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 환경 디자인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9초

장애 체험 활동을 통한 학교 편의시설 접근성 평가 (Evaluation for School Facility by Disabled Experiment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조재순;이정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64
    • /
    • 2007
  • 이 연구는 학생들이 유니버설디자인과 편의시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응한 편의시설 가운데 학교편의시설의 접근성을 실험하는 장애체험활동 교수 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이 과정안에 따라 장애체험활동을 함으로써 학교편의시설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개발한 자료는 학교편의시설 실험활동에 활용할 2차시분의 장애체험활동 교수 학습과정안과 장애체험활동 기록지, 활동 평가에 사용할 활동 평가지가 있다. 연구 대상학교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중학교 2개 학교와 일반 중학교 5개 학교로 설립기준, 지역, 건축년도, 학급 수, 건물 층수, 학교형태, 통합교육 실시여부 등을 고려하여 편의시설이 다양한 7개 학교를 임의 선정하였다. 대상학생 수는 학교별로 30명씩 희망자를 선정하고 실제 장애우(4명)를 포함하여 총 214명이 참여하였다. 각 실험조는 손이나 팔 장애우 팀, 목발 장애우팀, 휠체어 장애우팀과 더불어 비장애우 1개팀 총 15명으로 구성하였다. 학교편의시설 장애체험활동으로 학교편의시설의 접근성을 2005년 11월 26일부터 12월 24일까지 실험하였으며, 학교편의시설 평가는 장애체험활동 기록지 185부와 활동 평가지 200부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version 10.0)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백분율, 교차분석, t 검증, 일원분산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편의시설이 편의증진법의 학교편의시설 기준에 미달되거나 설치율이 낮으며, 설치되어 있어도 접근하기 어렵거나 이용이 불편한 시설이 맡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안전사고나 부상을 많이 경험하고 있었고, 학교편의시설에 대한 위험하고 불편하여 개선할 시설로 화장실, 복도, 계단을 지적하여 접근성 평가의 학교편의시설 실태와 일치하였다. 장애체험활동 교수 학습과정 안에 대한 평가는 장애체험활동에 대한 의견은 내용이 유익하고 만족스러우며 수업 시간에 배워야 할 내용으로 평가하였으며, 이 의견보다 학교편의시설을 바르게 설치해야하는 중요성을 알게 되거나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인식 변화가 더 높았다. 학교편의시설의 불편한 점을 알게 되거나 학교편의시설이 장애우에게 불편할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비판 의식은 세요인 중 가장 높아 장애체험활동을 통해 학교편의시설의 접근성을 실험하는 교수 학습은 학교편의시설의 개념을 이해와 실태를 파악하여 학교편의시설이나 생활환경에 관심을 갖게 되고, 장애우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의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해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모든 사람들과 더불어 생활하는 공동체의식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관광자원화를 위한 문화재보호구역 내 미술관 리노베이션 계획연구 -사적 제314호 광주 분원리 조선백자도요지 내 폐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useum Renovation in the Preserved Area of Cultural Properties for Sightseeing Resources)

  • 정영환;유보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43-54
    • /
    • 2004
  • 문화재의 이해는 당시 사회상의 이해와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우리 문화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소중한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호ㆍ관리하여 후손에게 길이 물려주는 일은 가장 중요한 국가적 과업의 하나이며, 국민의 문화의식 제고와 민족문화의 창조적 발전을 위해서 그 무엇보다 먼저 지키고 보호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1962년 ‘문화재보호법’ 이 제정되어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문화재보호정책은 많은 전통문화유산을 계승ㆍ발전시키는데 큰 몫을 다하고 있다. 특히 문화재보호법 중 ‘문화재보호구역’ 은 보다 적극적으로 문화재와 문화재주변의 역사적 문화환경권을 보호할 수 있는 중요한 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는 반대로 해당 문화재 특히, 매장문화재의 발견과 문화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의 주민들은 해당지역에 적용되는 문화재보호법으로 인해 주변 사유지에 대한 재산행사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됨은 물론 지역 경제발전에도 많은 제약이 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까지 경제논리에 맞는 국토개발과 전통문화유산의 보호는 항상 정책논리에 의해 충돌하여 왔고 그 대립은 지역주민의 많은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보호구역 내 공공시설인 폐교의 리노베이션(renovation)을 통해 매장문화재 보호의 적절한 방법ㆍ전시공간계획 및 전시매체ㆍ부대시설을 제안함으로써, 부동산문화재(매장문화재)를 보호함과 동시에 주변 거주자들의 문화적 ㆍ경제적 혜택 증대를 위한 실증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세스를 모색한다. 즉, 이용자의 관찰을 통해 공간 행태의 본질과 행위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공간디자인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조형언어로 발전된다면 인간과 환경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 프로세스가 나타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용자의 행위와 심리를 디자인에 반영함으로써, 물리적 데이터에 근거한 기존의 공공공간 디자인과는 달리, 인간 삶의 질적 향상을 지향하고 보다 인간 중심적인 디자인이 창출될 수 있다.하게 될 것이다이다.e design stresses and actual stresses are estimated.간공학적 실내 설계 및 부속실의 편의성 도모, 외관통합 색채디자인 등을 통해 한국 고유형 고속전철 차량 디자인을 개발하였다.원형이자 조형기호로 상징적 체계와 미의식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현대적 구현과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한국문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한 정보자료화ㆍ디지털 컨텐츠화 작업은 독창적인 디자인 표현양식과 모티브의 발굴ㆍ정리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디어로 승부하는 작금의 문화경쟁시대를 대비하는 하나의 노력이 될 것이다.>${\ulcorner}$바우하우스의 구성교육${\lrcorner}$ 과 일치하였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 PDF

디지털 환경에 따른 패션분야의 디자인 교육방향 연구 I (A Study for an Educational Direction in Fashion Design Subjected to Digital Environment I)

  • 이미량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33-44
    • /
    • 1999
  • 다음시즌을 예측하는 트렌드와 유행 경향은 이미 오래 전부터 디지털 환경과 사이버 환경을 패션의 요소로 지적해왔으며 패션분야의 디지털 환경뿐 아니라 패션에서 접하게 되는 모든 디지털환경은 미래패션의 존재 상황임과 동시에 패션의 감각으로 추구해야 할 대상이며 요소가 된다. 한편 디지털 환경과 관련한 첨단기술, 사회의 변화는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현장에서 교욱 방법뿐 아니라 교육의 내용까지도 변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디지털 환경속에서 미래사회를 대비한 패션디자인 교육의 방향은 모색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 확산에 영향 받는 패션분야의 환경변화를 패션디자인교육의 환경 차원에서 연구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미래사회에서 패션의 중추인력으로 활동하게 될 미래패션디자인의 전문가를 위한 교육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미래사회를 위한 패션분야의 디자인전문가 교육은 디지털 환경이 주축을 이루는 미래사회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디지털마인드를 포함한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CAD 프로그램을 비롯한 컴퓨터, 디지털 매체에 대한 경험이 필수적이고, 디지털매체에 대한 교육은 매체사용기능 훈련만을 위한 측면 보다는 패션분야의 교육과 연계되어 경험되는 CAI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시간적 효율성과 전문분야의 응용력을 높인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하겠다. 21세기 미래사회는 지식의 창의력이 가치 창출의 원천이 되고 국가 경쟁력의 원동력이 되는 사회 패션분야의 디자인 전문가를 위한 교육은 미래사회으 ㅣ환경적 특징을 긍정적 방향으로 수용하며 미래를 대비한 교육에 심도 깊게 반영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있었다.하였다. 본 연구는 흰쥐 유선에서 LH subunit들과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됨을 최초로 보고한 것으로서, 흰쥐 유선이 LH의 생성처이면서 동시에 작용처이며 유선에서 합성된 GnRH의 조절하에 국부적인 인자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f variation)가 10% 내외로 만족할 만한 범위에 들었다. 본 실험 방법을 타액과 혈청내 testosterone 농도 측정에 응용하여 RIA의 결과와 비교하여 본 바 상관관계가 타액에서 r=0.969, 혈청에서 r=0.990으로 두 결과가 잘 일치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된 한국인 여성의 타액내 tes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 PDF

주택 아동실의 실내공간 구성현황 및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 (Interior Conditions and User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Rooms)

  • 이연숙;황연숙;장윤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4-61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interior conditions of children's rooms, and investigated the children's satisfaction of the rooms and their needs for improvement. Survey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205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third or lower year grades and to their parents. Frequency analysis, t-tests,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 tests were mainly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satisfaction of the children's rooms differed in their grade, room size, and the main color of the rooms. In general, those in the third grade, those in the rooms under 16.5$m^2$, or mainly painted in cold colors, tended to respond more negatively. Meanwhile, they expected to exchange their furniture for study, such as desks and bookshelves, and to individually possess electric appliances in their rooms. Most children's rooms wer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parents' preferences: The more the rooms reflected the children's opinions,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furniture they showed.

어린이 보호구역 방재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Design Of School Zone)

  • 김영준;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868-876
    • /
    • 2021
  • 어린이 보호구역은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학교, 보육시설, 학원 등과 같은 시설 가운데 지정된 일정 구간을 말한다. 어린이 보호구역은 1995년 9월 제정된 이래, 2021년 1월까지 총 9번의 개정을 통해 강화가 됐음에도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방재디자인 기반의 어린이 보호구역 표준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조사, 실증조사, 인식도 조사를 진행했다. 인식도 조사 대상은 어린이, 학부모, 운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환경 조사 대상으로는 횡단보도, 자동차도로, 보행자도로, 신호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차량 운전자의 어린이 보호구역 시각적 인지가 어렵다는 점이 발견되었고, 보행자 도로를 이용하는 오토바이가 어린이에게 매우 위협적인 요소로 다가왔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방재디자인 중심의 개선된 어린이 보호구역 표준모델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의 도입을 통한 학교도서관 공간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chool Library Space by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Common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67-289
    • /
    • 2008
  • 학교도서관에서 공간의 의미는 학교도서관 이용자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학생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여타 도서관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공간의 규모가 충분하지 않은 국내 학교도서관의 현실을 고려할 때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서비스 공간을 지향하는 Information Commons 개념의 도입을 통해 학교도서관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은 도서관내 필수시설을 최소화하고 유연성 및 호환성을 확보함으로써 공간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간중심 디자인과 개방성을 지향함으로써 학교 내 커뮤니티와 수업의 중심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근무 환경에 따른 육군 비행재킷의 선호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reference of the Korean Army's Flight Jacket According to Working Environment)

  • 최희은;최경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44-852
    • /
    • 2020
  •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eferences of pilots, flight engineers and crew who work in the same aircraft but are exposed to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s and perform different mission operations in order to develop an ergonomic flight jacket. Based o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 survey of 107 pilots and 36 flight engineers and crew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Pilots can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ckpit, so they are less exposed to the cold when working, while flight engineers and crew are exposed to the cold more because they have many external tasks. The reason for the problem of the current flight jacket was a difference in ranking between two groups, but the highest ranking was poor dimensional suitability due to the habit of wearing layers of clothing. As a result of preferred desig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item of overall style. Pilots preferred a bomber jacket style(P:68.2%, E&C:44.4%), on the other hand, flight engineers and crew preferred a field jacket style(P:26.2%, E&C:55.6%)(p<.01). They preferred a stand collar(P:71.0%, E&C:86.1%), a fastener slider for a front fastening(P:62.6%, E&C:61.1%), fastener tape cuffs(P:54.2%, E&C:47.2%), a jacket with a softshell(P:86.9%, E&C:83.3%), fleece as softshell material(P:88.8%, E&C:69.4%), and fastener sliders as a attaching method(P:69.2%, E&C:61.1%). A hem fastening will be sele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verall style of outshell. Additionally, they preferred more than 5ea pockets(P:51.4%, E&C:44.4%), fastener sliders as pocket's fastenings(P:48.6%, E&C:61.1%), armpit ventilations(P:62.9%, E&C:58.5%). The results of above will be considered to design an ergonomic flight jacket.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색채 환경 평가에 관한 비교연구 - 제7차 교육과정 전.후의 광주광역시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Color of Environment Evaluation of General Classrooms at Elementary Schools - With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ince the 7th Curriculum -)

  • 노영진;박성진;이청웅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89-97
    • /
    • 2007
  • This study compares, analyzes and reevaluates color conditions and images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7th curriculum with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fact that color among physical environments of elementary classrooms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children's emotion and draws problems and aims to accumulate the basic materials for preparing guidelines of improving color environment at general classrooms of elementary schools. Consequently, according to color conditions, major colors on ceiling and wall were high brightness/nigh chroma of Y and YR line regardless of division of grades and other color factors of classroom showed that wall and ceiling used similar colors, but brightness was higher after change than before it. In evaluation of color images, lower grades showed negative color images such as 'common,' 'rustic,' and 'strange' before change, but they showed positive color images after change such as 'clean,' 'unique,' and 'soft'. But, most of higher grades showed negative reactions before change such as 'common,' 'strange,' and 'rustic' and they showed positive reactions after change only in such items as 'clean,' 'warm,' and 'unique', but Indicated negative reactions in remaining items such as 'strange,' 'rustic,' 'stiff,' and 'artificial'. Accordingly, in using colors for lower grade classroom, arrangement of colors through adjustment of brightness and chroma between ceiling, wall and other components based on coloring of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of similar colors should be considered and for higher grade classroom, arrangement of colors of unique images of mid-brightness/mid-chroma among warm color lines of similar colors should be examined.

교육기관 내 시각장애인 목적지안내 시스템 디자인 연구 (A Study of Way guide System Design for a Visual Handicapped in School)

  • 이중엽;조완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75-82
    • /
    • 2010
  •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정책이 자립능력 배양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이라 할 것이다. 시각장애인들의 정보습득과 자립능력을 길러주는 교육기관에서 IT기술을 활용하여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스스로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교육환경에 제한적인 시각장애인들에게 삶의 질 향상과 독립적 생활인으로서 학교생활의 불편을 개선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의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휴대폰과 RFID태그 및 안테나와 리더를 장착한 흰 지팡이를 이용하여, 학교건물 외부에는 점자 블록과, 건물내부에의 복도 및 통로의 바닥에 심어놓은 RFID태그의 정보를 흰 지팡이로 읽어 휴대폰으로 전송하면 경로를 음성과 진동으로 시각장애인에게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교 내에서 안전한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재사용과 공유를 위한 수업 자료 큐레이션 시스템 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the Curation System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Reusing and Sharing)

  • 박양하;문성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35-16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 수업 자료의 재사용과 공유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큐레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도출하는 것이다. 수업 자료의 활용현황을 조사한 면담을 통해 현장 교사들이 수업 자료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는 것과 수업 자료 생산 매체 및 수업 자료 사용 목적이 초등학교와 중 고등학교 간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재사용과 공유를 위한 큐레이션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큐레이션 전략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한 정책, 디자인, 표준 및 도구에 대한 전략을 식별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설계한 큐레이션 시스템의 업무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개인 작업 공간에서 구현되어야하는 업무는 인증, 환경설정, 등록, 보관, 편집을 통한 재사용이다. 공유를 위한 공동 작업 공간으로 구현되어야하는 업무는 접수, 저장, 동료 평가, 접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