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s' Monthly Average Income : A Panel Data Model Approach

패널 데이터모형을 적용한 가구당 월평균 가계소득 결정요인 추정에 관한 연구

  • Yi, Hyun-Joo (Deptment of Social Welfare, Soongsil University) ;
  • Cheul, Hee-Cheul (Deptment of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ing, Namseoul University)
  • 이현주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희철 (남서울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Received : 2010.03.31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Households' monthly average income is composed of various factors. This study paper studies focuses on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a households' monthly average income. The region for analysis consist of three groups, that is, the whole country, a metropolitan city(such as Busan, Daegu, Incheon, Gwangiu, Daejeon, Ulsan.) and Seoul. Analyzing period be formed over a 57 time points(2005. 01~2009. 09). In this paper the dependent variable setting up the households' monthly average income, explanatory (independent) variables are composed of the consumer price index, employment to population ratio, Index of housing sale price, the preceding composite index, loans of housing mortgage, spending rate for care medical expense and the composite stock price index. In looking at th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monthly average income, evidence was produced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site index and housing loans. The study also produced evidence supporting the vie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ratios, the house sale pricing index and spending rates for care or medical needs. The study found that the consumer price index and composite stock price index were not significant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가구당 월평균 가계소득은 그룹(지역)별, 시간별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가게소득 결정요인이 이루어지고 있어 복잡성을 띠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성을 띠고 있는 월평균 가계소득에 관련된 제 변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패널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가계소득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대하여 조사, 분석, 검증한다. 본 연구는 3그룹(전국, 6개 광역시, 서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기간은 2005년 1월부터 2009년 9월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월평균 가계 소득액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물가의 대용 변수로서 소비자물가지수, 주택매매가격지수, 경기변수로서 선행종합지수, 금리 및 증권변수로서 주택담보대출 과 종합주가지수 사회현상 변수로서 고용률, 보건 의료비 지출률을 설명(독립)변수로 투입하였다. 월평균 가계소득 요인을 추정한 결과 선행(경기)종합지수와 주택담보 대출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고 고용률, 주택매매가격지수와 보건의료비 지출률은 음(-)의 영향을 나타내는 유의적인 변수이지만 소비자물가지수와 종합주가지수는 음(-)의 영향을 나타내는 비유의적인 변수로서 월평균가계소득에는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 /407092.html
  2. 김태구, 서용건 "패널 데이터 모형을 적용한 호텔 외국인 객실 수요 결정요인 추정", 관광학 연구, 31(59): 465-485, 2007.
  3. 배미경 "자영 소규모 가계의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른 자산보유 실태분석 ", 한국 생활 과학지, 11(1):31-43, 2002.
  4. 채구묵 "소득 불평등 실태, 원인 분석 및 과제",한국사회복지학, 59(1):199-221, 2007.
  5. 남상섭 "소한국가계자산의 분배와 불평등 요인 분석", 경제연구, 27(2):59-86, 2009.
  6. 신용상, "가계부채증가와 금리상승이 소득 계층별 소 비활동에 미치는 영향", 주간 금융 포커스, 17권35호, 한국금융연구원, 2008.9.6-9.12.
  7. 조성원, "소득격차의 확대가 가계소비에 미치는 영향", 응용경제, 9(3):221-240, 2008.
  8. 김희철, 박형근 "패널 데이터모형을 적용한 국내 일반은행 연체율 결정요인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 산학 기술학회 논문지, 11(1):272-277, 2010.
  9. 성영애, 최현자 "유형별 부채의 보유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2) 65-77, 2000.
  10. 지은정, "의료비 지출이 종사상 지위 및 소득 변화에 미치는 요인 연구", 사회복지학, 56(3):.5-35, 2004.
  11. 권남훈 "기업 R&D 투자에 대한 정부 직접 보조금의 효과", 국제경제연구, 10(2):157-18, 2004.
  12. 최충익 "패널모형에 의한 도시지역 수해결정 요인 분석", 국토계획, 39(7):49-67, 2004.
  13. 심종원, 정의철, 정현정.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15집(2호): 81-96, 2009.
  14. http://www.kosis.co.kr(통계청)
  15. http://www.kosis.kr/search/totalSearch2.jsp
  16.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063
  17. Hausman, J. & Taylor, W., "Panel data and unobservable individual effects". Econometrica 49(6): Econometrica, 49(6): 1377-1398,1981. https://doi.org/10.2307/1911406
  18. Green. W. H. "LIMDEP : A user's manual", Plainview. New York : Econometric Software. Inc, 1998.
  19. Ashenfelter, O., Zimmerman, D., & Levine, P. B, "Statistics and econometrics: Methods and applications". New York : John Wiley & Sons, 2003.
  20. Green. W. H. "Econometric analysis", New Jersey : Prentice-Hall, 2000.
  21. Hsiao. C. "Analysis of Panel Data".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