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uideline of Animal Robot Design for Psychotherapy of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한 동물로봇 디자인의 가이드라인

  • 문금희 (세명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3.05.16
  • Accepted : 2013.07.03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is research is for selection of animal and establishment of guideline which for animal robot design for the purpose of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s psychotherapy. In the case of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because of poor expression about themselves's emotional condition, there are many restriction in the existing cure and educational method. Using research method of animal shape robot which is starting to make attempt since the late 1990s is effective to learning disturbed children. For the development of animal robot for psychotherapy of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first of all which animal is selected is very important. Therefore at the early stage of research preference surveyed to children including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and decide an object of animal robot. And what kind of shape is very preferred is also preference surveyed. Through focusing group interview about shape, color, facial expression, sound, and move which have an influence on outward shape design of robot, present the guideline which is needed to animal robot design for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본 연구는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목적으로 한 동물로봇 디자인을 위해 필요한 대상동물 선정과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연구이다. 정서장애 아동의 경우 자신의 정서 상태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므로 기존의 치료 및 교육 방법에 제약이 많다. 1990년대 후반부터 시도되기 시작한 동물모양 로봇의 활용연구 방법은 학습장애아들에게 효과적이다.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한 동물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어떤 동물을 대상으로 선정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연구의 초기단계에는 정서장애 아동을 포함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동물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통해 동물로봇의 대상을 결정하였다. 또한 어떤 형태의 동물을 가장 선호하는가에 대한 것도 선호도 조사하였다. 로봇의 외형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인 형태, 색상, 표정, 소리 및 움직임 등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정서장애 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한 동물로봇을 디자인하는데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소나, 김은호, "인간의 공감을 위한 감성로봇디자인", 디자인학연구, 제22권, 제5호, pp.27-36, 2009.
  2. 조정수, 권정민, 신동욱, "인지로봇의 자폐범주성 장애 중재 적용가능성 탐색", 자폐성장애연구, 제9권, 제2호, pp.45-60, 2009.
  3. 양승호, "아동 선호도 조사에 근거한 로봇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발표논문, pp.24-25, 2007
  4. 이동규, "로봇디자인을 위한 평가시스템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pp.124-125, 2003.
  5. 이효신, 백상수, 구현진, 강원석, 김영덕, 홍종욱, 안진웅, "로봇과 자폐아동의 상호작용에 관한 실험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5권, 제2호, pp.141-168, 2010.
  6. 정성필, 허성철, "로봇디자인에 대한 선호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조형요소의 특성",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39-142, 2008.
  7. 최정건, 김명석, "로봇디자인에서 의인화 기법의 활용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HCI학회 2008 학술대회, pp.976-980, 2008. 
  8. C. Breazeal, "Emotion and Sociable Humanoid Robots," Int'l J Human-Computer studies, Vol.59, No.1-2, pp.119-155, 2003. https://doi.org/10.1016/S1071-5819(03)00018-1
  9. F. Amirabdollahian, B. Robins, K. Dautenhahn, Z. Ji, "Investigating tactile event recognition in child-robot interaction for use in autism therapy," 33rd IEEE, 2011.
  10. D. Feil-Seifer and M. J. Matari'c, B3IA: "A control architecture for autonomous robot-assisted behavior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17th IEEE, pp.328-333, 2008.
  11. K. Wadal and T. Shibata, Robot Therapy in a Care House-Results of Case Studies-, Mental Commit Robot, pp.581-586,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