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커스 그룹인터뷰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3초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한 동물로봇 디자인의 가이드라인 (Guideline of Animal Robot Design for Psychotherapy of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 문금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09-117
    • /
    • 2013
  • 본 연구는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목적으로 한 동물로봇 디자인을 위해 필요한 대상동물 선정과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연구이다. 정서장애 아동의 경우 자신의 정서 상태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므로 기존의 치료 및 교육 방법에 제약이 많다. 1990년대 후반부터 시도되기 시작한 동물모양 로봇의 활용연구 방법은 학습장애아들에게 효과적이다.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한 동물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어떤 동물을 대상으로 선정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연구의 초기단계에는 정서장애 아동을 포함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동물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통해 동물로봇의 대상을 결정하였다. 또한 어떤 형태의 동물을 가장 선호하는가에 대한 것도 선호도 조사하였다. 로봇의 외형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인 형태, 색상, 표정, 소리 및 움직임 등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한 동물로봇을 디자인하는데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전문인력 양성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Prim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Content to Cultivate Professional Workers of Support Organizations for Sexual Violence Survivors)

  • 송인한;김지은;신수민;이상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349-361
    • /
    • 2016
  •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는 성폭력 피해자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교육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이 시급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1)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 인력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2)종사자 1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교육 내용의 요구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3) 이를 바탕으로 설문을 개발하여 전국의 종사자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 성폭력 분야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양성교육 주제와 방법에 대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종사자 설문조사결과 내담자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와 다학제적 접근의 훈련 및 기본교육의 강화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 델파이 조사에서는 상담기술과 피해자 심리이해 및 정서적 지원에 대한 교육이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집단의 피해자 유형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콘텐츠를 제언하였다.

자가통증조절기를 사용하는 수술 후 환자를 위한 간호 활동 목록의 융합적 개발 (The Convergent Development of Nursing Activity Index for postoperative patient using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 이윤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43-4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통증조절기를 사용하는 수술 후 환자를 위한 간호 활동 목록을 개발하는데 있다. 간호 활동 목록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문헌고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간호 활동 목록을 개발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간호 활동의 중재 내용 타당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5명의 마취과 전문의와 6명의 성인 및 기본 간호학 교수, 1명의 급성통증관리 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수술 후 자가통증조절기를 사용하는 환자를 위한 12개의 항목을 개발하였다. 중재 내용 타당도의 검증에서 모든 항목이 .92에서 1.0으로 타당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수술 후 자가통증조절기를 사용하는 환자의 간호를 위한 간호 실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사회 중년 및 고령여성의 건강문제와 대처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A Study on Experiences of Health Problems and Coping in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in the Community: Focusing on Focus Group Interview Approach)

  • 정여원;강경림;이병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29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explore the health problems and coping experiences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in the community. Methods: A total of fiv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groups of middle-aged and two groups of elderly women.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Health problems were categorized as confusion caused by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handle alone in the middle-aged group and suffering originated by confronting changes in roles and environment in the elderly group. The health problems included stress, suffering, anxiety and social withdrawal as subcategories for the middle-aged women, and the stress, sense of loss, fear, and limited social activities caused by their life events for the elderly women. Meanwhile, the contents of categories about coping were revealed as the beginning of care for the body and mind for healthy life in the middle-aged group and active practice with insight into a healthy lifestyle in the elderly group. While the middle-aged women focused on themselves, attempted changes and started to take care of themselves, the elderly women interacted with the outside world, hardened their mind, made efforts for a dignified death, and managed health by their own methods.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in accepting their health problems and coping. Nursing interventions reflecting these findings can help to manage and promote the health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based on an integrated perspective.

방송 실무교육으로서의 일터학습 사례 연구 (Workplace Learning as a Broadcasting Job Training for the College Students)

  • 오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823-833
    • /
    • 2012
  • 방송 제작현장에서 이뤄지는 일터학습은 예비 방송 인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이지만 대학 커리큘럼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언론 관련 학과 학생들이 경험한 일터학습 사례를 제시하고 일터학습이 지닌 장단점과 효과 및 향후 방송 실무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살피고자 하였다. 1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토론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기존의 대학 실무교육이 제공하지 못하는 구체적인 현실 상황을 일터학습에서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써 학생들은 현장 적응력과 콘텐츠 생산자로서의 인식을 갖추게 되었으나 생존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방송산업계 현실 앞에서 직업 선택에 다소 혼란을 느끼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은 일터에서 시행착오나 실수, 피드백, 선의의 경쟁, 모방을 통해 자발적으로 학습하는 무형식학습을 경험하였으며 일터학습 결과 인터뷰 요령, 촬영 및 편집, 틀짓기, 사회적 대인관계 영역 등에서 암묵지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방송 실무 강의자들이 일터학습에 보다 관심을 갖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국가 R&D 보고서 원문의 활용성과 및 경제적 기여도 분석 (Outcome Measurement and Degree of Economic Contribution for the National R&D Reports)

  • 곽승진;최재황;김정택;박용재;최기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3-128
    • /
    • 2015
  • 주요 선진국은 공공정보 개방과 재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공정보를 원활하게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차원의 R&D 사업과 성과물의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성과활용 실적은 여전히 낮은 편으로, 연구 성과물에 대한 실질적인 활용분석 및 경제적 기여도 분석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R&D 보고서 원문의 활용도와 경제적 기여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문헌조사, 설문조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전문가 자문 등 정량적인 방법과 정성적인 방법을 병행하였다.

사이버 레질리언스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ssessment indicators for Cyber Resilience)

  • 김수진;김정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137-144
    • /
    • 2017
  • 사이버 위협이 고도화 및 지능화됨에 따라 사이버 보안 사고를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안사고 발생을 가정하고 이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복구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최근 사이버 레질리언스는 중요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준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이버 레질리언스와 관련 평가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레질리언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이버 레질리언스를 평가할 수 있는 총 22개의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표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제안된 지표의 중요도와 실현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사이버 레질리언스를 평가함에 있어 의미 있고 유용한 지표를 도출하였다. 이는 향후 사이버 레질리언스 연구의 기반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연구로는 실무적 활용 및 객관화를 위한 정량적 연구를 제안한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유치원 학부모 대상의 유아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Needs Assessment of Nutri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 using Focus Group Interview)

  • 김경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0-29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mand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mong preschooler's parents.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ur times with 29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Most subjects appeared to have interest in nutrition education; 'very interested' (58.6%), 'somewhat interested' (20.7%). Sources of nutrition information were 'internet' (35.1%), 'books' (21.6%), 'newspaper or magazines' (13.5%), 'family or relatives' (13.5%), 'media' (8.1%), 'preschool' (5.4%) and 'hospital or public health center' (2.7%) in order.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health problems related to dietary behavior were atopy and obesity. Major concerns for children's dietary behavior was picky eating habits, and having questions for how to deal with this problem. Most subjects had trouble with obtaining an adequate amount of dietary supplements for their children. Nutrition education for parents about food labeling and information on processed foods was in demand. Preferred methods of nutrition education for children were playing games with stickers, gardening vegetables, and participating in cooking. Attitudes toward computer-assisted education materials, one of the methods of nutrition education, appeared to be ambivalent. Some preschool parents showed negative attitudes towards exposing their children to electronic devices at an early age, whereas others showed positive attitudes. Subjects were interested in meal-planning and ways to balance nutrients for their child. Parents preferred attending professional lectures to receive reading materials or searching websites as an adult nutrition education method.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on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both preschools and the home.

지체장애인의 공공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Library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 표윤희;박은혜;이명희;김정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3-148
    • /
    • 2013
  • 지체장애인의 공공도서관 정보이용 증진, 공공도서관에서 실시하는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연구와 정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 및 부모 20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지체장애인의 공공도서관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에 관한 욕구를 조사하고, 지체장애인이 실제적으로 정보를 이용하고 실효성 있는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핵심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여 도서관 이용을 활성화시키는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개별면담과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제(theme)와 1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1) 도서관에 대한 인식; 독서 및 교육 활동, 문화 프로그램, 도서관에 대한 이해, (2) 도서관 이용의 어려움; 환경적 접근의 어려움, 서비스 및 프로그램 부족, 심리적 어려움, 보조기기 부족, 정보 및 홍보 부족, 지원인력 부족, (3)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 기초서비스 측면, 독서교육 및 문화프로그램 측면, 인식개선 측면, 정책 지원 측면.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을 위한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학령기 어린이와 청소년의 채소·과일 섭취 현황 및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영양(교)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Factors Affecting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of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 Findings from Focus-Group Interviews with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Nutritionists)

  • 김지현;김양숙;김영;강민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67-581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status of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consumption from focus-group interviews with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nutritionists. Most of all the evaluated fruit and vegetable intake levels of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very low. They mentioned the intake of fruit and vegetable was similar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boys tended to have less vegetable intake than girls. There was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 serving frequencies of fruit between schools due to budgets. Fruit was consumed more than vegetables and fruit without seeds or peeled fruit was more preferr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Factors affecting fruit and vegetable intak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analysed by personal, family and school. Personal factors were gender, child development level, the lack of knowledge or perception on vegetables, westernized diet pattern and the preference of spicy foods. Family factors were the perception of parents, family meal environment, and income disparity. The factors related to schools were the principal, class teacher, friends, nutrition teacher, cooking and serving methods, cooking personals, budget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