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학령기아동의 음악적 성향과 유머감각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Resilience in school-age children related to sense of music and humor)

  • 심인옥;황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93-605
    • /
    • 2015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음악적 성향과 유머에 대한 감각 수준 파악 및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경기, 강원지역에 거주하는 학령기 고학년 아동인 4학년에서 6학년 학생 265명을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음악적 성향, 유머감각,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출생순위가 빠를수록 자아탄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적 성향, 유머감각 및 자아탄력성은 학령기 아동에게서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음악적 성향을 신장시키고 유머활동을 통해 유머감각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 기초적 이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가족의 건강성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 (Family Strengths and Ego-Resilience of School-Aged Children)

  • 강희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93-102
    • /
    • 2005
  • This study ent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s and ego-resilience of school-aged children. The Family Strengths Scale is composed of four factors; family commitment, family communication, family values and family crisis coping strategies. The participants were 392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family strengths was generally high. Family commitment was the highest and family values was the lowest among the four factors. Second, the degree of ego-resilience of school-aged children reported by the mothers was also generally high. Finally, two factors of family strengths, that are,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valu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ego-resilience of childre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사회적 지지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Social Supports and Ego-Resilience of Children)

  • 강희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49-159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s and the ego-resilience of school-aged children. The Social Supports Scale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social supports from family, friend, and teacher. The subjects were 438 school-aged childre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ocial supports was generally high, with the highest level being from family. Second, the level of ego-resilience was also generally high. Finally, all social supports from family, friend, and teacher had positive influences on ego-resilienc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social supports from frien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학령기 아동의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 자기역량감을 중심으로 (Father Attachment/Mother Attachment and Ego-Resiliency as Mediators of Self-Competence)

  • 조희금;민하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5호
    • /
    • pp.17-2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father attachment/mother attachment, self-competence and ego-resiliency in school aged children. Path analysis was utilized to examine relations among variables. The subjects were 701 school children attended in elementary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by the use of SPSS 19.0. and AMOS 19.0 Results indicate that (1) Both of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have not direct effect on ego-resiliency but self-competence has direct effect on ego-resiliency. (2)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influence ego-resiliency in paths through self-competence. And father attachment influence more on self-competence and ego-resiliency than mother attachment.

학령기 아동의 안녕감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f School-Aged Children's Well-Being and Its Related Variables)

  • 이희은;문수백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3호
    • /
    • pp.45-5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well-being. 748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Gumi-City, Pohang-City and Ulsan-City in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well-being, ego-resilience, self-esteem,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 attachment perceived by children. A variance-co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S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go-resilience, self-esteem,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 attachment were all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hildren's well-being. Second, children's self-esteem,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 attachmen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ego-resilience. Third,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 attachmen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Fourth, parent attachmen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 지각과 자아 탄력성이 학령기 후기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te School-Aged Children's Perception of the Mother's Response to Negative Emotions and Ego Resili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 이상희;이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37-248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ate school-aged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mother's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and their ego resili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90 fifth- and sixth-graders residing in Kwangju, Korea. With the data, frequency, percentages, and Cronbach's ${\alpha}$ were calculate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also considered. The effects of various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 were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vitality had the greates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llowed by vitality, optimism, emotional coaching respons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otion-reducing responses, emotion control, and the material employment status, in that order.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additional insights into the mother's desirable response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ositive ego resilience in children's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elucidation of effects of late school-aged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mother's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and their ego resili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학령기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아동의 인격성향에 관한 연구 - 한국아동인성검사를 이용하여 - (A STUDY ON THE PERSONALITY TRAIT OF BULLYING & VICTIMIZED SCHOOL CHILDRENS)

  • 진혜경;김종원;최윤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94-102
    • /
    • 2001
  • 최근 학교 아동들 사이에 집단따돌림현상이 문제화되고 있다. 학급에서 여러명의 학생이 특정 학생을 놓고 집중적으로 괴롭히고 따돌리는 현상은 비단 따돌림을 당하는 아동뿐만 아니라, 따돌림을 하는 아동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따돌림의 원인은 다양하며 그중 따돌리거나 따돌림을 당하는 아동의 인격적 측면도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 따돌림의 피해군, 가해군, 피해 및 가해군과 무경험군 사이에 인격성향의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9년 3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중인 아동 215명(남자 115명, 여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과 아동의 보호자에게 집단따돌림의 여부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으며 아동의 보호자에게 한국아동인성검사(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1997)를 실시하여 아동에 관한 자료들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version 통계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각 집단간 차이는 ANOVA, post hoc scheffe test, Student’s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피해군, 가해군, 피해 및 가해군과 무경험군은 각각 11명(5.1%), 56명(26.0%), 11명(5.1%), 137명(63. 7%)이었다. 2) 따돌림피해의 빈도에 있어 1회 15명(7.0%), 2회 4명(1.9%), 3회이상 3명(1.4%)이었다. 또한 따돌림 가해빈도는 1회 40명(18.6%), 2회 17명(7.9%), 3회이상 10명(4.7%)이었다. 3) 집단따돌림의 피해군, 가해군, 피해 및 가해군과 무경험군에 있어 한국아동인성검사상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무경험군에 비하여 피해군은 자아탄력성(p=.00)척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과잉행동(p=.00), 정신증척도(p<.01)는 유의하게 높았다. (2) 무경험군에 비하여 피해 및 가해군은 자아탄력성척도(p=.00)가 유의하게 낮았고, 신체화(p=.00). 과잉행동척도(p=.00)는 유의하게 높았다. (3) 가해군에 비하여 피해군은 사회관계(p=.00), 정신증(p<.01), 자폐증척도(p=.00)가 유의하게 높았다. (4) 가해군은 무경험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으로 보아 피해아동은 상황에 따른 적응력이 떨어져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며, 대인관계를 잘 갖지 못하고 행동이 부산하거나 충동적인 면이 있어 또래관계에서 소외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사회기술이 떨어지고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인격성향을 보이며, 이러한 특성은 피해전의 특성일수도 있으나, 피해로 인해 생긴 문제일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피해 및 가해아동도 피해아동처럼 적응력이 떨어져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행동이 부산하거나 충동적인 면이 있으나 사회적 관계를 맺는 기술의 문제나 정신증적인 특성, 자폐증적인 특성을 보이지 않고, 자신이 피해후 갖게된 분노감, 우울, 불안 등을 신체화시키고, 그러한 느낌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른 친구를 가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피해아동보다 피해후 발생하는 사회적 위축이나 적응상의 문제가 더 적을 것이다. 또한 가해 아동은 인격성향에 있어서 특이소견이 없었던 바 사회문화적, 교육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