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과적응

검색결과 735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 스트레스대처방식과 학과적응도 간의 관계 (University Students' Major-interest agre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 Department)

  • 박지혜;강혜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9-85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 스트레스대처방식과 학과적응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Holland 일치성 가설에 위배되는 집단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전공-흥미 일치도와 학과적응도 고저(高低)에 따른 네 집단 분류하였다. 또한 네 집단 간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직업선호도검사(S형)의 직업적 흥미검사(일반성향검사), 스트레스대처방식검사(정유미, 2004), 학과적응척도(박성미, 2001)를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전공-흥미 일치도,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Data Edito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빈도분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흥미 일치도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치도는 학과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스트레스대처방식 중 적극적 대처방식만 학과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전공-흥미 일치도와 학과적응도 고저에 따른 네 집단 분류를 한 결과 일치도가 높지만 학과적응도가 낮은 집단, 일치도가 낮지만 학과적응도가 높은 집단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전공-흥미 일치도와 학과적응도 고저에 따른 네 집단 간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과적응에 있어 전공-흥미 일치도 이외에 다른 요인도 고려해야 함을 나타내며, 특히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중요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학과적응 촉진을 위한 스트레스대처방식 훈련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현장실습적응, 대학적응,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department adaptation of field practice adaptation, college adaptation, and awareness of death of nursing students)

  • 제남주;박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00-31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현장실습적응과 대학적응,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전공적응과 현장실습적응 및 죽음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시, J시 간호학과 3.4학년 2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C 대학교 IRB의 승인을 받은 후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였고, 자료분석은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현장실습적응은 평균 3.58점, 대학적응은 평균 3.33점, 죽음에 대한 인식은 평균 3.15점, 간호학과 학과적응은 평균 3.38점이었다. 대상자의 학과적응과 현장실습적응(r=.56, p<.001), 죽음에 대한 부정도(r=-.15, p=.016), 생명존중의지(r=.33,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현장실습적응과 대학적응(r=.48, p<.001), 생명존중의지(r=.16, p=.009)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학적응과 생명존중의지(r=.32,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현장실습적응, 대학적응,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적응이었으며(F=171.67, p<.001), 이 모형은 67.5%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 변화를 위해 학부 과정에서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인식 변화와 관련된 교육과정이 제공되어야 하며 생명존중의지 프로그램 실시 후 간호학과 적응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entoring program assisting freshmen belonging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ree year college to adapt to their major)

  • 서혜정;원계선;임진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01-23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을 돕기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신입생의 학과 적응에 대한 어려움의 목록을 추출하기 위해 focus group 인터뷰를 하였다. 이후, 신입생의 학과적응을 도와주기 위한 방법에 대해 학년별로 브레인스토밍과 서술식 질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어려움은 개인 내 어려움, 대인간 어려움, 지원체계에 대한 것이었다. 신입생의 어려움을 돕기 위해서는 신입생 겪는 어려움을 해소시키는 것과 그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정보 안내가 필요하였다.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은 신입생이 겪는 학과 적응의 어려움 해소를 위한 내용과 신입생에게 필요한 정보 안내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그 내용은 시간 관리, 학업 활동, 사회적 관계 형성, 진로 및 취업 준비, 교과 외 활동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 대학생이 지각하는 실습 교육환경, 실습 스트레스가 학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actical Education Environment And Practical Stress Perceiv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on Department Adaptation)

  • 양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43-49
    • /
    • 2024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실습교육환경과 실습 스트레스가 학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C지역의 간호대학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실습교육환경과 학과적응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43, p=.001), 실습스트레스와 학과적응은 음의 상관관계(r=-.15, p=.012)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들의 학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실습 교육환경과 실습 스트레스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습교육환경을 긍정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현장 실습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관련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훈련하고, 실습기관과 유기적 협력을 통해 실습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스포츠 계열 전공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및 학과적응의 인과관계 (The Relationships of academic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department-adapt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sports)

  • 이계영;김알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509-517
    • /
    • 2016
  • 본 연구는 스포츠 계열 전공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및 학과적응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포츠 계열 전공 대학생 514명을 무작위추출 표집방법으로 추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18.0과 AMOSS v20.0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북석, 상관관계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결과기대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이에 의한 결과기대는 학과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과적응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간접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스포츠 계열 전공 대학생의 학과적응을 높이기 위해 결과기대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학과만족도와 자아정체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Ego-Identity on College Life Adaptation)

  • 장현정;이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93-9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자아정체감,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학교 신입생 210명을 연구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22.0 프로그램으로 하였다. 대학생활적응과 학과만족도(r=.216, p<.001), 자아정체감(r=395, p<.001)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F 통계값은 12.22, 유의확률은 .000으로 제변수들이 유의수준 0.1에서 대학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대학생활적응도를 44%가 제변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제변수들을 고려하여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대학생들의 적응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학과 남학생들의 학과 적응 경험 (Adaptation Experiences of 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 김성혁;김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13-126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과 적응 경험의 구성요소와 도움을 주는 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지도적 중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남학생 7명이다.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참여자의 학과 적응 경험의 핵심 구성요소는 '미래 진로에 대한 희망과 기대', '현실적 문제에 따른 갈등과 방황', '타협과 마음 다스림', '자기 성장을 위한 노력'으로 축약되었다. 이 구성요소들 간에는 인과적, 촉진적, 순환적 특성을 보여주었고, 학과 적응과정은 시간적 맥락에 따라 구조화 하고 있다. 이들이 원만한 학과 적응을 위해서는 자신의 의지력 강화, 확고한 진로의식 고취, 적응 전략의 채택 등 자신의 내적 통제가 중요하였으며, 가족과 친지, 선배 및 학과 교수의 지지가 학과 적응에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간호학과 남학생들의 학과 생활 부적응으로 인한 탈락률을 파악하고 그 요인을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들이 학과 생활 적응에 필요한 다양한 대처방식과 실천적 지지체계의 구축 및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학과 만학도 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Satisfaction in Major on College Adjustment Among Mature Nursing Students)

  • 박연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251-259
    • /
    • 2022
  • 최근 평생학습 요구 증가와 간호직의 높은 취업률로 간호학과를 지원하는 만학도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학과 만학도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적응을 확인하고,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30세 이상 간호 대학생 148명으로, 2021년 10월부터 12월까지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은 3.69±0.51점, 전공 만족도는 4.07±0.50점, 대학생활 적응은 3.42±0.50점으로 나타났다. 간호학과 만학도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학년(β=.20, p=.001)과 자기효능감(β=.43, p<.001) 그리고 전공만족도(β=.37, p<.001)가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며, 설명력은 54%였다. 간호학과 만학도 학생들은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간호학과 만학도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것을 제언한다.

간호학과 신입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first year nursing college students)

  • 박현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576-1583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신입생 총 1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2년 6월11일부터 13일까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학과 신입생의 정서지능 정도는 평균 3.59(5점 만점),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평균 3.01(5점 만점)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정서지능은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15%의 설명력(F=4.629, $p=.001^{**}$)을 보였고, 정서지능의 하부영역 중 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친 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표현을 적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설명력이 16.2%(F=7.627, $p=.000^{**}$)로 증가하였다. 정서지능은 간호학과 신입생의 학업적응과 개인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에 필수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학과 신입생이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인 정서지능을 계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일 대학 보건계열 학생의 소명의식, 일의 의미, 진로태도성숙도 및 대학생활적응 (A Study on Calling, Working as Meaning, Career Attitude Maturity,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mong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 우정희;박민정;민지하;박희은;박아름;이혜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5-16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소명의식, 일의 의미, 진로태도성숙도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D대학 보건계열 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 4일부터 일주일간 편의추출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소명의식은 전공, 지난 학기 성적, 학과지원동기, 아르바이트 형태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일의 의미는 전공, 학과지원동기, 진로태도성숙도는 전공, 학과지원동기, 대학생활적응은 성별, 전공, 학년, 지난학기 성적, 학과지원동기, 가정형편, 아르바이트 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요 변수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 대학생활적응, 일의 의미와 진로태도성숙도와 대학생활적응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진로태도성숙도와 대학생활적응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