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급단위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iverse Identification Methods for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at Each Elementary School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에 따른 영재 특성 비교)

  • Kim, Hae-Jung;Han, Ki-Soo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3 no.2
    • /
    • pp.257-27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more useful identification method by comparing diverse selection approaches for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at the each elementary school. Diverse selection methods examined in the study include 'written examinations', 'mixed evaluation', 'achievement test scores', and 'self-recommendation'. For the study, each identification group's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intelligence, creativity,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compar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594 gifted and norma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in each gifted education class and gifted students who belong to the regional gifted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considered higher level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Whil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all aspects examined, such as intelligence, creativity,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In addition and most importantly, diverse identification method utilized in each school showed differences in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Especially, students who were selected through the self-recommendati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telligence, creativity,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and education for the gifted at each elementary school were discussed in depth.

Effects of Class-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Improvement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Kim, Mi-Hee;Hong, Mi-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5
    • /
    • pp.613-623
    • /
    • 2017
  • This study is aimed at verifying the effect of class-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improvement. The target of this study consisted of the lowest-leveled 3rd graders among the students attending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00, Daejeon City, who were tested for school adjustment. The class-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from October 15, 2014 to November 19, 2014, once a week, for 40 minutes for each session, a total of six rounds. For this study, the scale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was used by pre-post comparison. As an analysis method for verifying the effects of this study, ANCOVA was used in consideration of pre-test, in comparison of post-test results between groups, regarding the scale 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child's emotional regul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rogram performance. Second, child's school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rogram performance. In conclusion, class-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let children see through the process of emotional change, and properly regulate their emotions.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provided situations in which peers meet together casually, giving a positive change for school adjustment improvement based on the pe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to help enjoying school life, by constructing a proper program to be applied at school in a variety of ways.

Exploring the Problem and Solu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of School-based Program for the Gifted in the Arts (단위학교 예술영재학급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탐색)

  • Lee, Kyungjin;Kim, Sunghye;Kang, Byoungji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5 no.2
    • /
    • pp.299-320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roblem in curriculum development in school-based gifted program in the arts and suggest the way to solve that. For this study, we surveyed 28 teachers and guest instructors, furthermore interviewed 6 teachers (4 in music and 2 visual art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not only curriculum development of school-based program for the gifted in the arts was not systemic, but also most teacher depended excessively on guest instructors due to the lack of expertise and information for curriculum development. Also, They did not understand specific meaning of the giftedness and gifted curriculum in arts nor recognize the unique role of school-based gifted program. In addition, most teachers simply attempted to solve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on a personal level. Their research condition were inadequate to plan curriculum. To solve these problems in curriculum development in school-based gifted program in arts, we suggested some solutions: differentiated teacher in-service program,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fundamentals of curriculum, system for connecting materials, information and human resources, as well as consultative body for improv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chool-based gifted program.

A Class Organizing System for Elementary Schools (초등학교 학급편성 지원 시스템)

  • Lee, Min-Hee;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100-107
    • /
    • 2004
  • 각 초등학교에서는 학년말이 되면 신학년도의 교육활동을 위해 진급학년의 학급편성을 새롭게 한다. 학급은 학교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단위이며, 교육적 목적에 맞는 학급편성은 효율적인 학교 학급경영의 출발점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학급편성 업무수행 실태는 해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업무이지만 정보처리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진급반편성 관리 기능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찾아보고,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수행 실태를 분석하여 교사의 반복적인 업무수행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학급편성 절차를 최적화할 수 있는 초등학교 학급편성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 PDF

Feasibility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of Jangan Primary School Building (서울 장안초등학교 재건축 계획 설계 연구 요약)

  • Kim, Seung-J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3 no.3
    • /
    • pp.59-70
    • /
    • 1996
  • 장안초등학교는 한국전쟁 이후인 1955년에 개교된 초등학교이다. 처음에는 8학급의 가교사시설에 18학급으로 편성되어 초기부터 시설이 양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이 지역의 학생수 증가로 거의 매년에 걸쳐 학급수의 증가와 교실증축이 함께 이루어 졌다. 현재 건물의 건립년도를 살펴보면 1965년 6월에 처음 신관 1층 부분이 건설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 꾸준히 증축되어 왔으며, 대지 동측의 별관은 1993년 12월에 건설된 새건물로, 학교교사 건물이 30년된 건물과 최근의 건물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건물이 구조적으로는 100년도 견딘다 하지만 실제로는 약 30년이면 콘크리트의 산성화가 가속화되면서 구조적으로 안전하지 못하다는 학설이 인정되어, 최근 30년이 경과된 학교 건축의 재건축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실제로는 25년이상 경과된 건물에서도 구조적인 하자가 발생하는 예 가 많아 교육부에서는 대체로 25년이상 경과된 건물에 대하여 재건축을 실시하고 있다. 장안초등학교는 20년에서 30년 경과된 건물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관계로 재건축이 실시되는 예이다. 아직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건물은 본관의 남측부분의 교사(1983년 증축)과 신관의 우측부분(1985년 9월 23일 증축)과 별관(1993년 12월 14일 신축)교사동을 들수 있다.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하여 철거할 것인가 혹은 그대로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 있어, 최종적으로 별관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본관 남측부분은 가장 마지막 건설시기에 철거하고 신관 우측부분은 규모가 작아 철거하기로 하였다. 학교건축은 다른 일반건물과는 달리 교육이라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수 있는 공간구성이 필수적이라 할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교육이란 예전의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21세기를 바라보는 정보화 세계화를 지향하는 교육으로 학생 개개인의 창의성과 자주성을 발휘시킬수 있는 교육이라는 점에 대하여 의견은 없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이란 다양한 교육방법을 전제로 하며 하나의 학년을 하나의 학습그룹으로 생각하는 것은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한 학년의 그룹을 교대상의 기본으로하여 이러한 그룹에 대하여 일제학습, 그룹학습, 팀티칭, 개별학습이 이루어 질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점을 본 장안초등학교 기본계획에서 출발점으로 하였다. 물론 학교전체 학생을 콘트롤할 수 있는 교육방법도 존재한다. 선진 외국의 예를 살펴보면 아동의 능력별 교육을 위하여 무학년제(Non-Grade)를 도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학급단위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 학급단위는 교육단위이면서 생활지도 단위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학교건축의 간장 기본 단위가 되는 보통교실 계획을 보통교실과 오픈스페이스를 연속시킨 유니트로 계획하여 일제학습, 그룹학습, 팀티칭, 개별학습 등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로는 36학급을 계획할 경우, 한학년의 6개 학급이 하나의 공통된 공간내에 그룹핑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제3안의 배치에서 제안하여 보았지만 북측교실, 오픈스페이스의 통로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 규모가 너무 커서 3개학급을 하나의 유니트로 하였다. 물론 한학년이 동일한 층에 배치시켜 서로의 관련성을 높게 하였다. 특별교실 계획은 보통교실과의 관련성과 장래 지역개방의 역할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장안 초등학교의 경우는 별관을 그대로 사용 한다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편복도 형식의 교실에서는 보통교실 계획의 어려움이 있어 특별 교실동으로 고려하였다. 때문에 지역개방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체육관은 기준령에는 권장시설로 되어 있지만 학교시설에 필수적인 시설이라 생각한다. 체육은 국민건강에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체육관 건설은 실외체육 실내체육에 대응할 뿐 아니라 학교 행사등에 유용히 사용되기 때문에 더욱 필요시설이라 할수 있겠다. 또한 지역개방을 위하여 정문 혹은 후문 가까이에 배치시키는 것은 필수적이다. 별관, 체육관, 운동장, 후문측에 12학급용의 단독건물 등의 기본적인 제약조건을 고려하여 배치하자면 자연히 교실동들이 분산되는 결과를 낳게된다. 이러한 각각의 교사동을 A동을 중심으로 구름다리로 연결하여 동선의 불편함을 해소시켰다. 주차장은 후문 가까이에 약 10정도의 주차공간이 확보가능하다. 이외에는 운동장을 사용하는 방법과 체육관의 1층부분을 필로티로 하여 그곳에 20대 정도 주차시키는 방안이 있다. 주차는 많을수록 편리는 하겠지만 제한된 대지에 모두 만족 시켜주기는 불가능하다. 공공용의 주차와 소방에 필요한 동선이 요구된다. 특히 도심주차난을 생각할 때는 차라리 적극적으로 지하주차장을 계획하는 방안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67학급은 초대형 규모로 초등학교 규모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장래를 고려하여 48학급에서 최종적으로 36학급으로 계획하였으나 한동안은 67학급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신설 초등학교가 가까운 시기에 개교될 것을 기대한다.

  • PDF

Design of a Mobile-Based Integration Class Management System in the Elementary School (모바일 기반 초등학교 통합 학급 운영 시스템 설계)

  • Cho, Yun-Seop;Lee, Soo-J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267-275
    • /
    • 2005
  • 특수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지도 방법의 이해 부족 및 특수아동의 학부모와의 상담여건이 조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들은 일반학생들의 지도와 병행한 특수아동의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모바일 환경 속에서의 통합학급운영 시스템 설계를 하였다. 첫째, m-Learning환경에서 특수아동을 지도하는 통한학급교사에게 시간적, 공간적으로 효율적인 도움이 될 정보를 제공하는 폰페이지를 구성하였다. 둘째, 무선인터넷의 특징인 즉시성, 편재성, 보안성을 갖는 모바일환경의 폰페이지에 학부모와 특수아동에 대한 정보 교환 및 상담이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아동을 통한 알림장 작성이 불가능한 특수아동을 위하여 폰페이지에 알림장을 만들고 학부모에게 학교에 관련된 정보와 학급 상황을 전달하도록 하였다. 넷째, 통합학급과 특수학급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지역별, 또는 교육청 단위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SMS서비스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모바일통합학급운영시스템은 현장에서의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특수교육에 대한 자신감과 특수아동의 학부모와의 체계적인 상담 기회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통합학급을 운영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A Research of the Width of Passage in the Namyangju Elementary School Classroom (남양주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통로 폭에 관한 조사 연구)

  • Yoon, Hee-Cheol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9 no.4
    • /
    • pp.60-69
    • /
    • 2020
  • This research is a preliminary study to find out the module of 20 students in a classroom.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widths of passages in the 30 classrooms of 5 elementary schools in Namyangju City, Korea.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area of unit for 1 student was 650 (W) × 950 (D). Second, the desk placements for most classrooms were one-way types (87%), and group-study types constituted 13%. Third, the width between the blackboard and the very front desk was 2.17 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the very back seat and the backside lockers was 1.32 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the sidewall and the nearby desk was 0.8 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the window and the nearby desk was 0.8 m. The average widths of 2 vertical passages between the desks were respectively 0.67 m and 0.68 m. Fourth, the area of the teacher was 2.1-2.25 m × 2.16 m = 4.5-4.8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Gifted Class Management by the Teachers of Elementary Gifted Class in Science (단위학교 초등과학영재학급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 Joo, Yeun Jung;Yeo, Sang-Ih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4 no.6
    • /
    • pp.935-959
    • /
    • 2014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 in the gifted class management. The participants of the this study were teachers of the science gifted classe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study was conducted in interviews with four teachers of the science gifted class that individually used their own gifted programs.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apply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of analysis derived from Giorgi. Data collection focused on the feelings, thoughts, behaviors, and changes in life of the teachers of the gifted in order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123 significant statements were deduced; based on these significant statements, 26 themes and 12 focal meanings were examined closely. Then, the focal meanings were combined to propose situated structural descriptions of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At the same time, by integrating the situated structural descriptions of the individual participants,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 of the science gifted class were organized as a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 This study examined in depth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 of the gifted who are the subjects of the gifted class management through a phenomenological method, and also attempted to examine what these teachers wanted on site and what their experiences with the gifted education meant to them. The implications in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in individual elementary schools and in improving the gifted class management were suggested.

Friendship Expectation Perceived by Science-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이 지각하는 교우기대감)

  • Joo, Sunah;Yeo, Sang-Ih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6 no.1
    • /
    • pp.37-51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friendship expectation that science-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in gifted class and regular class. In 233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329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we measured the friendship expectation that sub-domains were intimacy, ability similarity, and mor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friendship expectations of science-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at the regular clas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in the sub-domains of intimacy and moral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domain of ability similarit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friendship expectations of science-gifted at the gifted class and at the regular clas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domain of intimac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domains of morality and ability similarity. Based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to understand the friendship of the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were suggested in depth.

A Research of the Width of Passage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 Centered on Elementary Schools in Northen Gyeonggi Province -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통로폭에 관한 조사 연구 -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 Yoon, Hee-Cheol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7 no.3
    • /
    • pp.26-34
    • /
    • 2018
  • This research is a pre-research to find out profit module of 20 students in a classroom. I researched the widths of passages in the 30 classrooms of 5 elementary schools in Nothern Kyeonggi-do. I found the conclusions as follows. 1st, the area of 1 student's unit is $650(W){\times}950(D)$ 2nd, most of classrooms' students table placements are one-way types(77%). U-types are 13%. group study-types are 7% 3rd, The width between blackboard and front student's table is 2.08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back seat and backboard is 1.12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side wall and near student's table is 0.89m. The width of passage between window and near student's table is 0.74m. The width of vertical passage(A) between student's tables is 0.68m. The width of vertical passage(B) between student's tables is 0.7m. 4th, The area of teachers' is $2.1m{\sim}2.25m{\times}2.1m=4.41{\sim}4.73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