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ersity Students' Major-interest agre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 Department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 스트레스대처방식과 학과적응도 간의 관계

  • 박지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
  • 강혜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3.02.19
  • Accepted : 2013.03.23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undergraduates' major-interest congruence and stress coping behaviors and major adjustment. And in order to find there is any group violating Holland's congruence hypothesis, this paper divides them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jor-interest congruence and major adjustment. Also, it examines the difference of stress coping behaviors among the four groups. The followings are the chief results of this paper.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major-interest congruence and stress coping behaviors on major adjustment, congruence did not affect major adjustment significantl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dividing them into four groups by the degree of major-interest congruence and major adjustment, there is one group with high congruence but low major adjustment and also a group with low congruence but high major adjustment.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stress coping behaviors among the four groups by the degree of major-interest congruence and major adjustmen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our groups. Above results imply that in major adjustment, we should consider factors other than major-interest congruence, and stress coping behaviors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in their stress coping behaviors and also develop programs to facilitate major adjustment. Also, it implies that in the use of Holland's theory, it is crucial to use it based on the client's various information and uniqueness rather than to apply it in a conventional or unconditional way.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 스트레스대처방식과 학과적응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Holland 일치성 가설에 위배되는 집단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전공-흥미 일치도와 학과적응도 고저(高低)에 따른 네 집단 분류하였다. 또한 네 집단 간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직업선호도검사(S형)의 직업적 흥미검사(일반성향검사), 스트레스대처방식검사(정유미, 2004), 학과적응척도(박성미, 2001)를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전공-흥미 일치도,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Data Edito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빈도분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흥미 일치도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치도는 학과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스트레스대처방식 중 적극적 대처방식만 학과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전공-흥미 일치도와 학과적응도 고저에 따른 네 집단 분류를 한 결과 일치도가 높지만 학과적응도가 낮은 집단, 일치도가 낮지만 학과적응도가 높은 집단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전공-흥미 일치도와 학과적응도 고저에 따른 네 집단 간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과적응에 있어 전공-흥미 일치도 이외에 다른 요인도 고려해야 함을 나타내며, 특히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중요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학과적응 촉진을 위한 스트레스대처방식 훈련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영(2008).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혜영(2011). 이공계 대학생의 흥미-전공일치도, 자기효능감과 전공적응도 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2(1), 115-127.
  3. 김병진(2008). 홀랜드식 검사에 의한 직업유형 일치정도와 직무만족 및 직무성취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용래(1993). 학습 성적에 대한 기여변인의 영향력 분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희(1987).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의 구성요인.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6. 김정희, 이장호(1985).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행동과학연구, 7(1), 127-138,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7. 김현재(2006). Holland 직업선택이론에서의 일관도, 일치도, 변별도와 학과 만족도 및 진로 결정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명지(2008).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가 진로성숙도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박성미(2001). 구조적 적응력 일치이론에 근거한 학과적응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방혜선(2007). 중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유형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송창용(2003).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안영복(1985). 적응 및 부적응 행동의 특성과 관계변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안창규, 안현의(2003). 홀랜드 간편 진로코드 분류표. 서울 : 한국가이던스.
  14. 양명희, 박명지, 김희정(2010).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 직업흥미 수준이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지, 29(2), 137-156.
  15. 양정숙(2005). 직업성격과 직무유형의 일치도 및 관계만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용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윤영숙(2011). 전공-흥미 일치도와 성격5요인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수경(2005).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연실(2004).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옥주(2003).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7(3), 77-85.
  20. 이윤미(2008).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의 학교적응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장문영(2005).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귀인성향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유미(2004).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조명희, 박수선(1998). 스트레스 지각정도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학생생활연구, 16, 83-100.
  24. 조원숙(2008).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Carson, A. D., & Mowesian, R.(1993). Moderators of the prediction of job satisfaction from congruence: A test of Holland's the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 130-144. https://doi.org/10.1177/106907279300100203
  26. Feldman, K. A., Smart, J. C., & Ethington, C. A.(1999). Major field and person-evironment fit: Using Holland's theory to study change and stability of collge student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0, 642-669. https://doi.org/10.2307/2649169
  27. Healey, C. C., & Mourton, D. L.(1983). Derivatives of the self-directed search: Potential clinical and evaluative us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3, 318-328.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45-3
  28. Holland, J. L.(1997).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3nd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9. Lazarus, R. S., &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
  30. Posthuma, A. B., & Navran, L.(1970). Relation of congruence in student-faculty interests to achievement in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7, 325-356.
  31. Russell, R. K., & Petrie, T. A.(1992).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 Assessment and handbook of counselling psychology. N. Y. :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