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악골 과두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5초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전돌증 환자의 외과적 악교정술후 하악과두 위치 변화 검토 (EVALUATION OF CONDYLAR DISPLACEMENT USING COMPUTER TOMOGRAPHY AFTER THE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 이호경;장현중;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3호
    • /
    • pp.191-200
    • /
    • 1998
  • 본 교실에서 악교정수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37명(남자13명, 여자 24명)을 대상으로 술전, 술직후,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하여 술전 각 항목치의 평균값 그리고 하악골의 후퇴량 및 술후의 악관절 장애 여부와 하악과두의 위치변화에 따른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부축방향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 거리(MM')는 $84.42{\pm}5.30mm$ 였으며, 장축각은 우측 $12.79{\pm}4.92^{\circ}$, 좌측 $13.53{\pm}5.56^{\circ}$로 좌우 비슷하였으며, 기준선(AA')에서 과두의 외측점은 11.34mm, 내측점은 6.87m 정도 전방에 위치하였다. 관상면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 거리(mm')는 $83.15{\pm}4.62mm$였으며, 사축각은 우측 $76.28{\pm}4.28^{\circ}$, 좌측 $78.30{\pm}3.79^{\circ}$로 좌우 비슷하였다. 2. 하악골 후퇴량에 따른 술전, 술후 장기관찰에서의 과두 위치변화를 연구한 결과, Group I에서 하악과두의 전방내측 회전의 양상을 보였고, Group II는 RMD, RCA', LCA'가 감소하여 전내측의 회전양상만이 관찰되었으며, Group III에서는 RCA, RLD, RMD, LMD가 감소하여 우측 과두의 후방내측 회전양상을 보였다. MM' 도 감소하여 하악과두간의 거리도 좁아지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로 하악골의 후퇴량이 증가할수록 하악과두의 위치 변화가 많이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술후에 악관절장애를 호소하는 환자 군과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환자 군과 비교시 하악과두의 위치 변화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Group A군에서는 하악과두가 전내측의 회전양상을 보였으나, Group B 군의 경우는 좌측 과두의 전방외측 회전을 보였으며, 관상면상 단층면에서 LCA'가 많은 감소 양상을 보였다. 이와는 달리 Group C군에서 우측 과두의 후방내측 회전양상을 보였고 RCA'각의 감소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하악골의 후퇴량이 많은 군은 과두위치보존술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술후의 과두의 위치가 후방내측 회전을 보였다. 또한 장기관찰의 경우 원래의 관절 위치로 회귀하는 경향은 있었으나 술전의 과두의 위치보다는 증가와 감소의 경향을 보였다. 수술후의 악관절장애 증상을 호소한 군에서 과두축의 변화를 관찰하였기에, 하악의 후퇴량이 많은 경우에는 더욱더 과두보존술식에 많은 주의를 하면 술후의 악관절 장애의 발생율은 감소하리라 사료된다.

  • PDF

9세 소아에서 발생한 하악과두의 골수염 (Osteomyelitis of Mandibular Condyle : A Case Report in 9-year-old Child)

  • 이경은;최순정;서봉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3호
    • /
    • pp.333-340
    • /
    • 2009
  • 골수염은 골수의 염증을 의미하며 임상적으로는 골을 구성하고 있는 조직등의 염증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골수에서 시작되어 수질내로 확장되며 피질골, 골막등에 이환되어 골 전반에 걸친 골괴사를 야기시킨다. 원인은 일반적으로 세균에 의한 감염으로 여겨지며 항생제의 발달로 그 유병율이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외상, 매독, 만성 신질환, 알코올 중독, 영양결핍, 방사선 조사나 화학적 항암요법은 골의 감염을 위험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골수염의 치료는 비교적 까다로우며 난치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소아에서는 하악구조가 성숙이 덜되어 있어 염증이 쉽고 빠르게 퍼진다. 따라서 소아에서는 골수염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소아는 성장중이므로 악골의 성장 또한 고려해야 하므로 조기발견이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하악골중에서 하악과두는 하악골 성장의 중요한 곳으로 하악과두의 질환발생시 하악성장율감소, 안면비대칭과 같은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하악과두의 골수염은 대부분 치성감염이나 하악골절후의 감염으로 발생한다. 단, 소아의 경우에는 특별한 감염원인 없이 하악의 골수염이 발생했다는 보고도 있다. 이에 저자는 9세의 소아에서 뚜렷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하악과두의 골수염을 경험하였기에 증례보고와 함께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하악골 관절 과두돌기 골절의 임상적 연구 (Statistical study of Mandibular condylar process fractures)

  • 이희철;강신익;고영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287-296
    • /
    • 1989
  • 하악골 과두돌기 골절은 하악골에 있어서 자주 일어나는 골절중의 하나이며, 이 부위는 해부학적 구조로 이상적인 Reposition ( )이 통례적으로 불가능 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어렵기 때문에 치료방법이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수술후 충분한 악관절기능을 발휘하는데 문제가 있을수도 있기 때문에 (Arthropathia deformans)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서는 우선 관절기능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어져야 하며, 또한 악관절 강직에 따른 안면골의 발육 부전으로 인한 악골기형을 고려하여야 한다는데 치료의 촛점이 두어져야 한다. 본인은 1981년 부터 1987년까지 인제대학부속부산백병원에서 치료한 바 있는 73명을 대상으로 (88골절선) 임상조사와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악관절 과두돌기 골절에 대한 치료방법의 선택기준 및 합병증 방지에 그 일익을 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 PDF

자가장골 및 늑연골의 복합이식을 통한 하악골 재건술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DEFECT WITH COMPOSIITE AUTOGENOUS ILIAC BONE AND COSTOCHONDRAL GRAFTS)

  • 장세홍;안재진;소재정;박지희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04-109
    • /
    • 1991
  • 외상이나 감염 또는 종양의 적출에 의해 발생한 하악골 결손부는 심미적, 기능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Sykoff가 1900년에 자가골 이식으로 하악골 결손부를 수복한 이후 현재까지 많은 이식물과 이식 방법이 이용되어져 왔으며 특히 늑연골은 1920년에 Gillies에 의해서 TMJ 수복에 처음 사용된 이후 성장기 아동의 과두결손부 수복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자가장골은 안면부의 수복에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공급부위이며 특히 많은 양의 망상골이 필요한 경우에는 후방 접근법을 이용함으로서 충분한 양의 골을 얻을 수 있다. 수복의 시기는 환자마다 차이가 있어서 나이, 과거력, 초기질별의 상태, 성장발육정도 및 심미적, 정신적인 면을 고려하여야 하며 악성종양의 제거시에는 재발여부와 방사선 치료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기를 선택하여야 하나, 일반적으로 술후 약 1-2년 후에 시행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하악골 골육종으로 진단된 15세 남자 환자에서 과두를 포함하는 좌측 하악골 절단술후 임시로 레진수복물을 장착한뒤 약 20개월간의 주기적인 검진결과 재발의 기미가 없어 늑연골과 장골의 복합이식을 통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심한 하악골 전돌증 환자의 외과적 치험례 (SURGICAL CORRECTION OF SEVERE MANDIBULAR PROGNATHISM BY OBWEGESER II AND RIGID INTERNAL FLXATION)

  • 이근호;권대근;장도근;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1호
    • /
    • pp.33-42
    • /
    • 1994
  • 본교실에서는 심한 하악골 전동증 환자 5례에서 Obwegeser II method와 과두 위치 보존술 및 견고한 골간 고정을 상요하여 추적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Obwegeser II method는 15mm이상의 하악골 후방이동이 요구되거나 심한 개교합의 외과적교정시에 원심골편을 수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 판단된다. 2. 술후 하악과두의 위치 변화가 많은 증례 V에서 술직후 비교적 많은 재발을 경험하였다. 3. 하악과두위치의 보존과 견고한 골간고정을 통하여 악간고정기간의 단축과 술후 안정성 및 심미적 기능적 개선을 얻었다.

  • PDF

성장기 쥐의 편측 교근에 주사한 보툴리눔 A형 독소가 하악골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MANDIBULAR GROWTH EFFECT OF THE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INTO UNILATERAL MASSSTER MUSCLE OF GROWING RAT)

  • 곽소연;박기태;김지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33-439
    • /
    • 2009
  • 성장 시기가 다른 쥐의 편측 교근에 보툴리눔 A형 독소를 주사하여 하악골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기 다른 주령의 쥐(N=36, 1군: 4주령, 2군: 5주령, 3군: 6주령)를 대상으로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각 군은 다시 대조군, 편측주사군, 양측주사군으로 나누어 하악골의 길이를 계측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군에서 편측주사군의 주사측과 양측주사군 모두 하악체 길이, 과두 높이가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p<0.05). 2. 2군에서 편측주사군의 주사측과 양측주사군 모두 하악 전방부 높이와 과두높이에서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p<0.05). 3. 3군에서 편측주사군의 주사측과 양측주사군 모두 하악체 길이와 과두 높이, 과두돌기 높이가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p<0.05). 4. 세 군 모두 편측주사군의 양측 비교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주사측은 대조측 보다 낮은 계측값을 보이는 경향이 관찰되었다(p>0.05).

  • PDF

전산화단층사진을 이용한 하악골 3차원 영상에서 비대칭진단 계측항목의 재현도에 관한 연구 (Reproducibility of asymmetry measurements of the mandible in three-dimensional CT imaging)

  • 김고운;김재형;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14-327
    • /
    • 2008
  • 본 연구는 하악골 3차원 입체영상에서 비대칭계측항목들의 재현도 비교를 통하여 안면비대칭 진단 시 유용한 계측점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40명의 두경부 전산화단층사진을 이용하여 생성한 3차원 영상에서 하악골 형태를 결정짓는 부위로 하악과두, 하악우각부, 하악정중부를 선택하고 각 부위의 세부위치에 따라, 그리고 측정 시 보는 각도에 따라 구분하여 하악과두의 경우 $Cd_{sup}_{-}_{sup}$ 등 6개, 하악우각부의 경우 $Go_{inf}_{-}_{lat}$ 등 10개, 하악정중부의 경우 $Me_{-}_{ant},\;Me_{-}_{inf}$ 등 총 18개의 계측점을 설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하악골 비대칭 시 좌우 차이를 보일 수 있는 25개의 계측항목을 설정 및 계측한 후 조사자간 및 조사자내의 재현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조사자간 재현도의 경우 25개의 계측항목 중 3개를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조사자내 재현도의 경우 2개 항목을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높은 재현도를 보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설정한 18개의 계측점 중 $Go_{mid}_{-}_{lat},\;Go_{mid}_{-}_{obl}$가 포함된 계측항목이 조사자간 및 조사자내 재현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면구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18개의 계측점 중 16개의 계측점 (과두를 나타내는 $Cd_{sup}_{-}_{sup},\;Cd_{lat}_{-}_{ant},\;Cd_{lat}_{-}_{lat},\;Cd_{post}_{-}_{lat},\;Cd_{post}_{-}_{post},\;S$, 하악우각부를 나타내는 $Go_{int}_{-}_{lat},\;Go_{inf}_{-}_{inf},\;Go_{lat}_{-}_{ant},\;Go_{lat}_{-}_{lat},\;Go_{post}_{-}_{lat},\;Go_{post}_{-}_{post},\;Ag_{-}_{lat},\;Ag_{-}_{inf}$, 하악정중부를 나타내는 $Me_{-}_{ant},\;M_{-}_{inf}$)은 높은 재현도를 보이므로 전산화단층사진을 이용한 하악골 3차원 영상에서 안면비대칭 환자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