruction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효과)

  • Kim, Sung-Wan;Kwon, So-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49-252
    • /
    • 2011
  •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과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의 수행에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중학교 1학년 과학 내용 중에서 연구 단원을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K'중학교 1학년 학생들 중에서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에 의해 동질집단으로 확인된 2개 학습 79명이다. 연구대상 중 1개 학습 40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의 실험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면대면 협동학습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변화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Ver.12.0을 이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하였고, 학습태도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의 결과 첫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실험집단이 면대면 협동학습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 중 기억 영역에 그 효과성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습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첫째,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료 수집, 분석, 정리 단계에서 정보의 공유를 통해 적극적으로 학습을 유도하였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이 면대면 협동학습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학습태도에 효과적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학습자의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수 학습방법을 다각화하고 교과와 학습목표에 맞는 적절한 학습방법의 지속적 활용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The Effect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on LIS Education: Focused on Students'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 Han, Se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2 no.3
    • /
    • pp.81-10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urse with project-based teaming method for LIS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method on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LIS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quasi-experimental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 LIS undergraduate students and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LIS undergraduate students.

A Study on Learning Effect of Serious Game for Memory Improvement (기억력 향상 기능성 게임의 학습 효과에 대한 연구)

  • Lee, Hwa-Min;Hong, Mi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4 no.5
    • /
    • pp.39-46
    • /
    • 2011
  • Serious games are designed for special purposes of education, training, treatment as well as game-like fun and entertainment. Recently, domestic and foreign market of serious game are growing rapidly. By dissemination of smartphone, the global market for serious game will be expanded for various purposes and user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serious game 'QUICK REMEMBER 20' for memory improvement using smartphone. We analyze game users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valuat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this game with statistic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