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수변조사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bout the Priority Decision Criteria on Removal of Weirs (보 철거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 Rhee Dong Sop;Woo Hyoseop;Ahn Hong Kyu;Kwon Bo 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80-1285
    • /
    • 2005
  • 하천 수위 유지나 용수 취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는 현재 국내에 약 18,000여개 정도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부분 용수 공급 시설로 이용되고 있다. 하천에 보가 축조되면 하천생태통로의 차단, 보 상류부 수질 악화, 수변 생물서식처의 변화, 경관 훼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극히 일부 보에 생태 통로로서 설치되는 어도 외에는 거의 혀는 실정이다. 최근 농경지 도시화, 경작 방식의 변화, 취수시설물 통폐합, 시설 노후화 등으로 매년 수십 개 이상의 보가 폐기되고 있으나, 폐기된 보는 천거되지 않고 하천에 존치되어 여전히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외국의 경우에도 기능을 상실한 보/소형 댐을 보 철거 의사 결정 과정을 통해서 철거를 결정한 후 철거를 시행하고 있으며, 기 철거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보 철거 우선 순위 결정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아직 보 철거를 통한 환경 복원이 일반화 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국내 환경에 적합한 보 철거 의사 결정 과정 마련을 위한 연구 필요성이 같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보 기능 저하 요인 파악을 위해 각 주요 수계에 설치된 보를 현장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기능이 저하 중인 보로 판단되는 보는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요인별로 대표적인 예를 제시하여 이후 판단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analysis of plant communitie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oseong river wetland using ordination (서열법(ordination)을 이용한 보성강 하천 습지의 식물군락 분포 특성 분석)

  • Lee, Il Won;Kim, Kee Da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4
    • /
    • pp.354-366
    • /
    • 2022
  •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growing in river wetlan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iotic and abiotic environmental factors, plant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in river wetlands in the Boseong River. The Boseong River Wetland, the research site, consists of Hwapyeong Wetland, Bangujeong Wetland, and Seokgok Wetland. From June to September 2022, a plant community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physiognomical vegetation, and the coverage of the emerging species followed the Braun-Blanquet scale. Plant species and the coverage of each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quadrant for plant community survey, and the cover of the quadrant,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nd the number of exotic species were measured as biological factors. As abiotic factors, altitude, orientation, inclination, soil texture, litter layer depth, dominant species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topography were recorded. In a total of 50 square plots, the most common Salix koreensis and Phragmites japonicus communities were found, and the community with the highest Shannon species diversity index was Phragmites japonicus-Echinochloa caudata community. As a result of ordination analysis by DCCA, the most significant clusters were separated according to topographic factors such as leeve, leeve slope, upper floodplain, lower floodplain, upper waterside, middle waterside, lower waterside, river island and opem water. As rare plants that need to be preserved in river wetlands, Hydrocharis dubia and Penthorum chinense were found in lower waterside, and it was found that the management of the river in the reservoir is necessary in line with the topographical distribution of ecosystem-disrupting plants, such as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Evaluating the Trapping Efficiency of Vegetative Buffer Systems on Sediment Reduction Using SWAT model (SWAT 모델을 이용한 수변 완충지역에서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평가)

  • Kim, Ik-Jae;Son, Kyong-Ho;Kim, Jeo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19-1823
    • /
    • 2007
  • 유역에서 상류 유역 또는 수변을 따라 자연 자원을 이용하여 조성되어야 할 완충지대는 비점오염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최적 관리공법이다. 교란된 토지 피복과 수변 완충지대를 관리 및 복원할 때 같은 지형조건이라도 식생 종류, 발달정도, 토양조건에 따라 오염물 제거효과가 다를 수 있으며, 최소 완충지대 길이도 제거 오염물질 대상별로 적합하게 설계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용담댐 유역에서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식생 완충지대의 비점오염원 저감 모의 재현성을 평가하는 것이였다. 소유역의 관측값과 모델 예측값에 대한 모델의 검 보정이 선행되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높은 모델 효율을 가지는 소유역에서 three zone concept의 90m 수변완충지대를 지방하천을 경계로 하여 토지 피복도를 변화시켜 SWAT 모델에 적용하였다. 이 때 교목으로는 포플러 (Populus, 30m)을 적용하였고, 포플러의 높이 및 Leaf area index를 조정하여 관목 지대(30m)에 입력하였다. 잔디 지대(30m)는 자연초지를 선택하였다. 또한 지형변수(average slope)와 Manning's coefficient을 수변완충지대의 조건에 고려하여 변화를 주었고 이에 따른 유출량 및 유사량, T-N, T-P의 변화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5, 10, 30m의 식생 여과대를 밭 지역에만 적용하여 오염물의 저감 효율을 평가하였다. SWAT 모델은 각 소유역에서 발생된 전반적인 유출량과 수질변수의 추세를 잘 예측하였으며 정자천 소유역이 선택되었다. 모의된 완충지대에서는 연평균 940 m3/ha의 유출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유사농도는 28.7 %의 저감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T-N, T-P의 농도는 오히려 증가되었는데 본 연구에서 고려된 보다 수변완충지대를 조성할 때 지하수 수위, 식생 성장변화 등과 같은 보다 정확한 설계 인자 산출 및 모델 DB 개발이 유역모델에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한 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약제재의 변비약 수준으로 변비 개선 효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비의 개선이나 대장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유효성분의 보강 등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더불어 산화물질 해독에 관

  • PDF

A Monitoring and Data Analysis for Close-to-Nature Pilot Creeks (자연형 소하천 모니터링 시범사업 결과 분석)

  • Yi, Sang-Kuk;Chung, Jae-Hak;Lee, Ho-Yul;Lee, Jong-Seol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51-754
    • /
    • 2008
  • Recently according to increasing of damage in creeks, it has been needed to develop a close-to-nature creek improvement technique considering flood safety as well as the functions of ecosystem and scenery preservation. In this study, the monitoring on creeks in seven provinces was accomplished to develop the technique applicable to domestic creeks between 2002 and 2007. Although the riparian ecosystem was disturbed, after just finishing the improvement on pilot creeks, the result of monitoring showed that restoration rates of creeks were satisfactory by constructing close-to-nature creek revetments. However it is hard to analyze on restoration and permissible tractive force of each revetments constructed in most creeks, because of insufficient monitoring data. Therefore the feasible study on the close-to-nature creek revetments should be performed in the near future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on creeks.

  • PDF

Preliminary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ground water level and soil moisture in riparian vegetation zones (식생사주 역에서 지하수위와 토양수분의 현장 기초 조사.분석)

  • Woo, Hyo-Seop;Chung, Sang-Joon;Cho, Hyung-Jin;Lee,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4-114
    • /
    • 2011
  •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이전 우리나라 하천은 모래, 자갈 사주가 경관생태의 대부분을 이룬 이른바 'White River'이었으나, '70년대 이후 댐건설, 하천정비 등으로 유황과 유사이송 특성이 변하면서 수변에 식생이 번무하는 이른바 'Green River'가 진행 중이다. 하천에서 식생활착은 생태 측면에서 생물 종의 다양성에 일부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에, 고유종이 감소, 소멸하는 문제가 생긴다. 치수 측면에서는 흐름저항 증가와 하도의 고착화를 촉진시켜 치수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주 상 식생활착 현상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시작으로서, 하천 식생사주역에서 식생활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소류력과 토양 수분 등 2대 물리 요소 중에서 후자에 초점을 맞추어 토양수분 요인과 식생 이입, 활착, 천이와의 관계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 모래하천인 낙동강 제1지류 내성천의 국가하천 구간 하류 지점인 회룡포 직상류 약 4km 지점을 시험하천 구간으로 선정하여 하천수위, 지하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관측 시설을 가지고 1차적으로 2010년 8월부터 2011년 4월 초까지 지하수위와 하천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주 상 식생 활착 특성도 주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번 일차 기초 조사 및 분석 결과, 하안에서 약 140-240m에 위치한 지하수위 관측정에서 측정된 지하수위는 하천수위 변화에 비해 시간적으로 약 20시간 지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주 토양수분은 일반적으로 지하 깊이에 따라 커지나, 동시에 토층구조(soil texture)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improving the bike way in the Urban river Waterfront (도시하천 수변공간 내 자전거도로 개선방안 연구)

  • Seo, Yong-Soo;Dong, Jae-Uk;Cho, Sung-Ha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5
    • /
    • pp.481-489
    • /
    • 2017
  • The study area,Cheonan Stream, is an urban river that flows through urban areas in close proximity to densely populated areas and multi-use facilities. The natural river improvement project from 2006 to 2015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with the improvement of river function, the restoration of the natural ecosystem and the securement of hydrophilic space. A bike way in the constructed waterside space was built focusing on trails.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s appropriate for insufficient bike way function-related regulations. The problems of ramps, river crossing facilities, stairway facilities, safety facilities, signs, road markings, and parking facilities, etc.have arisen in the utilization situation and citizen consciousness survey. As an improvement, it was suggested that 12% or fewer ramps should be improved, a submerged bridge should be installed at 7 places separated by stepping bridges, and signs and road markings according to bike way-related regulations should be installed and bike parking facilities at Cheonan station and Cheonan bus terminal should be expanded. The bike way in the waterfront of ChoenanCheon(river) will increase th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rate of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with the institutional expansion of bike use facilities and work organizations and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urban rivers and bike-related regulation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living space will be beneficial for the citizens due to the elimination of traffic in the city and the activation of bike traffic.

Study on Reduction Effect of the Non-Point Pollutants through Riparian Buffer Zones (비점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효율적 조성 연구)

  • Choi, I-Song;Kim, Sung-Won;Jung, Sang-Jun;Woo, Hyo-Seop;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93-1797
    • /
    • 2007
  • 한강 "수변구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이며, 동시에 본류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시키는 수질개선 공간인 수변완충구역, 또는 지대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변완충지대 효과 분석 및 설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구역의 자정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그 밖의 하천 연안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차단과 처리능력을 증진시키고 수변 생태계의 서식처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수변완충지대의 수질정화 기술개발과 생물다양성을 창출하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변완충지의 추가적인 조성과 보완, 시험완충지 생태구조 및 기능 기초조사, 시험완충지 오염부하 저감효과의 실험 및 분석, 수변완충지대 설치 구상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행 지역은 한강수계 지역으로 남한강 수변인 경기도 양평군 병산리에서 실시하였으며, 잔디와 갈대, 갯버들, 혼합지역, 자연그대로의 상태(대조지역)의 5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깊이별로 샘플을 채취하여 유입수와 표면유출, 하부유출을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5 가지 구역 중 잔디 구역의 SS, T-N, T-P, TOC의 제거 효율이 각각 76.7%, 85.2%, 97.6%, 83.3%로 가장 좋은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깊이 별 분석에서는 표면유출에서 하부유출로 갈수록 월등한 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비점오염원에 대한 한강수계의 수자원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수변완충지대의 조성, 유지관리기술의 개발을 통한 수변완충지대의 계획과 설계에 직접적인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수변구역에 설치 가능한 Riparian Buffer Zone의 중요성과 효율성을 알려 현재 하상 저니 준설 및 폭기 위주의 사업에서 생태 공학적 복원을 적극 고려한 정화사업으로 확대 추진하고자 한다.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약제재의 변비약 수준으로 변비 개선 효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비의 개선이나 대장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유효성분의 보강 등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더불어 산화물질 해독에 관여하는

  • PDF

The riparian vegetation community models according to hydrologic and soil environments - Case of Daecheongho lake reservoirs - (수문 및 토양환경을 고려한 수변식생군락 조성 모델 - 대청호 저수지를 사례로 -)

  • Park, Mio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1
    • /
    • pp.144-154
    • /
    • 2017
  • The riparian vegetation is one of corridor type ecosystems, an ecotone and able to improve the ecological soundness by structural and functional link. And they act as habitats, sources and sinks of species, conduits, filters and barri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vegetation model for the fluctuation areas of lake reservoirs consider of hydrologic and soil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reference ecosystem. To develop the case study, 2 sites within 10degree slope of the Daecheong Lake were selected. The riparian vegetation models were built by the results of GIS analysis, remote satellite analysis, field survey results, consider of water level, flooded frequency, soil and topographic index, land cover or land use etc. 1) study area varied from FWL to -5m of NFWL, 2) slope 10% below, 3) vegetations flooded below 100days yearly are Salix koreensis, Salix chaenomeloides, Salix gracilistyla, 4)land cover type classified wildlife grassland, abandoned paddy field, cropland according to landuse (or landcover), 5)finally model was constructed as ecological landscape forest. The model designs were suggested by 2 types in Daecheong lake reservoir. The model for the riparian vegetation corridors could be the basic and useful data to improve the ecological and landscape properties.

A Study on Planting Landscaping Pla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iver Sections - A Case Study on Godeokcheon(Stream) in Seoul - (도시하천 구간 특성에 따른 조경 식물 식재방안 연구 - 서울시 고덕천을 사례로 -)

  • Moon, Yeong Ran;Han, Bong-Ho;Park, Seok-Ch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2 no.2
    • /
    • pp.1-20
    • /
    • 2024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dequacy of landscaping plants in city streams by investigating the species and growth status of landscaping plants, taking Godeokcheon in Seoul Metropolitan City as an example. The stream structure related to the planting ground and the impact of flood damage were analyzed. The adequacy of the planting species was analyzed based on the native species and moist land-inhabiting plants presented in the preceding study results. The adequacy, depending on the planting location and planting form, was analyzed using the growth states of adaptive and nonadaptive species by river topography. The planting location of those along the waterfront was the best, followed by the plants on waterside hills and embankment slopes. It is thought that the adaptability of dryland-inhabiting plants increased as the soil dried due to the impervious pavement of surrounding bikeways and trails. The species adequate for embankment slopes are thought to be native species and dryland-inhabiting plants. It is thought that, for waterside hills, the planting rate of wetland-inhabiting plants should be increased, and for waterfronts, the planting rate of dryland-inhabiting plants should be decreased. As for the planting form, the growth state was the best when mixed species were planted and the worst when other plants appeared. For city streams, the planting rates of native species and wetland-inhabiting plants should be increased, and adequate plant species for each location should be selected.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Weed Vegetation around the Osancheon Creek in Kyonggi Province (경기도 오산천 주변의 잡초군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 안영희;송종석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2 no.12
    • /
    • pp.1207-1213
    • /
    • 2003
  • Osancheon creek is located in the southwest of the middle area in Korea. Weed community around the Osancheon creek, where various disturbances exert a bad influence directly on its community by human work or nature, was surveyed phytosocialogically. Our surveys have been accomplished from June, 2003 to September, 2003. Weed communities formed around the Osancheon creek were divided into several patterns and analysed. They have been divided into 8 communities. Community A: Humulus japonica community, B: Phragmites communiscommunity, C: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D: Zi=ania latifolia community, E: Miscanthus saccharilflorus community, F: Echinochica crusgalli community, G: Typha orientalis community, H: Sataria viridis community. The flora surveyed in these communities was constituted of 19 families, 36 genera, 4 varieties, and 40 species. Wild plants such a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Erigeron annuus, Bidens frondosa, Aeschynomene indica and Oenothera odorata were mostly light loving plants and higher resistant plants against the disturbance. Our result from the ranking all surveyed areas by the Bray-Curtis ordination method was very similar to the results from phytosocialogical table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