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연결성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tatus and plan of 'Operation rule improve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plan of Nakdong estuary' ('낙동강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 용역' 추진현황 및 계획)

  • Noh, Hee Kyung;Ryu, Hyung Kwan;Ryu, Jong Hyun;Kim, Hwa Young;Chun, Ja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22
    • /
    • 2020
  • 낙동강 하굿둑(이하 하굿둑)은 1987년 부산 사하구와 강서구 사이에 건설되어 하류 지역의 바닷물 유입을 막아 부산, 울산, 경남 등에 안정적으로 생활·농업·공업 등의 분야에 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해왔다. 현재, 하굿둑의 수문은 낙동강 상류로부터 하류로 흘러내려오는 민물(담수)을 방류하기 위해서만 하굿둑 수문을 개방하고 있다. 하구는 하천의 담수와 바다의 염수가 서로 만나는 구역으로 바닷물과 염수의 밀도차에 의한 혼합으로 자연상태의 하구에서는 담수와 염수가 섞이는 기수역이 형성되며, 이러한 특성으로 하구 인근의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하천 및 해양, 연안과는 분명히 구별되는 생태계가 조성된다. 하굿둑 건설이후 바닷물(해수)과 민물(담수)이 만나는 낙동강 어귀에 기수생태계가 사라지면서 바닷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하굿둑이 지역에 기여해온 사실은 분명하나 하굿둑으로 인해 생태계 단절이 발생하고 기수생태계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굿둑을 개방하여 과거 기수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하굿둑의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해서 관계기관 합동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효율적인 개방 방안을 모색하는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 중이고, 실무협의회 논의를 통해 5개 주요 관계기관(환경부, 국토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K-water) 공동으로 "낙동강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2018년 1단계 용역이 완료되었으며, 2019년부터 2단계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고 하굿둑 개방의 수준별로 각종 영향을 검토한 후 대책을 마련하여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단계 연구용역에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수생태계 복원방안 마련을 위해서 실제로 해수를 유입시키는 3차례의 실증실험 및 수리모형실험 등을 추진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도 수문개방에 따른 해수유입 영향에 대해 모델링을 통해서 분석했지만 이는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로 이번 용역에서는 실제 해수를 유입시키고 염분의 침투 및 각종 수생태 영향을 모니터링 한 후 그 결과를 반영하여 모델링을 고도화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고도화된 모델링 결과를 기반으로 기수생태계 조성 방안별로 염분, 수질, 수생태, 침퇴적 등 각종 분야에 대한 정확한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이 계획에만 그치지 않고 실행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대를 형성해 나아가고 있으며 지역주민, 전문가, 관계기관 등 민(民)·관(官)·학(學)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하구지역내 수량-수질-수생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복원 방안을 마련 후 사회적인 합의를 추진하여 확정할 예정이며, 하구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AI 등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적극 적용하는 스마트한 하구물관리(Smart Estuary Watershed Management)"를 활용한 "하구통합물관리" (Estuary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등 과학적인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 PDF

Perspectives of methodology for Cultural Contents of Dangsan Forest in Rural Village -Case of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at Sinwon-ri, Cheongdo-gun- (농촌마을 당산숲의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방법론 고찰 -청도군 신원리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 설정을 사례로-)

  • Choi, Jai-Ung;Kim, Dong Yeob;Rhee, Sang-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5
    • /
    • pp.444-457
    • /
    • 2014
  • Dangsan forests are traditional village forest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by local residents. They represent unique cultural landscape of Korea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It is necessary for a cultural contents to have locality and globality so as to represent Korea. Cultural heritage can retain their value when they are fully sustained their authenticity and management scheme. Although many Dangsan forests have been on the verge of disappearance, the four villages in Sinwon-ri have retained Dangsan forests with Dangsan ritual. In this study, a designation of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including Dangsan forests, Bibo forests, rice paddy field, and stream in Sinwon-ri was suggested. This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can be developed to unique glocal cultural content of rural Korea, and will contribute to enhance the value of the Dangsan forest's, and revitalization of rural villages.

Improvement of Sand Dam Design for Safety and Increased Water Storage (안전과 저수량 증대 측면의 샌드댐 설계 개선 방안)

  • Seo, Dong Gun;Suh, Jong Won;Chae, Jeong Uk;Kim, Sung Jun;Yun, Tae Sup;Chung, Il-Mo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0 no.3
    • /
    • pp.279-288
    • /
    • 2020
  • Sand dams are formed by installing beams across rivers and filling the secured space with water and a permeable material, such as sand, which stores the water in available pore space. These structures have mainly been reported in Kenya, Africa. This study proposes a sand dam design that improves structural safety and water intake. First,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concrete wall of the dam, steel barbed wire connections are proposed for construction. Second, by using geotextile fabrics, evaporation may be reduced from 45% to 8%, and horizontal permeable discharge could be reduced markedly, therefore improving water storage capabilities. In addition, the water intake increased by ~2.4 times that of the previous design. Third, filtra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selecting a sedimentary site for improved water quality. Finally, the installation of a tensiometer is suggested for monitoring the sand dam.

A Study on Assessment Techniques of Levee Safety (하천제방의 안전성 평가기법 연구)

  • Yoon Jong-Ryeol;Kim Jin-Man;Choi Bong-Hyuck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111-116
    • /
    • 2005
  • 2-D and 3-D resistivity surveys were carried out at the Deok-In2 levee during the period of arid and rainy seasons to assess the waterproof effectiveness of sheet pile and grouting sections and detect the location of pipings. Inverted resistivity sections clearly indicated the boundaries of sheet pile and grouting sections and the locations of pipings observed at the ground surface. Besides, GPR surve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rear cavity of culvert in levee which is thought to be the major cause of levee breakdown, But the quality of GPR data was very poor due to the steel reinforcements buried in the culvert. Because it is not easy to apply various geophysical surveys upon concrete structures, newly designed hydraulic response test was proposed to assess the continuity of rear cavity of culvert in this study.

  • PDF

A Groundwater Quality Assessment of the Shallow Aquifers in the Rural Area of Yongin (경기도 용인시 일대 천부 지하수의 수질특성 연구)

  • 우남칠;최미정;정성욱;이승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6 no.2
    • /
    • pp.53-58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evaluate to identify water quality and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hallow groundwater. and their seasonal variation in the rual area of the Yongin city. Groundwater sample were collected two times (in April and September) from a total of 19 well for domestic water supply. and surface-water samples from six locations. For cations, Ca and Mg predominated. In anion competition. the influence of Cl was obvious in the april samples. However. HCO$_3$ was a major component in the september samples. Electric conductivities and the concentrations of NO$_3$-N in groundwater sample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the april samples to the september samples This indicates a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in the shallow groundwater composition. When the shallow aquifer is connected to the surface water. then metals sorbed on the stream sediments could occur at nearby wells through the induced recharge. Contaminants at ground surface appeared to be transported to the groundwater system infiltration during the spring melt.

  • PDF

Inhabitation Status and Protection Discipline of Wildbirds in Urban Area - in the case of Seoul City - (도시내 야생조류의 서식현황과 보호대책 - 서울시를 사례로 -)

  • 이우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40-248
    • /
    • 1997
  • 기존 연구 문헌의 고찰로 서울시 야생조류상의 현황 및 관리방안은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1. 서울시 야생조류상에 대하여 물새와 산새를 모두 연구한 결과가 아직 발표되지 않아 정확한 현황은 파악하기 어려우나 번식기에는 약 40 여종, 겨울철에는 40여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앞으로 정교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 도시림 뿐만 아니라 주변의 패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적 접근방식(intergrated approach)으로 도시림을 연구하여 관리해야 할 것이다. 3. 도시림의 면적은 도시림에 번식하는 야생조류의 종 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배적인 인자로써 도시림이 더 이상 다른 토지이용 형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장 기초적인 관리 지침이다. 4. 대면적의 숲이 세분화 될 경우, 여름철새의 번식에 지장이 있을 수 있으므로 대면적 숲의 세분화를 막아야 하며, 가능한 한 생태통로(eco-corridor)로 세분화 된 숲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5. 도시림에 생육하는 임목 중 대경급 임목은 나무구멍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중요한 은신처와 둥지이므로 대경급 임목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새집의 설치는 나무구멍을 둥지로 이용하는 조류의 번식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이다. 또한, 도시림이 시민에 의해 과도하게 이용될 경우, 관목층이 제거되어 관목층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서식에 불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등산로 주변에 관목성 수목을 밀식하여 등산로의 확폭과 파괴를 막아야 할 것이다. 풍부한 먹이 자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목층 보호를 꾀하고 임목의 조림과 무육에 힘써야 할 것이다. 6. 동일한 면적에서 번식 조류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은 엽층의 피도량을 늘이는 것이다. 현재 서울의 도시림은 엽층의 분화보다는 우선, 피도량의 증가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후에 엽층의 다양성을 높여 산림의 수직적 구조를 다양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7. 들고양이와 들개에 의한 소형 조류의 피해가 늘고 있으므로, 야생조류의 천적인 들고양이와 들개를 구제해야 할 것이며, 이에 앞서 서식실태가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8. 한각을 비롯한 지천의 하변에 서식, 월동하는 물새류와 서식지에 대한 연구와 관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9. 산불방지와 도시림 정비의 일환으로 실시해 온 관목층과 낙엽 및 죽은 가지를 제거하는 비과학적인 관행과, 하천유지유량을 높이고 하변 정비 및 산불 방지으 ㅣ한 방편으로 진행된 하변 식생 제거는 전문가와 충분히 제고한 후, 없어져야 할 것이다.

  • PDF

Study on the Dynamics of the Fish Community in the Lake Hoengseong Region (횡성호 일대의 어류군집 동태)

  • Choi, Jae-Seok;Shin, Hyun-Seon;Park, Seung-Chul;Choi, Jun-Ki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8 no.2 s.112
    • /
    • pp.188-195
    • /
    • 2005
  • The dynamics of the fish community in the Lake Hoengseong region,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April 2000 to November 2004. During the surveyed period 39 species belonging 10 families were collected, and there were 17 Korean endemic species (43.59%) including Rhodeus pseudosericeus. Dominant species were Acheilognathus lanceolatus (20.10%), Zacco platypus (15.94%), Z. temmincki (6.92%), Carassius cuvieri (6.33%), A. rhombeus (6.18%), Pungtungia herzi (5.13%), and Pseudorasbora parva (4.93), In the comparison community of fish according to ecotype by each studied years, benthic fished are gradually decreasing and pelagic fishes creasing. Also, according to the fish distribution, the fish community of each studied years was divided into 3 groups by UPGMA. Being based on the fish community, similarity analysis results of each artificial lakes and this lake were divided 2 groups by water system, and divided again 3 groups in the same water system. Fish Community of the Lake Hoengseong was similar with that of the Lake Chuncheon and Cheongpyeong of the Bukhan-River.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water balance analysis model for agricultural watershed (농업용수 유역 물수지 분석 모델 개발 및 적용성 평가)

  • Dong-Hyun Yoon;Won-Ho Nam;Ji-Hyeon Shin;Kyung-Mo Kim;Sang-Woo Kim;Jin-Hyeo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71-71
    • /
    • 2023
  • 국가물관리기본법에 의거하여 통합물관리 정책에 부합하는 농어촌용수 계획 및 관리를 위해 유역 및 용수구역 단위의 농업용수 공급 및 수요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농업용수는 개수로 방식 용수공급체계 및 수문 직접조작에 의한 용수배분체계로 공급량 대비 사용량의 비율이 48%에 불과하다. 또한, 농경지 상류와 하류의 공급량 차이가 크게 발생하며, 경지면적 감소가 공급 필요량 감소로 연결되지 않는다. 농업용수의 경우 기존 국가유역수자원 모델 (K-WEAP, MODISM)을 통한 물수지 분석시 순물소모량 개념의 회귀수량 산정으로 공급량과 회귀량의 왜곡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공급량 왜곡, 유역내 복잡하고 다양한 농업용수 공급체계를 하나의 가상저수지로 단순화함으로서 유역내 들녘별 농업용수 과부족 분석 불가능, 하천과 저수지 공급 우선순위 현장과 불일치 등 농어촌용수구역의 특성 및 실제 현장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물수지 분석 모델을 개선하기 위한 농업용수 유역 물수지 분석 모델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시범지역 적용을 통한 검증 및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경기 안서 농촌용수구역을 대상으로 농어촌공사 및 지자체 관리 저수지, 양수장, 취입보, 관정 등 총 106개 개별 시설물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39개 지구로 세분화하였다. 한국농어촌공사의 계측 공급량 기반 수요량 및 개별 시설물에 대한 물수지 분석 후 지구 단위, 소유역 단위, 표준유역 단위의 상하류 및 시설물을 연계한 유역 물수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ndirect measurement method of bedload discharge using hydrophone (하이드로폰을 이용한 소류사량 간접계측방안 분석 연구)

  • Kim, Sung Uk;Jun, Kye Won;Yoon, Yo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49-249
    • /
    • 2022
  • 국외에서 산지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하천 유사량을 계측하는 기존의 재래식 채집기의 문제점을 보완한 간접계측장치인 하이드로폰의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유사량을 계측하는 기술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기초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간접계측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 간접계측장치인 하이드로폰은 횡단구조물의 끝단에 부착하여 설치하는 형태로 개발하였다. 충돌음향 계측을 위한 센서부는 파이프와 마이크로폰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조물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프레임과 연결장치로 제작되었다. 설치된 계측장치는 하상에서 이동중인 토사가 파이프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계측하며 충돌음은 데이터로거로 취득된다. 계측된 음향 데이터는 정확한 소류사량 추정을 위해 충돌 횟수에 착안한 펄스 분석 방법과 진폭의 시간 적분치에 착안한 음압적분치 방법으로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소류사량 추정 관계식의 유의성 분석을 수행한 후 펄스 수 기반 추정 관계식과 음압적분치 기반 추정 관계식을 공급 소류사량과 비교시 각각 29%와 33%의 오차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선정된 소류사량 추정 관계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계식으로 추정할 수 있는 예측구간 및 95% 신뢰구간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펄스 수 기반 추정 관계식은 92.5%, 음압적분치 기반 추정 관계식은 90.9%로 두 관계식 모두 소류사량을 추정하기에 양호한 수준으로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한다면 수문조사 시 부족했던 유사량 측정분야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와 관련된 사업 및 기술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ogram for Buffer Greens at Sinhyeon-Eup, Geoje-Si (거제시 신현읍 완충녹지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 SaGong, Young-Bo;Lee, Soo-D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1 no.3
    • /
    • pp.243-25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at identifying the planting condition of greenbelt axis covering forests located at Sinhyeon-eup, Geoje-si and also establishing improvement plans for the ecological organization. The study was executed with buffer green space designed to mitigate noise, which is located at a halfway point linking Mt. Yukkyo(altitude of 50m) and Mt. Jungmae(altitude of 131m). The number of the biotope patterns was classified into 17 in total: the two are urbanized districts such as a townified district and streets and another 15 are greenbelts and open space such as forest biotope, inland water biotope, and landscaping tree plantations biotop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biotope types, it was estimated that the making use of already established buffer greens as a linking medium with a foothold of Mt. Yukkyo and Jungmae, whose natural eco-system is well suited for habitation of living organism, is the one and only way to the influx of living organism into the downtown area. The green coverage rate of the base green area, sub-base green area and linkage green area was 160.29%, 128.37% and 44.37% respectively; the green capacity coefficient(i.e. GVZ[$Gr{\ddot{u}}nvolumezahl$]) for base green area, sub-base green area and linkage green area was $4.04m^3/m^2,\;3.95m^3/m^2\;and\;0.65m^3/m^2$ respectively. The base green area has constituted multi-layered vegetation structure and thus played a role as habitats for living organism and supply centre of species, whereas the sub-base green area has destroyed lower layer vegetation, and the linkage green area was in bad shape due to the lack of planting volume and damage of the shrub layer. Accordingly, this research paper intended to suggest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for the improvement in landscape for city dwellers' use and relaxation; in other words, this paper focused on ecological build-up for the Influx of wild birds into the downtown area for the promotion of bio-diversity of species through the linkage of base green areas and the fostering of nature observing trails for citizens as well as the connecting of green areas through the build-up of roadside greens to make these green areas to be efficiently used as corridors for the influx of wild birds and bio-organism habitation and for citizens' using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