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부 침투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6초

대장균 발현시스템에서 단백질 전달 도메인 PTD가 인간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2)의 N- 또는 C-말단에 결합 되었을 때 미치는 재조합 단백질 복합체의 발현 특성과 피부 투과능력 (Expression Properties and Skin Permeability of Huma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with or without PTD Fused to N- or C-terminus in Escherichia coli)

  • 박인선;최충현;권보라;최영지;권태호;유강열;이주형;추영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5-283
    • /
    • 2018
  • 인간 섬유아세포 성장인자는 조직 생성 및 상처 치료 효과로 인해 상업적으로 중요한 치료제 또는 화장품소재로서 가능성이 높다. 피부 조직에 침투성을 부여하여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단백질 전달 도메인인 PTD를 FGF에 융합을 시도하고 있으며 피부로의 투과능력과 그로인한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PTD가 FGF 단백질의 N- 또는 C-말단에 결합 되었을 때 PTD의 위치가 대장균 발현시스템에서 재조합단백질 접힘 및 안정성, 그리고 결국 피부로의 도입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여기에서 우리는 대조군으로 PTD가 융합되지 않은 인간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2)와 PTD가 FGF2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융합된 FGF2 복합체를 중합효소연쇄반응(OE-PCR)을 통해 클로닝 하였다. 그 다음 이들 재조합 FGF2의 단백질 발현 및 특성을 확인하고 마우스 등 피부를 이용하여 조직 내로의 도입 능력을 조사 하였다. 결과적으로, 불용성 PTD-FGF2 (N 말단 융합)와는 달리 대조군 FGF2와 FGF2-PTD 융합 단백질(C- 말단 융합)은 가용성 형태로 발현되어 재조합단백질 획득이 용이하였고, 마우스 피부 도입능력은 FGF2-PTD 융합단백질에서만 나타내 보였다. 우리의 결과는 C-말단에 융합된 FGF2-PTD 융합단백질이 발현, 정제, 피부 투과능력의 측면에서 다른 두 옵션들보다 노동, 비용, 시간면에서 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UV/$O_3$ 조사에 의한 PET 직물의 편면 발수가공 (One-side water-repellent finish of PET fabrics using UV/$O_3$)

  • 김수진;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50-50
    • /
    • 2011
  • 발수가공은 섬유표면에 낮은 표면에너지 물질을 도포하여 섬유제품에 적심 저항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불소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한 가공제액을 부여하고 열에너지원을 사용하여 섬유 표면에 경화하여 고착시키고 처리온도는 $150{\sim}170^{\circ}C$의 범위에서 수 분 처리하지만 처리시간을 증가하면 섬유에 황변을 일으킬 수 있고 직물의 한 면에만 발수성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피부와 접촉하는 부위에서의 불필요한 발수성은 땀 흡수저하, 알러지 발생 우려 등 쾌적성 저하 요인이 될수 있어 스포츠, 레저 의류 분야에서는 섬유제품의 일면만을 발수처리 하는 가공이 필요되어진다. 편면 발수가공을 위한 선행기술로는 상하 중 하나의 롤러에만 발수제를 묻혀 섬유제품의 일면에만 발수가공을 하는 것과 분사기로 발수제를 섬유제품의 일면에 도포하는 것 등이 있다. 하지만 일면에 처리된 발수제가 반대면으로 침투하거나 균일한 발수처리가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발수제의 농도증가 및 증점제를 사용하여 점도를 증가시켜야하기 때문에 발수처리의 균일성 및 내구성 있는 편면발수공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UV경화가 가능한 불소계 발수제와 물에 용해되는 광개시제가 첨가된 수용액을 PET직물에 패딩하고 UV로 경화하여 양면 모두 발수성을 부여한 후 UV조사로 표면개질하여 표면친수성을 증가시켜 양 면의 발수성을 조절하였다.

  • PDF

생체 정보 기반 1인칭 슈팅 게임 플레이어 분석 시스템 (First-Person Shooter Player Analysis System Based on Biometrics)

  • 김동균;배병철;강신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9-38
    • /
    • 2017
  • 게임을 개발하는 단계에서 게임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을 예측하는 것은 게임성 평가에 있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이용자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게임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비침투적인 방법으로 수집한 뒤,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피부 전도도, 압력,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센서를 내장한 마우스와 분석 시스템을 새로이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피험자가 이 마우스를 사용해 1인칭 슈팅 게임 '오버 워치'를 플레이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본 시스템이 게임 플레이 영상과 마우스 내 여러 센서들로부터 수집한 생체 정보들을 활용하여 게임 이용자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리도카인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 겔의 피부침투성 및 in vivo 마취효과 (Skin Penetration and in Vivo Local Anesthetic Effect of Microemulsion-based Hydrogels Containing Lidocaine)

  • 신현우;이기봉;이상길;최영욱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0권4호
    • /
    • pp.273-278
    • /
    • 2000
  • Several topical preparations containing lidocaine, a widely used local anesthetic agent,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recently for the treatment of premature ejaculation. In this study, microemulsion(ME)-based hydrogels containing lidocaine were prepared by dispersing ME to hydrogel bases such as Carbopol, sod. alginate, and sod. carboxymethylcellulose. Lidocaine-containing ME was thermodynamically stable over 6 months and had a diameter ranging from 10 to 100 nm. In vitro skin penetration of lidocaine from ME-based hydrogels followed apparent zero-order kinetics. ME-based hydrogel showed higher drug penetration during fifteen minutes after application than alcoholic hydrogel, reference preparation. Tail flick test in rat was introduced to compare in vivo local anesthetic effects of different hydrogel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ME-based hydrogels are superior to other hydrogels. In optical microscopy, recrystallization of lidocaine was observed within 5 min after application of reference hydrogel, but there was no change in ME-based hydrogels even after 30 minnut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E-based hydrogels had some advantages in skin penetration, anesthetic effect and physical stability compared with alcoholic hydrogels. Finally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ME-based hydrogels containing lidocaine is a good topical drug delivery system for the treatment of premature ejaculation.

  • PDF

경피 약물 전달을 위한 Hollow형 실리콘 미세바늘 어레이의 제작 공정 개선 (Fabrication Enhancement of Hollow-type Silicon Microneedle Array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 김승국;장종현;김병민;양상식;황인식;박정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32-1533
    • /
    • 2007
  • Hollow형 미세바늘 어레이는 주사기와 패치의 장점을 결합하여 여러 종류의 약물을 통증 없이,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건식 식각 방법과 습식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hollow형 실리콘 미세바늘 어레이를 제작하는 제작 공정과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미세바늘 어레이의 형태는 실리콘 웨이퍼의 앞면에서 세 번의 식각 공정을 이용해 제작되었는데, 첫 번째 건식 식각 공정으로 피부에의 침투를 원활히 하기 위해 바늘 끝을 형성하고, 두 번째 건식 식각 공정으로 바늘의 길이를 조절하며, 마지막 HNA solution을 이용한 습식 식각 공정으로 바늘을 더 가늘게 만들면서 끝을 더 날카롭게 식각한다. 바늘을 통해 약물전달이 가능하도록 웨이퍼의 뒷면으로부터 건식 식각 공정을 이용해 약물 주입통로를 형성하였다. 제작된 Hollow형 실리콘 미세바늘 어레이는 $170\;{\mu}m$의 너비와 $230\;{\mu}m$의 길이, 직경 $40\;{\mu}m$의 약물 주입통로를 가지고 있으며, $1\;cm^2$의 시편 위에 $1000\;{\mu}m$의 피치로 $9{\times}9$ 개의 바늘을 형성하였다.

  • PDF

Effect of Testosterone Propionate on the Economic Trait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 Magadum, V.B.;Magadum, S.B.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9-72
    • /
    • 1993
  • Testosterone Propionate가 가잠의 실용형질에 미치는 영향 다화성계통의 1종인 Pure Mysore 품종에 대한 testosterone propionate(TP)의 농도별 (1, 5, 10$\mu$g/ml) 투여효과를 조사하였다. TP의 처리는 유충 3, 4, 5령의 36시간째 투여구(처리-1), 4, 5령의 48시간째 투여구(처리-2) 및 5령 72시간째 투여구(처리-3)의 3개 시험구를 설정하여 농도별로 피부에 침투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TP 처리는 산란성에 증대효과를 보였으나, 화용비율 및 발아비율은 대조구에 비해 떨어지고 있었다.

  • PDF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기능성 소재 : 멜라닌 (Melanin: A Naturally Existing Multifunctional Material)

  • 엄태식;우경배;심봉섭
    • 공업화학
    • /
    • 제27권2호
    • /
    • pp.115-122
    • /
    • 2016
  • 사람의 머리카락, 눈, 피부 등에서 발견되는 멜라닌은 자연의 생물체에 존재하는 어두운 색소를 가르치는 통칭이다. 멜라닌은 자유 라디컬을 흡수해서 제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해로운 UV 광선이 생체로 침투할 때, 세포 및 조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기적 전도성 및 이온 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산화성, 젖은 상태에서의 접착성, 금속이온 킬레이팅 등 다기능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이 주목받고 있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체 멜라닌의 구조를 정확하게 정의할 수는 없지만, 멜라닌의 응용 분야는 센서, 의료기기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미니총설에서는 멜라닌의 원천과 합성, 구조와 특성, 그리고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냉온 자극의 다양한 온도경계조건들에 대한 피부 내 온도 분포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for the Conjugate Heat Transfer of Skin Under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of Contrast Therapy)

  • 박다애;오한나;전병진;김은정;이승덕;최형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11호
    • /
    • pp.897-90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냉온 자극요법의 열전달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축대칭 비압축성 Navier-Stokes 방정식 및 에너지 방정식의 해법을 위해 SIMPLE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유한체적법을 사용하였다. 혈액의 관류를 고려하기 위해 Pennes bio-heat 방정식을 추가로 적용하였다. 다양한 온도조건에 따른 피부 아래 각 지점에서의 열 침투양상을 분석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다양한 입력온도들에 대하여 역치 온도에 도달하는 영역들을 발견하였다. 또한, 페니스 효과로 인하여 피부 심부로 갈수록 외부 자극에 대한 온도변화가 완만함을 확인하였으며, 진피부분의 온도가 역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온 자극 및 냉 자극은 47도 및 7도 내외로 주어져야 함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의 수치해석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경혈 냉온 자극 치료기의 최적설계 시에 활용된다.

비만치료기 개발에 따른 저준위레이저에 관한 연구 (Study on low-level laser therapy device according to the obesity development)

  • 이상식;김준태;정진형;김남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2-89
    • /
    • 2016
  • 경제성장과 더불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여 '아름답고 건강하게 사는 욕구'와, '항 노화'에 대한 관심이 증진됨에 따라 미학 산업이 유망사업으로 부각되어 스킨케어 시장을 크게 증가시켰다. 하지만 병원이나 전문 관리업체의 관리를 받기위해서는 시간적, 공간적, 비용적 제약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업체들이 홈 케어 방면으로 접근하기 시작했다. 세계적인 추세로 개인용 스킨케어 시장이 활성화 되었으며, 국내는 경기침체로 인한 저비용, 개인용 시장이 활성화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정용 스킨케어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용 스킨케어 제품을 만들기 위해 저준위 레이저를 개발하고 이를 피부 미용적으로 접목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피부에 저준위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모공을 확장시켜 피부의 진피층까지 해당 앰플을 침투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하였으며, 의료용 저준위 레이저와의 비교를 통하여 안정성 및 성능의 효율성 유무를 판단하고 상용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저분자화된 Polydeoxynucleotide (PDRN)의 흰쥐에 대한 외과적 창상 치유 효과 (Wound Healing Effect of Low Molecular PDRN on Experimental Surgical Excision Rat Model)

  • 윤종국;윤혜은;박정규;김미려;김대익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01-41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피부재생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저분자화 시킨 Polydeoxynucleotide (PDRN)의 창상 치유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어 정소 유래 PDRN 단백질 제거공정, 내독소 제거공정을 거쳐 순수분리 정제하였고 분자량 저감공정을 거쳐 기존 PDRN 보다 피부 침투율을 높인 고순도 PDRN을 제조하였다. 상처 치료 과정 중 PDRN 처리에 의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sprague-dawley rats (SD)의 배부에 bioxy punch를 이용한 4개의 창상을 유발하고, 시료를 포함한 총 5종의 실험시료를 마리당 $500{\mu}L$씩 도포한 후 7일 간격으로 4주간 피부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상처에 PDRN을 도포한 후, 절개된 상처의 표피화와 수축이 더 빨라졌고, 창상면적에 있어서 PDRN의 도포는 양성대조군인 $Fucidin^{(R)}$ 도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염색한 조직의 현미경 관찰 결과에서는 양성대조군이 가장 빠르게 재상피화가 이루어졌으며, 그 다음으로는 PH군, PD군, HA군으로 교원질 재합성 및 형성 수준을 보였다. 또한, 병변의 형질전환성장인자($TGF-{\beta}$) 및 혈관 내피성장인자(VEGF) 등의 성장인자에서도 염색 조직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저분자화된 PDRN은 창상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며, 화장품 및 의료산업 분야의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