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기준모델분석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Open-Architecture Hybrid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Container Crane (컨테이너크레인의 개방형 하이브리드 제어시스템에 대한 연구)

  • 홍경태;홍금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4.04a
    • /
    • pp.465-470
    • /
    • 2004
  • In this paper, an open architectur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container cranes is investigated. A standard reference model for cranes, which consists of three modules; hardware module, operating system module, and application software module, is proposed. A hybrid control architecture combining deliberative and reactive controls for the autonomous operation of the cranes is proposed.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 new reference platform for the crane control system is proposed. Second,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cran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the automatic container crane are described.

  • PDF

A Conceptual Quality Evaluation Model of NMS Software Systems (개념적 NMS 관리 소프트웨어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 Park, Young-Jin;Kim, Young-Min;Park, Jae-Won;Lee, Chi-Young;Lee, Nam-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391-393
    • /
    • 2005
  •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 소프트웨어의 특성에 맞는 평가 항목과 평가 기준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각 소프트웨어의 특성에 맞는 품질특성을 찾아내어서 검증하고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NMS 관리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국제표준 품질모델인 ISO/IEC 9126을 바탕으로 품질평가 항목을 제시한다.

  • PDF

Automatic Risk Assessment Method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System Audit Quality (정보시스템 감리품질 향상을 위한 자동화된 위험평가 기법)

  • Ahn, Sang-Im;Lee, Woo-Jin;Chong, K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298-300
    • /
    • 2005
  • 감리는 정보시스템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련의 활동들 중 하나로 독립된 제3자가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관련된 각종 위험 및 통제 상태를 점검하고 평가하여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권고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평가가 감리인의 전문적 경험 및 주관적 판단에 의존한 정성적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어 중요한 위험을 간과할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비정형 산출물을 DTD와 스키마를 포함한 XML메타 모델인 표준포맷을 생성 후 단계별 필 통합적 방법으로 의미분석을 실시하여 자동으로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위험평가 프레임워크, 위험평가 모델, 위험평가 기준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화된 감리품질 개선기법을 통하여 추출된 결과는 감리인에게 사전에 전달됨으로써 감리노력과 일정을 절약할 수 있어 효율적인 감리수행 및 효과적인 감리결과가 보장된다.

  • PDF

GPS TEC 관측자료로 살펴본 우리나라 전리층 특성에 관한 보고

  • Jeong, Jong-Gyun;Lee, Ji-Na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25.2-125.2
    • /
    • 2012
  • 최근 아태지역 국제민간항공기구는 GPS의 항공이행을 위한 전리층 연구 태스크포스(Ionospheric Study Task Force, ISTF)를 결성하였다. 안전한 GPS 항공이행을 위해서는 지역적 그리고 전지구적 전리층 특성을 파악한 후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전리층 모델이 필요하다. 한국천문연구원은 ISTF의 전리층 변화 특성 분석에 관한 기술분과를 담당하고 있으며 GPS 항공이행 실시간 전리층 모델개발을 위한 아태지역 전리층 분석방법 및 표준규범을 수립하고 있다. 아태지역 전리층 연구에 앞서 우리나라 전리층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국천문연구원이 1998년부터 운영 중에 있는 대전 국제 GPS 기준점으로부터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태양 11년 주기에 해당하는 GPS TEC를 분석하였다. 또한, 해당 기간 동안 우리나라 양/음 전리층 폭풍 발생 빈도에 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GPS TEC의 태양 극자외선 플럭스와 10.7 cm 태양전파와의 상관관계 차이점, 연변화 및 계절적 변화 그리고 이에 대한 시간 변화에 대해 보고한다. 또한 GPS TEC의 27일 주기 변화에 특성에 대해 토의하며, 우리나라 상공 전리층 폭풍의 계절적 분포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끝으로 최근 한국천문연구원 GPS TEC 상시 관측자료에 나타난 태양 및 지자기 폭풍에 따른 전리층 폭풍 사례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층대기 연구가 GPS로 대표되는 현업에 적용되는 최근 현황을 소개할 것이다.

  • PDF

Analysis on Common Criteria Improvements in Version 3.0 (공통평가기준(CC) 버전 3.0 분석)

  • No, Byung-Gyu;Kim, Young-Tae;Park, Doo-Soon;Kim, Jeom-Goo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5 no.4
    • /
    • pp.7-18
    • /
    • 2005
  • Recently, ISO/IEC SC27 WG3 is actively working on the revision of CC V3.0 to be an international standard by 2008, principally supported by Common Criteria Development Board (CCDB). Hence, it is essential for Korea to review and analyze the changes in CC V3.0, so as to be completely prepared for any change to be occurred from CC V2.* to V3.0. Taking into account of CC V3.0 being revised currently, this paper gives a general overview of revision in CC V3.0 : then, closely examines and explains the improvements and changes made by the revision in CC V3.0

  • PDF

A Proposal for a New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 by Service Economy Perspective (서비스경제 관점의 산업분류체계 개선 제안)

  • Chae, Jongdae;Kim, Hyunsoo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8 no.1
    • /
    • pp.89-102
    • /
    • 2018
  •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 is a systematic taxonomy of industrial activities and the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is used in all country by their own a consistent classification method. Therefore, it is employed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industry affairs using statistical investigations in terms industrial activities for making industrial policies and to compare industrial activity among countries. Since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the need for the homogenous standard of industrial classification among countries emerged as the economic and industrial exchanges between the countries have became more active. In 1940, Colin Clark who british economist divided the industry into the first (primitive), second (processed), and third (service) industries. Based on this, the United Nations Office for Statistics (UNSD) established 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ISIC) in 1948, which most countries invoke it. ISIC(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and the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s of countries have reached the present after several revisions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In the 2000s, the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is amended to reflect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and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mainly featuring the creation and segmentation of sections in the tertiary industry domains. It also shows that primary and secondary sectors are shifting to tertiary industry. In this study, the causes of these common phenomena are systematically identified and the problems present classification systems have been analyzed. Also proposed is the direction of formation of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 from a service economy point of view and the conceptual model of the new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through this study and to carry out various new classification system studies.

The Recycling of Nutrient Balance from Small Oranic farming System in Korea (소규모 유기농가단위 경축연계 자원순환 모델연구(I))

  • Yoon, Sung-Hee;Park, Dong-Ha;Choi, Si-Young;Kim, J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307-307
    • /
    • 2009
  • 우리나라에서 농가단위 경축순환농업 모델에 대한 조사와 농장내 순환구조에서 양분수지를 조사한 사례도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경축연계 자원순환 유기농업농가의 실천사례 발굴하고, 실천모델별 축산형태 및 경종형태를 조사하여 경종부분의 양분순환과 양분수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발굴된 농가단위 경축순환농업 사례는 3가지 형태로 모두 한우를 11~21두 범위에서 사육하는 동시에 $15,510m^2$의 밭농사를 수행하는 농가, $8,019m^2$의 밭농사와 $8,250m^2$ 논농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농가, $26,400m^2$의 논농사만 수행하는 농가들이었다. 각 모델에서 배합사료는 모두 외부에서 구입하고 있었으며 조사료의 자급율은 25 ~ 10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한우 20두와 논농사 $26,400m^2$를 경영하는 농가에서 조사료(볏짚)의 100%를 자급하였고 동시에 한우사육과정에서 발생한 자급퇴비를 전량 논농사에 사용하여 유기농 벼농사를 유지하고 있었다. 밭농사를 함께 수행하는 농가에서는 자급퇴비 외에 외부로부터 유박비료 및 발효유기질비료를 구입하여 양분을 충당하고 있었다. 각 농가의 토양이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pH는 5.49~7.61, 유기물 함량은 1.37~1.40%, 유효인산 함량 253.32~329.63 mg/kg, 칼륨 0.24~0.3, 칼슘 3.97~10.1, 마그네슘 0.89~1.77 $Cmol^+$/kg, CEC는 7.92~11 $Cmol^+$/kg 이었므며 토양내 잔류농약은 검출되지 않았다. 농가별로 발생한 우분퇴비의 성분 분석결과는 전질소 0.68 ~ 0.73%, 전인산 0.68 ~ 0.86%, 칼륨 0.70~0.78% 수준이었다. 각 사례농가별 투입한 실제시비량, 토양분석결과와 사용된 자재의 성분 분석결과를 이용한 시비처방법에 따른 시비량 및 표준시비법에 따른 시비량을 산출하여 3요소의 양분수지를 계산하였다. 이와 함께 유기질비료의 무기화율을 감안한 시비량도 산출하였다. 양분수지를 분석한 결과 3농가 모두 실제시비량은 3요소 모두 초과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산과 칼륨이 2배정도 초과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투입된 자급퇴비 및 유기질비료의 무기화율을 감안한 시비량으로 환산할 경우에는 질소성분이 3농가 모두 부족한 것으로 산출되었으며, 인산과 가리 성분은 충분하거나 초과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농장내 축산경영을 통해 발생하는 자급퇴비만을 이용할 경우에 경종부문의 양분수지를 산출한 결과를 보면 실제시비량 기준으로 질소는 56~186%, 인산은 90~346%, 칼륨은41~221%로 양분수지가 달라졌으며, 무기화를 감안한 기준으로는 질소는 16~53%, 인산은 52~197%, 칼륨은 41~221%로 양분수지가 달라졌다. 소규모 유기농가단위 경축연계 자원순환 모델 연구를 통해 유기경종농업이 유지될 수 있으나, 3요소별 양분수지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유기질비료의 특성상 무기화율을 감안한 시비량을 적용할 경우에는 질소 성분의 부족과 동시에 인산, 칼륨 성분의 과다가 예측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성분의 불균형을 조정할 시비체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의 "유기가축사양 및 유기 순환체계모델" 연구사업의 세부과제로 수행한 1년차 결과입니다.

  • PDF

Development of an Operation Model for Technical Proposal-Based Tender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공공건설공사의 기술제안형 입찰 운영모델 개발)

  • Yu, Il-Han;Kim, Kyung-Ra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2
    • /
    • pp.136-145
    • /
    • 2008
  • Recently th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of Korea launched two new project delivery systems called "Best Value Contract (Design-Bid-Build)" and "Bridging Contract (Design-Build)" in October of 2007 by revising enforcement ordinances of "Act on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These project delivery systems require the bidders to submit technical proposal adjusted to the project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for selecting the contractor by evaluating technical proposals. This research aimed to suggest guideline to effectively operate the project delivery systems described above. To reach the goal of the research, the framework of the operation model was developed, which includes the four categories: the standard bidding process, the technical proposal requirements, the technical proposal evaluation criteria, and the award methods. The contents of the four categories above were fulfilled throughout conferring with the advisory experts. In particular, the award methods, which are the important decision-making factor in the perspective of the owner, consist of four types: Low Bid-Fully Qualified, Weighted Criteria, Adjusted Bid, and Adjusted Score. The quantitative features and application criteria of these four types of award methods were suggested throughout the simulation using the virtual case.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rate in Jincheon (진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률 산정)

  • Chung, Il-Moon;Kim, Nam-Won;Kim, Ji-Tae;Na, Han-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7-237
    • /
    • 2011
  •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률의 정량적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연동해석이 가능하며 토지이용 특성과 국내 토양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국형 장기 유출 모형 SWAT-K를 이용하여 진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행정경계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하는 표준단위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진천군을 포함하는 미호천유역을 SWAT-K 구동을 위한 모델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하도를 따라 34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SWAT-K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수문자료를 구축해야 하는데 강우량을 비롯하여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 등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위치한 청주, 충주, 대전, 이천, 보은, 천안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시간, 모형결과의 정확도 등을 판단하여 30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300m 공간 해상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모의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중분류(1:25,000)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토양도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토양도 전산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진천군을 포함한 미호천 전체유역에 대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물수지 분석 결과(2004년~2009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66.6%, 증발산률은 34.6%, 함양률은 20.8%로 나타났다. 지표수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소유역별 연간 함양량 결과를 산정하였고, 총 34개의 소유역별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SWAT-K 모형을 이용한 모델 영역중 진천군에 속하는 행정구역별, 표준권역별 연평균 함양량을 산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진천군 평균 함양률은 20.5%로 산정되었다.

  • PDF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in Jangseong (장성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 산정)

  • Chung, Il-Moon;Kim, Youn Jung;Park, Seunghyuk;Lee, Jeongwoo;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01-301
    • /
    • 2015
  •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정량적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연동해석이 가능하며 토지이용 특성과 국내 토양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국형 장기 유출 모형 SWAT-K를 이용하여 장성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행정경계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하는 표준단위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장성군을 포함하는 유역을 SWAT-K 구동을 위한 모델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하도를 따라 1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SWAT-K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수문자료를 구축해야 하는데 강우량을 비롯하여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 등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위치한 광주, 정읍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시간, 모형결과의 정확도 등을 판단하여 30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300m 공간해상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모의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중분류(1:25,000)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토양도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토양도 전산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장성군을 포함한 전체유역에 대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물수지 분석 결과(2005년~2013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63.0%, 증발산률은 34.6%, 함양률은 19.5%로 나타났다. 지표수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소유역별 연간 함양량 결과를 산정하였고, 총 13개의 소유역별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SWAT-K 모형을 이용한 모델 영역중 장성군에 속하는 행정구역별, 표준권역별 연평균 함양량을 산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장성군 평균 함양률은 20.3%로 산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