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소득

Search Result 60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alysis of Inequality of Public Transfer Income by Income Level (소득계층별 공적이전소득의 불평등 변화분석)

  • Lee, Yong-jae;Kim, Yong-m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2
    • /
    • pp.77-86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concentration index calculation method from 1996 to 2016 by using the household trend survey data to confirm the difference of income transfer income and inequality in public transfer incom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transfer income concentration index in 1996 was concentrated on the high income group with +0.2774, but since 2009, the concentration index has been negative (-), which has concentrated on the low income group. However, the effect of redistribution of income was small. Second, the average public transfer income of low - income household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number of high income earners decreased. It is gradually improving that public transfer income did not play a role in the improvement of income inequality. Third, public transfer income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in all income classes, and the rate of increase is low in the low income class and slow in the high income class, so the public transfer income of the low income class is higher than that of the high income class. In sum, the inequality of public transfer income by income class in Korea is gradually improving, but it is not considered to be a level that can improve the inequality between income groups.

Relations between Older People's Transfer incomes and Life Satisfaction (노인의 이전소득과 삶의 만족도 관계)

  • Lee, Hyoung 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38-241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제11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이전소득(공적이전, 사적이전 소득)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일반가구 노인의 경우 공적이전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사적이전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가구 노인의 경우 공적이전 소득이 1,019.2만원(월평균 84.9만원)으로 공적이전 소득이 소득안정화 효과로 나타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일반가구 노인의 공적이전 소득의 절반 수준인 508.5만원(월평균 42.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비록 "마음이 편하지 않는" 소득원천인 사적이전 소득이 불안정한 소득안정화 부족분을 채워주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PDF

한국과 미국의 집권정당 정책과 계층별 소득분포 연구 - 요한슨 공적분 검정 -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04a
    • /
    • pp.301-314
    • /
    • 2008
  •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집권정당 정책과 계층별 소득분포 실증분석 - Granger Causality 분석과 충격반응분석 -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04a
    • /
    • pp.315-331
    • /
    • 2008
  •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한국과 미국의 집권정당 정책과 층별 소득분포에 대한 소고(小考)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04a
    • /
    • pp.477-487
    • /
    • 2008
  •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An actuarial structure of income replacement ratio in pensions and individual annuity (국민·퇴직·개인연금의 소득대체율 산출을 위한 연금수리모형)

  • Han, Jeonglim;Lee, Hangsu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4 no.6
    • /
    • pp.1385-1400
    • /
    • 2013
  • This paper discusses income replacement ratios of national pension, retirement pension and individual annuities in Korea. These ratios are useful indicators for the assessment of retirement income security of workers. This paper projects income replacement ratios, using the pension entry rate, decrement rates, and life tables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esult of the actuarial projection is that the income replacement ratio of national pension is approximately 21.0 to 22.7%, that the income replacement ratio of retirement pension is about 5.8 to 9.7%, and that the income replacement ratio of an individual annuity is about 13.5 to 21.0%, respectively. The income replacement ratio by income varies due to the effects of income redistribution in national pension and retirement pension, but the income replacement ratio of an individual annuity is constant, regardless of income.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

  • 윤영로
    • 전기의세계
    • /
    • v.53 no.9
    • /
    • pp.43-52
    • /
    • 2004
  • 최근 한국사회는 국민소득향상, 생활수준의 개선, 의학기술의 발달 등으로 평균수명이 크게 연장 되어 고령화 사회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평균수명이 짧았던 시대에는 고령화 문제가 크게 중요시되지 않았으나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후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보호문제 등이 대두되고 있다. 노인들의 기본욕구는 주로 소득 보건 주택 여가 등에 관한 것으로 노후에도 자신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찾아 경제적 안정을 누리며 소득을 유지하고 의료보장으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으며, 가족관계가 안정이 되고 자기발전을 기하며, 사회참여와 역할을 지속하며, 휴식과 오락을 즐기고 문화를 창출하며 삶의 보람을 찾을 수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이다.(중략)

  • PDF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s' Monthly Average Income : A Panel Data Model Approach (패널 데이터모형을 적용한 가구당 월평균 가계소득 결정요인 추정에 관한 연구)

  • Yi, Hyun-Joo;Cheul, Hee-Che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6
    • /
    • pp.2038-2045
    • /
    • 2010
  • Households' monthly average income is composed of various factors. This study paper studies focuses on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a households' monthly average income. The region for analysis consist of three groups, that is, the whole country, a metropolitan city(such as Busan, Daegu, Incheon, Gwangiu, Daejeon, Ulsan.) and Seoul. Analyzing period be formed over a 57 time points(2005. 01~2009. 09). In this paper the dependent variable setting up the households' monthly average income, explanatory (independent) variables are composed of the consumer price index, employment to population ratio, Index of housing sale price, the preceding composite index, loans of housing mortgage, spending rate for care medical expense and the composite stock price index. In looking at th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monthly average income, evidence was produced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site index and housing loans. The study also produced evidence supporting the vie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ratios, the house sale pricing index and spending rates for care or medical needs. The study found that the consumer price index and composite stock price index were not significant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related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among Beauty Salon Workers (미용종사자의 직업관련 변수와 직업전문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Yoo, Eun-Ju;Juong, Suk-Hui;Shim, Sun-Ny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7
    • /
    • pp.435-444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by job-related variable and analyzed the effects of job-related variables and job professionalism on job satisfaction among a total of 144 beauty salon workers in Busan and Ulsa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was found by average monthly income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Second, in terms of correlations with variable, job professionalism revealed static correlation with average monthly income, employment period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while job satisfaction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average monthly income,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job professionalism. In employment perio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became higher as average and job professionalism increased. In particular, job professionalism was the highest in terms of exploratory power. So a plan for allowing beauticians to improve confidence i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was presented.

Income Level Necessary for Old-age Living by Income Status (노령계층의 소득계층별 필요소득수준 연구)

  • 석재은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6 no.1
    • /
    • pp.79-113
    • /
    • 2003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an income level necessart for the old-age by income Status. Firstly, it is verified whethe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ld-age and working age or not. Secondly, if their difference is found, it will be identified that it is determined by certain factors. Thirdly, it is brought out needful income level for the old-age living through analysing old-age consumption expenditure level over working age. The result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ld-age and working age. Secondly, the major factors which generated difference between old-age and working age consumption expenditure are income, household size, and age. Thirdly, the income level necessary for oldage living is on average 61 %. By income status, it is 90-100% for low income status, 60-70% for middle income status, 50-60% for high income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