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자료 부족

Search Result 36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공통과학 천문분야 교육지원을 위한 스마트교육 콘텐츠 자료실 개발

  • Lim, Jihye;Kim, Shinyoung;Han, Jeong-O;Kim, Min-Yeong;Sohn, Jungjo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1
    • /
    • pp.87.4-88
    • /
    • 2015
  • 고등학교 1학년 공통과학(융합과학) 중 천문 분야의 교수 학습 지원을 위한 스마트교육 콘텐츠 자료실을 개발하였다. 공통과학과 관련한 현장 연구의 결과들은 개념 전달의 어려움과 함께 과학적 사고를 위한 탐구활동이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교사들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교육 콘텐츠를 정리하고 이를 소개하여 학생들이 과학적인 탐구 활동을 통해 천문학 개념 이해에 도달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자료실 개발을 위해 공통과학 각 단원별 내용요소를 정리하고, 내용요소별로 관련된 스마트교육 콘텐츠를 수집한 후, 가장 적합하고 유용하다고 여겨지는 자료들만을 골라 이미지, 동영상, 시뮬레이터, 활동으로 분류하였다. 수집 및 분류한 스마트교육 콘텐츠들을 효율적이며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온라인 자료실 형태의 사이트(astroedu.knue.ac.kr)로 개발하였다.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현직 및 예비 교사들로부터 두 번의 공개 시연을 거쳐 수요자 중심으로 보완 작업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사이트는 교사와 학생들에게 필요한 스마트교육 콘텐츠를 찾아 제공하는 중간 공급자가 되어 교수 학습 지원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Information Literacy Cultivation For Elementary School Class Teachers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정보소양함양에 대한 연구)

  • 이영근;전우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385-387
    • /
    • 2002
  •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정보소양함양은 범국가적인 정보화사업추진의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에 학교는 그 선봉의 역할에 서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교 교육정보화의 중심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정보소양함양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원 정보소양 개념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하여 국내의 정보소양 인증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담임교사로서 학급운영과 학교행정업무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분야별로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한 구성요소로 작성한 평가 문항을 통해 교사는 자신의 정보소양을 자가 진단할 수 있고 부족한 부분의 영역에 대하여 처방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초등학교 담임교사 정보소양함양 시스템의 특징은 첫째, 각종 연수 및 정보통신기술 학습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둘째, 통합형 평가를 개발하고 평가 항목을 다변화한다. 셋째, 수준별/업무별 평가 과정을 개발ㆍ제공한다. 넷째,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항상시킬 수 있다.

  • PDF

GIS study model developm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초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을 위한 GIS수업모형개발)

  • Jo, Sun-Hyoung;Hong, Myung-Hu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281-286
    • /
    • 2007
  • 최근 디지털 맵이나 GIS와 같은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사회과 지리영역은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교육방법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북돋워줄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시청각매체는 학생들의 흥미를 만족시켜주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최신의 자료가 반영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요즘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쉽고 빠르게 찾아볼 수 있으며 구글 어스 등의 새로운 GIS를 활용하여 세계의 모습을 정확하고 손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교육과정에서 GIS를 활용하는 것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맵과 GIS를 조사하고, 이를 수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xploration of relations between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their teaching styles (중학생의 학습양식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교수양식과의 연관성 탐색)

  • Choi, Kyou-Lee;Choi, Kyung-Hee;Lee, Hyun-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9 no.2
    • /
    • pp.267-27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their teaching styl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20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14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average). Results indicated four categories of the relations: i.e. teachers implemented their teaching style (1) matching students' learning styles, (2) supplementing students' insufficient learning styles, (3) teacher-centered, but matching the diverse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4) based on their values and convictions. In general, teaching styles of the teachers did not match with their perceptions of students' learning styles. Instead, their teaching styles seemed to be more affected by their personal values and convictions.

Analysis for Triangles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 Focusing on the Instructional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of 2-D Shapes (평면도형의 교수·학습 요소에 따른 삼각형에 관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 Kwon, Misu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4 no.4
    • /
    • pp.233-246
    • /
    • 2021
  • Two-dimensional shapes have a great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and are closely related to other content area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that should be taught in two-dimensional shapes were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It also was analyzed that revised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year 2015 were properly implemented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the activities in the textbooks are not able to recognize 2-D shapes which are focusing on shapes of the actual object. In the case of Classifying two-dimensional shapes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presented differently from what was learned in the previous course. In the aspect of Applying the Concept, the activities in order to Discuss two-dimensional shapes were not sufficient. Lastly, in view of the fac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not consider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wo-dimensional shapes. For that reason, the following Knowing Relationships parts are insufficiently presente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s through Definitions and Properties,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s throughout classification activities, and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wo-dimensional shapes, it is suggested that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helps to enlarge the teaching methodology of triangles and provide educational perspectives for development in other shape area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BI Program for Space Design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of High School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주거공간 꾸미기 단원 WBI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김순안;조재순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5 no.4
    • /
    • pp.37-53
    • /
    • 2003
  • 이 연구는 고등학교 $\ulcorner$기술ㆍ가정$\lrcorner$주거 공간 꾸미기 단원의 교수-학습을 위한 WBI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WBI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주거 공간 꾸미기 단원의 교과 내용을 학습하고 HOME DESIGN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습함으로써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웹 기반 수업과 개별학습을 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은 ADDIE 모형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 선정, WBI 프로그램 설계, WBI 프로그램 개발 수업 적용, 평가 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우선 $\ulcorner$기술ㆍ가정$\lrcorner$6개 교과서의 주거 공간 꾸미기 내용을 정리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HTML과 PHP, MySQL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학습자와 컴퓨터와의 역동적인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온라인의 개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주메뉴를 교과서 연구실, 3D 홈 디자인 실습실, 자료 공유실, 종합 평가실의 네 부분으로 구성하여 이론을 약 6시간 동안 학습하고 나서 3시간 동안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고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청주시 C고등학교 1학년 학생 35명과 가정과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작동 여부를 화인하고 오류를 고쳐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이용한 회원은 4월 20일부터 6월 1일까지 2개 고등학교 학생 70명, 11개 고등학교 교사 11명이었다. 평가 결과 교사들은 본 프로그램에서 가장 유용하게 이용한 부분으로 ‘3D 홈 디자인 실습실(63.6%)’, ‘교과서 연구실(18.2%)’, ‘게시판. 자료실, 묻고 답하기 등(18.2%)’ 순으로 답한 반면 학생들은 ‘3D 홈 디자인 실습실(47.8%)’, ‘교과서 연구실(34.3%)’, ‘게시판, 자료실, 묻고 답하기 등(17.9%)’의 순으로 답하여 유용한 부분에 대한 순서는 일치하나 비율에 차이가 있어 교사들이 ‘3D 홈 디자인 실습실(63.6%)’을 더 유용하게 이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데 있어 교사는 ‘쉬운 편이다’라는 응답이 63.6%로 학생의 24.2% 응답과 차이가 있었으며, 제시된 학습 내용의 양이 ‘적당하다’에 교사가 63.6%, 학생이 48.4%로 답하여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교사들은 화면 구성이 ‘잘 구성된 편이다(72.7%)’,‘평상시 수업보다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81.2%)’로 답하여 교사들이 학생들보다 본 프로그램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장점과 개선할 점에 대한 개방형 평가는 교사들의 평가와 유사하여 ‘재미있어서 시간이 부족했다’, ‘잘하지는 않았지만, 직접 디자인해서 재미있었다’, ‘어른이 되면 주거 공간 활용을 잘 할 것 같다’, ‘새로운 경험이라 재미있었다’, ‘흥미롭고 재미있었다’, ‘쉽게 되어 있어 좋다’, ‘가구 배치가 잘 되었고. 흠 디자인한 색상이 잘 맞는다’라는 의견이었다. 그러나 주거 공간 꾸미기 WBI 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업이 컴퓨터에 대한 소양이 부족한 학생과 집중력이 떨어지는 학생에게는 다소 어려움이 있으므로 학생들의 개인차와 학교 실정에 따른 시간 배당 등을 고려하여 학생의 개별학습과 아울러 학교에서 교사의 설명과 함께 수업 시간에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 PDF

An Activity-based Instructional Design For Search Algorithm Expression of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의 알고리즘 표현을 위한 활동 중심의 검색 알고리즘 수업 설계)

  • Han, Byoungrae;Gu, Jungmo;Song, Ta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0 no.2
    • /
    • pp.161-170
    • /
    • 2016
  • Currently computer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mproving thinking skill instead of practical education of applied software. There are various studies that are to teach algorithm with visualization learning materials or activitives-centered unplugged class. However, algorithm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have various difficulties. One of the reasons is insufficient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Therefore we designed a activities-centered algorithm cla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algorithm classes for improving kids' thinking skill.

A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usefulness and problems of smartpad-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스마트패드 활용수업의 교육적 유용성과 문제점에 관한 질적 연구)

  • Leem, Junghoon;Ahn, Soons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8 no.1
    • /
    • pp.75-8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usefulness, problems of smartpad-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D elementary school in metropolitan area, two classes of digital textbook model school for seven years, were selected as the classes for observation. Six fourth and fifth graders and their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their 10 lessons were used for analyz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smartpad-based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Facilitating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effective use of various resource and SNS', 'improving concentrativeness', 'shortening waiting time' were identified as main educational usefulness. 'Lack of learning supporting tools', 'focusing on function rather than learning contents', 'low learning effectiveness', 'interference of flow' were presented as problems in using smartpad in classroom. Finally, some practical task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smartpad-based instruction were recommended.

Measurement of Construction Material Quantity through Analyzing Images Acquired by Drone And Data Augmentation (드론 영상 분석과 자료 증가 방법을 통한 건설 자재 수량 측정)

  • Moon, Ji-Hwan;Song, Nu-Lee;Choi, Jae-Gab;Park, Jin-Ho;Kim, Gye-Young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9 no.1
    • /
    • pp.33-38
    • /
    • 2020
  •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for counting construction materials by analyzing an image acquired by a Drone. The proposed technique use drone log which includes drone and camera information, RCNN for predicting construction material type, dummy area and Photogrammetry for counting the number of construction material. The existing research has large error ranges for predicting construction material detection and material dummy area, because of a lack of training data. To reduce the error ranges and improve prediction stability, this paper increases the training data with a method of data augmentation, but only uses rotated training data for data augmentation to prevent overfitting of the training model. For the quantity calculation, we use a drone log containing drones and camera information such as Yaw and FOV, RCNN model to find the pile of building materials in the image and to predict the type. And we synthesize all the information and apply it to the formula suggested in the paper to calculate the actual quantity of material pil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through experiments.

An Analysis of Learners' Difficulties and Proposal of Learning Support Plan for the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국내대학의 온라인교육 확대에 따른 학습자의 어려움 및 학습지원방안)

  • Kim, Jae-Yeob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1 no.1
    • /
    • pp.71-78
    • /
    • 2021
  •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nature of college education causing many changes to the way it is conducted. One of these changes is the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learners due to the transition to rapidly expanding online education at domestic universities, and to seek ways to support their learning through this new online platform. Results of a questionnaire showed that learn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ir interactions with professors because of the rapid transition to online education without adequate preparat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ere not enough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professors as a result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and that learners did not receive Q&A or feedback quickly enough. The study also examined ways to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Students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items such as "appropriate guidance regarding announcements such as lecture schedules," "providing lecture notes as learning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