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층 수온

Search Result 45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termination of Optimum Water Intaking Depth Based on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Unmun Reservoir (식물플랑크톤 분포도에 따른 운문호의 선택취수 수심 결정)

  • Baek, In-Ho;Kim, Chul-Ho;Lee, Jung-H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3 no.3 s.91
    • /
    • pp.311-31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water intaking depth for water treatment plant based on the changes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s in Unmun reservoir. Sampling was carried around of intaking tower near the Dam site at monthly intervals from February to Ocotber in 1998. Total 79 phytoplankton taxa were observed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4 varieties, 75 species within 51 genera. Diatoms were mainly dominated from February to July. However Rhodomonas sp. was a dominant species in August, and Microcystis ichthyblabe in September and October. Cell density of 122,800 cells/mL in October was the highest, and 415 cells/mL in May was the lowest. The pattern of vertical distribution was similar until May; however, the cell density in the epilimnion was much higher than it in the hypolimnion during the periods with the high water temperature over $20^{\circ}C$ since June. The water depths showing over 5,000 cells/mL ranged from the surface to 9m in June, surface to 6m in September, and on the only surface in October. Based on water temperature and phytoplankton vertical distribution, the depth of 6m appeared to be the optimum intaking depth far water treatment plant: 75.4 to 98.0% of phytoplankton cell densities could be avoided and the temperature over $18.3^{\circ}C$ was preserved to prevent cold water damage for rice growth at the water depth during cyanobacterial blooming period in Unmun reservoir.

  • PDF

Satellite Remote Sensing to Monitor Seasonal Horizontal Distribution of Resuspended Sediments in the East China Sea (위성원격탐사에 의한 동중국해 재부상 부유사의 계절적 수평분포 특성)

  • Lee, Na-Kyung;Suh, Young-Sang;Kim, Young-Seup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3
    • /
    • pp.151-161
    • /
    • 2003
  •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resuspended solid on the shelf of the southern Yellow Sea and the northern East China Sea was studied. The sea surface reflectance imageries obtained by remote sensing using satellite at channels of red (620~670nm), green(545~565nm) and blue(459~479nm) from Terra MODIS were used to explain the front of the high concentration suspended solid(SS) on the shelf in the East China Sea.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the resuspended solid was depended on the wind force, tidal current and stratification of water. The horizontal distribution areas of the resuspended solid in winter season during January~April, 2002 were three times wider than those in summer season during June~September, 2001.

  • PDF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squids in relation to oceanographic structure in the North Pacific Ocean (북태평양 오징어류의 연직 및 수평분포)

  • 김영승;이주희;박영철;황선재;김두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5 no.2
    • /
    • pp.102-117
    • /
    • 1999
  • Vertical distribution of squids in relation to oceanographic structure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experimental squid hand jigging fishing by R/V Pusan 851 in the area of 34°∼47° N, 150° E∼170°W in the North Pacific in summer from 1987 through 1993 with exception of 1991. The 6 species of squids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as following; Boreopacific gonate squid (Gonatopsis borealis) were mainly caught in the layer of 71-80m fishing depth of the Subarctic Domain with water temperature of 6∼11℃ and salinity of 32.2∼33.6‰ and distributed in the latitudes of 41°∼43° N. Boreal clubhook squid (Onychoteuthis borealijaponica) were mainly caught in the layer of 11∼20m fishing depth of the Subarctic Domain with water temperature of 10∼12℃ and salinity of 32.9∼33.6‰ and distributed in the latitudes of 41°∼42N°. Tapanese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were mainly caught in the layer of 11∼20m fishing depth of the Transition Zone and the Subtropical Domain with water temperature of 15∼18℃ and salinity of 33.6∼34.0‰ and distributed in the latitudes of 40°∼42°N. Neon flying squid (Ommastrephes bartrami) were mainly caught in the layer of surface∼10m fishing depth of the Subarctic Convergence Zone and the Transition Zone with water temperature of 16∼17℃ and salinity of 33.7∼34.4‰ and distributed in the latitudes of 39 °∼41°N. Luminous flying squid (Symplectoteuthis luminosa) were mainly caught in the layer of 11 20m fishing depth of the Transition Zone and the Subtropical Domain with water temperature of 18∼20℃ and salinity of 33.8∼34.6‰ and distributed in the latitudes of 37°∼39°N. Purpleback flying squid (Symplectoteuthis oualaniensis) were mainly caught in the layer of surface∼10m fishing depth of the Subtropical Domain with water temperature of 24∼25℃ and salinity of 34.2∼34.4‰ and distributed in the latitude of 36°∼37°N.

  • PDF

재배 참다시마의 생태형태학적 및 통계유전학적 연구

  • 서태호;전영호;최성제;진판동;이금열;고창순;신종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17-117
    • /
    • 2003
  • 다시마(Laminaria japonica) 생태육종 연구의 일환으로 완도산과 백령도산 품종의 재배시험을 전남 고흥군 명천어장과 계도어장에서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실시하였다. 시험기간 중 어장의 수온, 염분농도, 유속, 용존산소농도는 구간별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수온은 1월부터 7월까지 점차 상승하였고, 염분농도는 5월까지 상승하다가 6월과 7월에 낮아졌다. 유속은 저층에서보다 표층에서 빨랐고, 용존산소농도는 1월부터 7월까지 점차적으로 낮아졌다. 어장의 영양염 변화는 구간별로 1월부터 7월까지 유의차가 없었으며 암모니아염이 5월에 다소 증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전장과 엽폭은 4월까지 증가하다가 끝녹음으로 인하여 4월이후에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엽두께, 전중량, 비대도는 7월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형질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1%와 5% 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각형질에 있어서 품종과 환경간에 월별로 질적교호작용과 양적교호작용중 어느 한 쪽이 나타났다. 품종시험에 의한 유전력은 엽폭에서 가장 높았고, 엽두께에서 가장 낮았다. 표현형상관, 유전상관, 환경상관계수는 형질간에 대부분 높은 값을 보였으나 엽두께와 전중량간의 값이 일반적으로 낮았다. 부모와 자식간의 회귀에 의한 유전력은 계도어장의 엽두께에서 가장 높았으나 일반적으로 전중량에서 높았고, 육종가와 유전상관은 전중량에서 가장 높았다. 각 형질의 상대적 경제 가치를 고려한 선발 총점은 명천어장에서의 완도산 품종에서 가장 높았다.

  • PDF

Thermal Effluent Diffusion and Flow Characteristics using the TGPS Buoy (TGPS 부이를 이용한 온배수 확산과 흐름 특성)

  • 박일흠;이연규;최정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10a
    • /
    • pp.614-617
    • /
    • 2000
  • To get the maximum diffusion boundary of thermal effluent of Youngkwang Nuclear Power Plant, paths of TGPS Buoy and temperatures of surface water are obtained to 4 times at spring tide during 1 year. According to the paths of TGPS Buoy, the flumes of thermal effluent are moved about 12km from outlet to SW or WSW direction. After 3∼4 times of tidal period the waters are reached to Chilsan Island because the ebb flow is more predominant than the flood flow in this area. At the spring and fall season, a sudden drop of surface water temperature is detected around 5km radius from the outlet. At the summer season, it is measured about 10km. On the other hand the flumes are continuously cooled down by the atmosphere condition at winter season.

  • PDF

Assessment of Tubid Water Discharge Capacity with Selective Withdrawal Facility in the Imha Reservoir (임하호 선택취수시설의 탁수배제 효과분석)

  • Lee, Sang-Uk;Kim, Jeong-Kon;Noh, Joon-Woo;Kim, D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83-1386
    • /
    • 2007
  • 하절기 고탁수로 문제가 되고 있는 임하호에 원활한 탁수배제를 위하여 선택취수시설이 설치되어 2006년 운영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택취수시설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CE-QUAL-W2 모형을 이용하여 호내의 탁수 분포를 분석하고 보정된 모형을 이용하여 선택취수와 표면취수(표층${\sim}7\;m$)에 따른 탁수의 저감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임하댐 유입부의 탁도 자동 측정 시스템에서 측정된 수온 및 탁도자료를 입력자료로 사용하였고, 모형의 호내의 4개지점의 수심별 자료에 대하여 보정을 실시하였다. 보정결과 관측값과 비교에서 절대 평균 오차(RMSE)는 5.2로 산정되었으며 수심별 수온 및 탁도 분포와 최고 탁도층이 발생하는 수심을 적절히 모의하였다. 선택취수시설을 적용한 경우 표면취수의 경우와 비교해서 100 NTU 이상의 고탁수층에 대해서는 (1) 호내의 탁수량이 $35\;Mm^3$이상이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2) 고탁수의 방류량이 3배이상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취수는 표면취수에 비해 고탁수층의 배제에 효과적이며 취수구의 위치 변경등 지속적인 관리를 통하여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효과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에 대한 운영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Cold Water Appeared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동해 남서부해역에 출현하는 냉수 특성)

  • Lee, Moon-Ock;Otake, Shinya;Kim, JongKyu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26 no.3
    • /
    • pp.455-473
    • /
    • 2014
  • 하계 동해의 남서부해역에 냉수가 왜 그리고 어떠한 해양환경하에 출현하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현장조사, 위성자료의 분석 및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해역에서 냉수는 비정상년의 경우는 정상년에 비해 보다 더 연안 가까이에서 출현하였고, 수온도 낮았다. 이것은 냉수가 비정상년에는 정상년에 비해 크게 발달하여 연안역으로 확장함을 의미하였다. 흐름장의 계산결과는 지형류적인 관점에서 수온의 관측결과를 잘 재현하였다. 한편, 정상년의 경우는, 북한한류(NKCW)가 쓰시마난류(TC)와 균형을 유지하면서 동해의 북서쪽에 머물고 있었다. 이에 반해, 비정상년의 경우는, 북한한류가 점차 남쪽으로 남하하여 동해 서부역의 대부분이 북한한류의 세력하에 놓였다. 그래서, 하계 동해 서부 연안역에서의 냉수 출현은 남쪽으로의 북한한류의 확장에 의한 부산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울산 연안역에 대한 유동계산결과는 하계 남풍이 불 경우, 표층과 저층 사이에 흐름의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하계 동해의 남서부 연안역, 특히 수심의 변화가 급한 방어진 부근에서 냉수의 용승이 일어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Study on Physical Oceanographic Environments in the Coastal Sea of Chung-Moon, Cheju Island (제주도 중문 연안역의 물리해양환경에 대한 연구)

  • Hong, Chang-Su;Oh, Kyung-Hee;Pang, Ig-Cha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6 no.4
    • /
    • pp.211-217
    • /
    • 2001
  • Physical oceanographic environments in the coastal sea of Chung-Moon located in the south coast of Cheju Island, Korea, where water pollutions by growing tourism complex possibly start to influence on the ecological system, are studied with hydrographic data observed monthly during July 1997 to June 2000. Winter and summer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December to April and June to October, respectively, and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May and November. Waters show 14{\sim}16^{\circ}C$ and 34${\sim}$34.7 psu in winter and $15{\sim}27^{\circ}C$ and 32${\sim}$34.3 psu in summer. It tells that Tsushima water distributes in the whole column in winter and in the lower layer in summer, and Yangtze coastal water appears in the surface water in summer. When the influence of Yangtze coastal water is strong, salinities below 30psu are shown. Stratification is formed in the depth of about 20 m from June to October, so that it is not shown in the near shore stations, of which the depth is about10 m. Isotherms and isohalines sometimes tend to be perpendicular to the coast line in the surface, which seems to show influences from the steam power plant near St. 1 and the sewage disposal plant near St. 3.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emperatures in St. 1 are a little higher than those in St. 2 and St. 3 except for a couple of months in summer and salinities in St. 3 are mostly a little lower than those in St. 1 and St. 2. Their effects seem to be no more than $0.4^{\circ}C$ in a distance of 300 m and no more than 0.1 psu within a distance of 30 m.

  • PDF

Real-time Monitoring of Environmental Properties at Seaweed Farm and a Simple Model for CO2 Budget (해조양식장 수질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이산화탄소 단순 수지모델)

  • Shim, Jeong Hee;Kang, Dong-Jin;Han, In Sung;Kwon, Jung No;Lee, Yong-Hwa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7 no.4
    • /
    • pp.243-251
    • /
    • 2012
  • Real-time monitoring for environmental factors(temperature, salinity, chlorophyll, etc.) and carbonate components( pH and $fCO_2$) was conducted during 5-6th of July, 2012 at a seaweeds farm in Gijang, Busan.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ranged from $12.5{\sim}17.6^{\circ}C$ and 33.7~34.0, respectively, with highly daily and inter-daily variations due to tide, light frequency(day and night) and currents. Surface $fCO_2$ and pH showed a range of $381{\sim}402{\mu}atm$ and 8.03~8.15,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surface seawater ranged 0.8~5.8 ${\mu}g\;L^{-1}$. Environmental and carbonate factors showed the highest/lowest values around 5 pm of 5th July when the lowest tidal height and strongest thermocline in the water column, suggesting that biological production resulted in decrease of $CO_2$ and increase of pH in the seaweed farm. Processes affecting the surface $fCO_2$ distribution were evaluated using a simple budget model. In day time, biological productions by phytoplankton and macro algae are the main factors for $CO_2$ drawdown and counteracted the amount of $CO_2$ increase by temperature and air-sea exchange. The model values were a little higher than observed values in night time due to the over-estimation of physical mixing. The model suggested that algal production accounted about 14-40% of total $CO_2$ variation in seaweed farm.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Tractor on Internet (인터넷을 이용한 트랙터 원격모니터링과 제어)

  • Kim, Sang-Cheol;Park, U-Pung;Lee, Yong-Beom;Han, Gil-Su;Im, Dong-Hyeok;Lee, 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v.10 no.2
    • /
    • pp.59-63
    • /
    • 2005
  • 가. 자율주행 트랙터가 작업하는 동안 작동상태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한 자율주행 트랙터의 모니터링과 원격제어 기술에 대하여 시험 하였다. 나. 트랙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곳과 경작지가 있는 곳을 인터넷으로 연결하고,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은 트랙터는 인터넷을 통해 전달받은 명령을 수행하도록 액튜에이터를 제어하고 제어되는 상황을 경작지에 위치한 카메라가 촬영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의 운전자 쪽으로 전송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했다. 다. HST 트랙터 조종장치로서 서보제어가 가능한 액튜에이터를 개발 장착하고 제어성능을 시험하였다. 전자유압제어(EHPS)식 조향액튜에이터는 , 조향가능각 100도의 전범위에 조향 제어가 가능했으며 전조향에 필요한 시간은 약 1.6초 정도 였다. 피스톤 펌프의 사판각을 제어하는 전후진 제어기는 리니어 모터 구동식으로 총 제어 변위 50mm를 이동하는데 제어시간이 약 1.2초 소요되었다.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기위한 스로틀 액튜에이터는 리니어 모터 구동식으로 제어변위 30mm에 대해 제어시간이 0.8초 소요되었다. 3점 링크에 부착된 작업기의 위치를 제어하는 리프트 제어기도 리니어모터로 구동하였으며 제어거리 40mm에 대해 제어시간 0.9초정도가 소요되었다 라. 제작된 HST 무인 트랙터를 인터넷과 무선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과제어 가능성에 대해 시험 했다. 인터넷을 통한 장거리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시험에서 제어신호의 전달지연은 0.3 ${\sim}$ 0.5초정도로 제어신호의 피이드 백을 확인할 때까지는 약1초정도의 대기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의 개발 시 이를 고려할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된 표층수온 분포값보다 2005년 2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분포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의 2004년 해황 분석 결과는 이상수온 상승의 원인이 쿠로시오 해류의 변동과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현재 진행중에 있다.에 인산염 처리, 여기에 초음파 처리, 마지막 단계로 3분 끓이면 억제율이 68%까지 억제되었다. 이는 단일처리시 전혀 억제를 못하는 처리를 단계별로 한 단계씩 더해가면 allergy 억제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겠다. 초음파 처리도 역시 저 allergy 처리 공정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그 처리로 인해 새로운 알러젠이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합처리로 allergy를 감소시키면 연속적이고 동시적으로 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환경현안에 대한 정치경제적 접근을 외면하지 말고 교과서 저작의 소재로 삼을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환경관리주의'와 '녹색소비'에 머물러 있는 '환경 지식교육'과 실천을 한단계 진전시키는 작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후 10년의 환경교육은 바로 '생태적 합리성'과 '환경정의'라는 두 '화두'에 터하여 세워져야 한다.배액에서 약해를 보였으나, 25% 야자지방산의 경우 50 ${\sim}$ 100배액 어디에서도 액해를 보이지 않았다. 별도로 적용한 시험에서, 토마토의 경우에도 25% 야자지방산 비누 50 ${\sim}$ 100배액 모두 약해를 발생하지 않았으나, 오이에서는 25% 야자지방산 비누 100배액에도 약해를 나타내었다. 12. 이상의 결과, 천연지방산을 이용하여 유기농업에 허용되는 각종의 살충비누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방제가 조사결과 진딧물, 응애 등 껍질이 연약한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