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생의 이미지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1초

교육 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 이미지, 몰입과 학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Quality of Education Servics on Student Satisfaction, Image, Commitment and Loyalty)

  • 김준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145-15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 환경에 변화속에서 교육 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 대학이미지, 몰입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양질에 대학교육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229명을 표본으로 6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교육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대학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만족은 몰입과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미지는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몰입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를 통해서 교육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대학에 노력이 대학이미지와 충성도에 영향을 주고 장기적인 대학의 경쟁력 향상을 가져 온다고 할 수 있다. 교육 서비스품질 관리를 위한 궁극적인 노력이 급변하는 대학환경에서 생존하는 방법을 제시해 줄 것이다.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 분석: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Hanbok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and Gender)

  • 김상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한복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을 알아보고 성별 및 한복수업 참여 여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고등학생 438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SPSS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교차 분석, t-검정, F-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고등학생은 한복을 우아한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중매체 및 온라인상에서 화려한 한복 디자인에 노출되어 한복에 대한 화려한 이미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복 이미지는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되었다. 촌스러운 이미지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한복수업 미참여 남학생 집단이 수업 참여 남학생 집단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선호하고 있는 한복 유형은 전통한복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퓨전한복, 생활한복, 패션한복 순으로 나타났다. 한복 선호 유형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패션한복에 대한 선호는 한복수업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전통한복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심미성, 지속가능성, 실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한복 인식은 한복수업 참여 여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그리고 한복수업 참여 학생이 미참여 학생에 비해 전통한복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기술을 이용한 문헌정보학 교수법 개발연구 (Teaching Methods for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sing Image Technology)

  • 전명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9-230
    • /
    • 2004
  • 본 연구는 이미지기술을 이용한 교과목과 과제물을 개발하여 강의 한 후 학생들을 평가한 사례연구이다. 이 결과 문헌정보학의 여러 과목에 기존의 시청각과목에서 가르치던 멀티미디어 기술과 새로운 이미지 정보기술 방법을 종합하여 강의하게 된다. 학생과 교수는 최고의 인간관계를 맺게 되고 문헌정보학의 과목은 재미있고 수강 학생수가 증가하면서 교수의 강의 평가점수가 많이 향상되었다.

초등학생들의 빛에 대한 이미지 스키마 분석을 통한 개념적 은유 구조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Conceptual Metaphor Structures about Light through Analysis of Their Image Schema)

  • 정진규;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13-82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빛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미지 스키마를 통해 이들의 개념적 은유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상남도 G시의 한 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62명이다. 이 연구를 위해 분석틀이 고안되었으며, 그 분석틀은 이미지 스키마 분석틀과 체계적 기능 문법 분석틀이다. 학생들의 빛 개념을 묻는 질문지도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원에 대해 학생들은 빛에 대해 두 가지의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보였으며, 그 두 가지는 빛이 광원으로부터 나와 직선으로 공간에 퍼져나간다는 것과 빛이 광원 주위에 정지해 있다는 것이다. 둘째, 물체를 보는 과정에 대한 이해에서는, 학생들은 과학자적 개념을 포함하여 5개의 구조를 나타냈다. 셋째, 빛의 반사에 대한 이해에서는 학생들은 과학자적 개념을 포함하여 4가지의 개념 구조를 나타냈다.

이미지를 이용한 효율적인 학생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Efficient Student Management System Using Image)

  • 김영만;송동영;오윤주;윤성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029-1032
    • /
    • 2002
  • 오늘날 학생들의 사고 방식이나 가치관은 과거와 달리 그 양상이 매우 다양하고 개성이 강하며 개인차 또한 심한 편이다. 그러므로 학생관리의 성패는 학생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의 수집과 적재적소에의 이용이라고 볼 때, 필요한 정보를 적기에 추출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는 게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 생활지도 및 진로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이미지를 이용한 효율적인 학생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검색 대상의 부분적 정보인 신체적인 특징 등의 조합과 같은 비정형화된 데이터를 가지고 검색이 가능하며, 쉽고 빠르게 또한 정확한 결과를 도출한다. 학생에 관한 데이터를 새로이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기존의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C/S)의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성을 높였다.

  • PDF

대학생들의 증명 구성 방식과 개념 이해에 대한 분석 - 부분 공간에 대한 증명 과정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Proving - Focused on the concept of subspace in linear algebra -)

  • 조지영;권오남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4호
    • /
    • pp.469-493
    • /
    • 2012
  • 본 연구는 증명을 성공적으로 구성하는 학생들은 수학적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증명을 어떻게 구성하는 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증명을 구성하는 다양한 방식과 개념 이해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증명 구성에 도움이 되는 수학 학습에 제언을 얻기 위해서는 증명을 구성하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개념이 어떻게 반영되고 이용되는 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4명의 수학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문론적 증명을 하는 학생들은 형식적 개념의 내용을 정확하게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개념이 담겨있는 명제는 어떠한 방식으로 증명하는 지 그 방법까지 알고 있었다. 실제 증명에서도 평소 증명 경험을 통하여 학습한 증명 전개 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증명 방법에 대한 절차적 지식이 구문론적 증명에는 중요한 요소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의미론적 증명을 하는 학생들은 형식적 개념의 내용을 정확하게 알고 있고 그 내용과 의미를 본인만의 언어나 그림으로 표현한 개념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구문론적 증명을 하는 학생들의 개념 이미지와 비교해보았을 때, 의미론적 증명을 하는 학생들의 개념 이미지는 구문론적 증명을 하는 학생들의 개념 이미지보다 형식적 개념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이러한 개념 이미지는 개념 이미지를 활용하여 증명의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생각한 아이디어를 증명의 형식에 맞게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서 의미론적 증명에 필요한 요소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임상실습을 경험한 방사선과 학생의 방사선사 이미지에 대한 주관성 연구 (A Q-Methodological Study on the Radiologist's Image of Radiology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 김영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51-57
    • /
    • 2020
  •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임상실습을 경험한 방사선과 학생의 방사선과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과 그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바람직한 방사선사의 이미지를 정립하기 위한 방사선과의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8주동안 첫 임상실습을 경험한 3학년 방사선과 학생 30명을 P표본으로 편의표집 하였으며 33개의 Q표본을 9점 척도의 Q 분포도상에 강제 분포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PROGRAM에 의한 주인자분석법으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아이겐 값(Eigen value)이 1.0이상으로 2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은"환자중심형", 제 2유형은"조직중심형"이었다. 이 결과는 예비방사선사인 방사선과 학생의 직업가치관 유형별 향후 진로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연속함수에 대한 고등학교 교과서의 정의와 고등학생들의 이해 (High School Textbook Definition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tinuity of Functions)

  • 박달원;홍순상;신민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53-46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연속함수에 대한 오개념 이미지의 원인을 찾기 위하여 고등학교 수학II 교과서와 수학과 고등학교 교육과정해설서를 조사 분석하고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도입하고 있는 함수의 연속성에 대한 정의 방법이 교과서별로 동일하지 않고, 대학의 공식적인 정의와도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연속함수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이미지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오개념 이미지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함수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대학의 공식적인 정의를 학교수학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방법으로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제시하여 한다.

  • PDF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삼각형에 대한 개념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f 2nd Grade Students' Concept Image about the Triangle)

  • 김지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2호
    • /
    • pp.425-440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1학기 '여러 가지 도형' 단원을 학습한 학생들이 갖고 있는 삼각형에 관한 개념 이미지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학생들은 삼각형과 세모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개념 이미지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삼각형의 정의를 기계적으로 암송할 수 있지만, 변과 꼭짓점에 대한 심상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삼각형을 판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무엇보다 삼각형이라는 용어는 각의 관점의 용어이지만, 2학년 교과서에서는 각의 개념을 도입하지 않은 채 변의 관점에서 도입함으로 인해 학생들은 각을 변이나 면으로 혼동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고등학생들의 담배광고에서 지각한 흡연자 이미지가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moker Image Perceived Cigarette Advertising on Intention of Adulthood Smoking Among Highschool Students)

  • 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785-795
    • /
    • 2014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흡연자에 대한 이미지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며, 흡연자에 대한 이미지가 청소년들의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흡연자 이미지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흡연자 이미지 척도의 구성타당도 분석 결과 단일요인 10개 문항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일치도 계수는 .91로 높았다. 둘째, 담배광고로 인해 형성된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남자와 흡연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성별과 흡연 여부를 통제한 상태에서 성인기 흡연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담배광고로 인해 형성된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청소년들의 성인기 흡연 의도를 증가시키는 위험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