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폐격리증, 외엽형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우측 폐엽간에 위치한 비정상 혈관구조를 가진 외엽형 폐격리증 - 1례 보고 -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located in Right Oblique Fissure with Unusual Vascularture - A Case of Report -)

  • 윤찬식;정재일;김재욱;윤영철;이홍섭;이혜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502-505
    • /
    • 2001
  • 폐격리증은 정상 기관지와 교통이 없으며, 기형동맥으로부터 혈류공급을 받는 비정상적인 폐조직이다. 해부학적으로 내엽형 폐격리증과 외엽형 폐격리증으로 구분된다. 외엽형 폐격리증은 대부분 폐하엽과 횡격막사이에 존재하며, 체순환계로부터 동맥혈 공급을 받아 체순환계로 정맥혈 환류가 이루어지고, 대부분의 환자는 유아기에 진단된다. 48세 성인여성에서 우측 상엽과 하엽 사이에 존재하며 폐동맥으로부터 혈류공급을 받아 좌심방으로 직접 유입되는 외엽형 폐격리증이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외엽형 폐격리증을 동반한 선천성 낭종성 신종양 기형 - 1례 보고 -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Associated with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 A case report -)

  • 이재광;권종범;박건;곽문섭;심성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7호
    • /
    • pp.594-596
    • /
    • 2000
  •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과 외엽형 폐격리증은 아주 드문 질환이다. 본원에서는 4세 된 여자환자에서 좌폐화엽의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을 수술하던 중 우연히 외엽형 폐격리증이 동반된 것을 알고 좌폐하엽 절제술과 외엽형 폐격리증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외엽형 폐격리증은 흉부대동맥에서 비정상적으로 직접 1개의 동맥으로 유입되고, 늑간정맥을 통하여 기정맥으로 유출되었다. 환자는 수술 후 건강하게 퇴원하였다.

  • PDF

산전 진찰에서 발견된 흉막액을 동반한 폐격리증 1례 (A Case of Pulmonary Sequestration with Pleural Effusion)

  • 구혜진;박지애;박수은;김영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221-223
    • /
    • 2005
  • 선천성 흉막액을 동반한 외엽형 폐격리증은 매우 드문 선천성 폐기형으로 아직까지 국내에서의 보고는 없다. 저자들은 재태 기간 27주에 시행한 산전 초음파상 좌측 흉막액이 발견되었고, 출생 후 시행한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및 전산화 단층 혈관 촬영술상 선천성 흉막액을 동반한 외엽형 폐격리증으로 진단하였으며, 생후 80일경 수술 후 특별한 문제없이 퇴원하여 현재 외래 추적 관찰 중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폐격리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Case Analysis of Pulmonary Sequestration)

  • 전양빈;신성호;정태열;김혁;함시영;이철범;정원상;김영학;강정호;지행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206-1211
    • /
    • 1998
  • 배경:폐격리증은 흔한 질환이 아니며, 이외 진단을 위하여는 대동맥조영술이나 흉부 CT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저자는 1990년 1월부터 1997년 9월까지 폐격리증을 가진 13명의 환자를 치험하였다. 결과: 남자가 6명이었고, 여자가 7명이었으며, 그들의 평균 연령은 25.8±14.3세였다. 주증상은 기침과 흉통, 무증상순이었다. 내엽형 폐격리증이 9예이고 외엽형 폐격리증이 3예였으며 한환자의 경우 두가지를 다 가지고 있었다. 내엽형이 외엽형보다 많았으며, 좌측과 우측의 호발차이는 없었다. 그들은 주로 대동맥 촬영술로 진단을 하였으며 영양공급 동맥은 주로 하행 대동맥에서 유래되었다. 치료는 내엽형의 경우는 폐엽 절제술을 하였으며, 외엽형의 경우 격리폐 절제술을 하였다. 결론: 폐격리증을 적절히 치료하기 위하여는 비정상적으로 기시되는 동맥을 발견하기 위하여 대동맥조영술 또는 흉부 CT 촬영을 반드시 해야 한다.

  • PDF

기관지 낭종을 동반한 외엽형 폐격리증 치험 1례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with Bronchogenic Cyst -1 Case Report-)

  • 심성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3호
    • /
    • pp.241-243
    • /
    • 1994
  • This is a case report of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with bronchogenic cyst located in aorto-pulmonary window area of left thorax in a 17 months old male patient. In this case, a bronchogenic cyst was present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and bronchogenic cyst was not seen grossly or microscopically. The lesion was simply excised and the postoperatively course was uneventful.

  • PDF

외엽형 폐격리증을 동반한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 -1례 보고-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Associated with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1 case report-)

  • 전상협;김병준;이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223-226
    • /
    • 1996
  • 선천성 낭종양 선종양 기형과 외엽형 폐격리증은 각각드문 질환으로 이 두가지 질환이 퐁반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원에서는 출생 후 호흡시 흥벽 함몰과 빈호흡을 보인 생후 3주된 남아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우폐하엽의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기형을의심하여 개흥술을시행하였다. 수술소견상 우폐하엽의 낭종성 병변 이외에 독립된 늑막에 둘러싸인채 비정상적인 혈류 공급을 받고 있는 종괴를 발견하여 하행 흉부 대동맥으로 부터 공급되는 2개의 동맥 가지와기정맥으로 유입되는 정맥분지를 결찰한 후 우하엽절제술과 더불어 격리폐를 절제하였다. 병리검사로 상기 두질환의 동반례로확진 하였고 환자는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할 수 있었다.

  • PDF

비정상 위치 및 이중혈액공급을 받는 외엽형 폐격리증 -1례 보고-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of Unusual Location and Dual Blood Supply -A Case of Report-)

  • 서성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9호
    • /
    • pp.804-807
    • /
    • 1994
  • Pulmonary sequestration is an unusual congenital malformation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nonfunctioning lung tissue which usually has no communication with the normal bronchial tree and receives its blood supply from an anomalous systemic artery. Extralobar form is a very rare congenital malformation. We have experienced a 54 year old female patient with a mass in the upper lobe complaining of cough and blood tinged sputum. A triangular shaped mass was located in the left upper lobe, medially. The arterial blood supply were from the thoracic aorta and the pulmonary artery but there was no the tracheobronchial communication. The venous drainage was through the pulmonary vein. The mass was confirmed as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associated with a pericardial defect.

  • PDF

폐동맥에서 공급받는 외엽형 폐격리증;1례 보고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Supplied by Pulmonary Artery)

  • 백효채;박재희;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1호
    • /
    • pp.894-898
    • /
    • 1993
  • Pulmonary sequestration is an uncommon congenital pulmonary malformations characterized by presence of nonfunctioning lung tissue which receives its blood supply mostly from the anomalous systemic arteries. We have experienced a 30 year old male patient with a mediastinal mass complaining of intermittent chest pain, and the mass was histologically confirmed as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The anomalous blood supply origined from the right pulmonary artery but there was no communication with the tracheobronchial tree. He underwent operation through midsternotomy incision for the purpose of concurrent resection of enlarged thymus noted on chest CT.

  • PDF

외엽형 폐격리증 1례 보고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A cases Report-)

  • 홍종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793-796
    • /
    • 1988
  • Pulmonary sequestration is an unusual congenital malformation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nonfunctioning lung tissue which usually has no communication with the normal bronchial tree and receives its blood supply from an anomalous systemic artery. We present a case of ex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experienced recently. The patient was 13 month old female with a complaint of fever, coughing and tachypnea. Chest film showed large homogeneous opacity in left lower lung field. At operation, a homogeneous mass was located between the left upper lobe and lower lobe, measuring 4X6X5cm in dimension. The aberrant artery was originated from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1 cm in length and 3 mm in diameter. After division and ligation of the aberrant artery, sequestrectomy and lingular segmentectomy was done due to abscess formation.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smooth. She was discharged on postoperative thirteenth day.

  • PDF

폐격리증 15예의 임상양상에 관한 고찰 (Clinical Manifestations of 15 Cases of Pulmonary Sequestration)

  • 박광주;김은숙;김형중;장준;안철민;김성규;이원영;김상진;이두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401-408
    • /
    • 1997
  • 연구배경 : 폐격리증은 드문 선천성 폐질환으로 진단이 지연되거나 오진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술전에 진단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술시 이상동맥으로부터의 출혈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있다. 저자 등은 수술적 치험을 한 폐격리증의 진단과 치료 등에 관한 전반적인 임상적 고찰을 시행하고자 한다. 방 법 : 1991년부터 1996년 5월까지 수술로써 확인된 15예의 폐격리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소견, 수술전 진단, 방사선 및 수술소견, 예후 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평균연령은 22.5세(범위 5~57세)였고, 남녀비는 9 : 6이었다. 증상은 주로 재발성의 발열, 기침, 흉통, 객담 등의 감염증세를 나타내었으며, 내엽형 3예는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었다. 단순 흉부 방사선 소견상 10예에서 다낭성 음영으로 나타났고, 5예에서 종괴양 음영이 관찰되었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은 12예에서 시행되었는데, 8예에서 다낭성 음영이, 4예에서 종괴양 음영이 관찰되었다. 흉부 자기공명영상은 3예에서 시행되었는데, 2예에서 하행대동맥에서 기시하는 이상동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동맥 조영술은 4예에서 시행되었고, 이상동맥은 2예에서는 하행 흉부대동맥, 1예는 복부대동맥, 1예는 늑간동맥에서 기시하였고, 모두 폐정맥으로 환류 되었다. 수술전 진단에 있어서는 폐격리증으로 진단한 경우는 내엽형 6예였고, 폐종양이 3예, 폐종양이 2예, 기관지 확장증이 2예 그리고 종격동 종양이 2예였다. 수술소견상으로는 내엽형이 12예중 8예는 좌하엽, 2예는 우하엽, 1예는 좌상엽, 1예는 우중엽에 위치하였고, 외엽형 3예중 2예는 좌우 횡격막 상부, 1예는 심낭내에 위치하였다. 수술시 이상동맥은 6예는 하행 흉부대동맥, 1예는 복부 대동맥, 2예는 내흉동맥, 1예는 늑간동맥, 1예는 심낭횡격막동맥에서 기시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4예에서는 정확한 기시부를 확인하지 못 하였다. 수술사망 및 이환률은 없었고, 추적관찰상 모두 특별한 문제없이 지내고 있다. 결 론 : 폐격리증 환자의 임상 양상은 다른 보고들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고, 수술전 진단률은 비교적 낮았으며, 특히 외엽형의 경우에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 예에서 합병증 없이 양호한 경과를 보였으나, 향후 더 적극적인 수술전 진단적 접근을 하는 것이 수술시 출혈 등의 합병증 방지 및 적절한 수술방법의 적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