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Weed Vegetation around the Osancheon Creek in Kyonggi Province

경기도 오산천 주변의 잡초군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Osancheon creek is located in the southwest of the middle area in Korea. Weed community around the Osancheon creek, where various disturbances exert a bad influence directly on its community by human work or nature, was surveyed phytosocialogically. Our surveys have been accomplished from June, 2003 to September, 2003. Weed communities formed around the Osancheon creek were divided into several patterns and analysed. They have been divided into 8 communities. Community A: Humulus japonica community, B: Phragmites communiscommunity, C: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D: Zi=ania latifolia community, E: Miscanthus saccharilflorus community, F: Echinochica crusgalli community, G: Typha orientalis community, H: Sataria viridis community. The flora surveyed in these communities was constituted of 19 families, 36 genera, 4 varieties, and 40 species. Wild plants such a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Erigeron annuus, Bidens frondosa, Aeschynomene indica and Oenothera odorata were mostly light loving plants and higher resistant plants against the disturbance. Our result from the ranking all surveyed areas by the Bray-Curtis ordination method was very similar to the results from phytosocialogical table work.

오산천은 경기도 남부지역에 위치하는 대표적인 도시 하천이다. 경기도 수원시를 비롯하여 화성군, 오산시 등의 도시 및 농촌, 공단이 인접하고 있어 하천에 대한 인위적, 자연적인 교란이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는 하천이다. 오산천 주변에 형성된 잡초 군락의 유형 및 실태를 파악하여 금후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 및 관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하천 주변의 수변부, 고수부, 제방부 등에 형성된 잡초 군락에 대해 2003년 5월에서 2003년 9월까지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조사를 수행하여 군락을 유형화하고 그 환경 조건을 분석하였다. 오산천 주변의 잡초 군락은 8군락 단위로 구분되었다: A. 환삼덩굴 군락, B. 갈대군락, C. 고마리 군락, D. 줄 군락, E. 물억새 군락, F. 돌피 군락, G. 부들 군락, H. 강아지풀 군락. 이상의 8군락을 구성하는 총 식물의 종류는 19과 36속 4변종 40종의 총 4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각 군락의 수반종으로 주요 출현 식물은 쑥, 개망초, 자귀풀, 달맞이꽃, 방동사니, 미국가막사리 등 주로 호광성이며 환경압에 강한 식물들로 나타났다. 모든 조사구를 Bray-Curtis 서열법에 의해 서열화한 결과는 대체로 식물사회학적 표 조작에서 얻어진 결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1992,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s, National academic press, Washington, 84-103pp.
  2. 안영희, 양영철, 전승훈, 2001, 안성천 수계의 버드나무과 식물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3), 213-223.
  3. Kadona, Y., 1982, Occurrence of aquatic macrophytes in relation to pH, alkalinity, Ca++, Cl- and conductivity, Jap. J. Ecol., 32, 39-44.
  4. 奧田重俊, 佐タ木寧, 1996, 河川環境と水邊植物, ソフとサイエンス社, 東京, 94-115pp.
  5. 임병선, 이점숙, 서계홍, 김하송, 1996, 영산강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 질산환원효소 활성 및 그 정화능, 한국생태학회지, 19(5), 487-496.
  6. 김용범, 임양재, 1990, 탄천의 대형 수생식물 군집의 분포와 환경, 한국생태학회지, 13(4), 297 -309.
  7. 기상청, 2003, http://www.kma.go.kr.
  8. Walter, H., E. Harnickell and D. Mueller -Dombois, 1975, Climate diagram maps. Springer, New York, 36pp.
  9.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 Aufl. Springer, Wien, New York, 865pp.
  10. 沼田眞, 1962, 植物生態野外觀察の方法. 築地書館, 東京, 396pp.
  11. 안영희, 2003,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한 청계산 식생구조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1), 15-27.
  12.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ugen Ulmer., Stuttgart, 136pp.
  13. Bray, J. R. and J. 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y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349. https://doi.org/10.2307/1942268
  14. 生態學實習懇談會, 1967, 生態學實習書, 朝倉書店, 東京, 336pp.
  15. Pielou, E. C., 1969,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New York, 286pp.
  16. 안영희, 송종석, 2003, 안성천 하천변 식물상 구성과 환경조건과의 관계, 한국환경과학회지, 12(6), 573-582. https://doi.org/10.5322/JES.2003.12.6.573
  17. Grime, J. P. and R. Hunt, 1975, Relative growth rate: its range and adaptive significance in local flora, J. Ecol., 63, 393-422. https://doi.org/10.2307/2258728
  18. 佐タ木好之, 1979, 植物社會學, 共立出版株式會社, 東京, 148pp.
  19. 倉本宣, 1984, 多摩川河邊植物群落の帶狀分布とその人間活動による變化, 造園雜誌, 47(5), 257-262.
  20. 角野康郞, 1990, 加古川(兵庫縣)の水生植物, 日本生態學會誌, 40, 15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