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wo-dimensional shapes have a great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and are closely related to other content area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that should be taught in two-dimensional shapes were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It also was analyzed that revised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year 2015 were properly implemented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the activities in the textbooks are not able to recognize 2-D shapes which are focusing on shapes of the actual object. In the case of Classifying two-dimensional shapes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presented differently from what was learned in the previous course. In the aspect of Applying the Concept, the activities in order to Discuss two-dimensional shapes were not sufficient. Lastly, in view of the fac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not consider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wo-dimensional shapes. For that reason, the following Knowing Relationships parts are insufficiently presente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s through Definitions and Properties,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s throughout classification activities, and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wo-dimensional shapes, it is suggested that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helps to enlarge the teaching methodology of triangles and provide educational perspectives for development in other shape areas.
도형 영역은 초등학생들의 학습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다른 영역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평면도형에서 핵심적으로 지도해야 할 교수·학습 요소를 문헌에서 추출하였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삼각형을 지도할 때 가르쳐야 하는 교수·학습 요소가 2015 개정 수학 교과서에 적절히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 알기의 경우 실제 물건의 모양에 초점을 두고 평면도형을 인식하는 활동이 부족하며, 기준에 따라 평면도형을 분류할 때 분류 기준이 이전 차시와 다르게 제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 적용하기의 경우, 평면도형에 대해 토론하는 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계 알기의 경우,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도형 사이의 관계는 다루지 않기 때문에 정의와 속성을 통해 도형 사이의 관계 파악하기, 분류 활동을 통해 도형 사이의 관계 파악하기, 도형 사이의 관계에 대해 토론하기의 전반적인 부분이 부족하게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삼각형의 지도 방향을 제시하고 삼각형에 관한 추후 교육과정 자료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