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과 소비자행동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8초

패션점포 내 배경음악과 광고사진이 소비자의 정서 및 접근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tmospheric Music and Advertising Photo on Consumers' Emotional State and Approach Behavior in Fashion Store)

  • 기현명;이유리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39-60
    • /
    • 2006
  • 본 연구는 점포 내 배경음악과 광고사진이 소비자의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로서 비디오 시뮬레이션을 통한 실험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매장 내 배경음악의 템포 효과와 광고사진 분위기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중 저가 영 캐주얼 의류 브랜드 매장 한 곳을 선택하여 비디오 촬영한 후, 2 (빠른 템포 vs. 느린 템포) ${\times}$2 (섹시한 사진 분위기 밝고 경쾌한 사진 분위기) 요인 설계를 이용하여 4개 의 자극물을 조작하였다. 또한 음악 및 사진 자극이 제공되지 않은 자극물을 포함, 통제 집단을 구성하였다. 총 289개의 설문의 수집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과 각 4개의 실험 집단과의 비교 분석 결과, 점포 내 배경음악과 광고사진이 없는 통제집단은 정서적, 행동적 반응 모두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배경음악과 광고사진의 유무는 소비자의 정서적, 행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둘째, 점포 내 배경음악의 템포 및 광고사진 분위기와 소비자의 점포 내 긍정적 정서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배경음악의 템포에 의한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광고사진의 분위기 차이에 따른 점포 내 소비자의 긍정적인 정서상태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셋째, 소비자의 점포내 긍정적인 정서상태는 소비자의 긍정적 접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 자체의 품질이나 다양성, 상품의 가격과 같은 직접적인 상품 요인 외에 배경음악과 광고사진 같은 점포 내의 분위기 요소들이 소비자들에게 즉각적이고 감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켜 상품 자체 요인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소비자들의 점포 내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임을 발견하였다.

  • PDF

패션제품 중독구매성향이 구매 후 감정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dictive Shopping Orientation on Post-purchase Emotions and Behaviors)

  • 이진화;이정오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195-227
    • /
    • 2011
  • 본 연구는 '과연 소비자의 중독구매성향은 일반적인 소비에서 예상되는 구매 이후 감정 및 행동패턴에 또다른 영향으로 작용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패션제품 소비자의 쇼핑 중독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살펴보고, 둘째, 중독구매성향이 패션제품 구매 후 감정(긍정적 감정/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셋째, 구매후 감정이 구매 후 행동(재구매/반품 및 교환/부정적 구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넷째, 중독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중독구매 성향이 구매 후 감정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통채널(온라인/오프라인) 별로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심리적 요인 중 자아 존중감이 낮고, 보상구매성향과 충동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중독구매성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독구매성향은 구매후의 양면적(긍정적, 부정적) 감정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오프라인의 경우 긍정적 감정을 수반하는 것이 밝혀졌다. 구매 후 감정은 일반적인 소비상황과 같이 구매 후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부정적 감정의 영향이 긍정적 감정의 영향보다 크고, 또한 긍정적, 부정적 행동에 모두 명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중독구매성향에 초점을 맞추고, 중독구매성향이 구매 후 감정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연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

패션 복제품(複製品) 구매실태(購買實態)및 구매의도(購買意圖)에 관(關)한 연구(硏究): 한(韓).미(美) 소비자(消費者) 비교(比較) (Purchasing Behavior and Purchasing Intention Toward Fashion Counterfeits : A Cross-Cultural Study of Koreans and U.S.)

  • 이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4호
    • /
    • pp.60-6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shion counterfeit purchasing behavior and purchasing intention among Koreans and Americans. 486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2-test, and t-test were used. As the results, generally Korean consumers had purchased more fashion counterfeits than American consumer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5 fashoin brand counterfeits. That is, handbag of PRADA or LOUIS VUITTON, shoes of Ferragamo, or Gucci, clothing of DKNY, PRADA, or CK, sunglass of Gucci or Channel, and accessories of Agatha, Cartier, or Tiffany were purchased by Korean consumers much more than by U.S consumers. Also, Koreans had more higher purchasing intentions toward fashion counterfeits than Americans except clothing. Based on these results, fashion marketing would be suggested.

패션 주얼리 소비자(消費者)들의 구매행동(購買行動)에 미치는 영향(影響) 요인(影響) - 물질주의(物質主義), 상표충성도(商標忠誠倒), 준거집단(準據集團)을 중심(中心)으로 - (The Effecting Variables on Fashion Jewelry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 Materialism, Brand Royalty & Reference Group -)

  • 이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9권1호
    • /
    • pp.152-15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ariables which influenced on fashion jewelry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565 respondents living in Seoul and its suburb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OVA, and regression were used for this study. As the result, the frequencies of purchasing toward the fashion jewelry products were associated with materialism, brand royalty, reference group influence. Also, results revealed that materialism and brand royalty accounted for 41% of the explained variance in the frequency of purchasing products on fashion jewelry. Based on these results, fashion jewelry marketing strategies would be suggested.

패션상권에 따른 소비자의 의복구매행동 연구 (A Study on Consumer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Fashion Trading Area)

  • 정형도;유태순
    • 복식
    • /
    • 제50권8호
    • /
    • pp.165-175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fashion trading area's conditions of Busan area to establish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conditions of location in choosing the new retailers and to propose the most efficient, optimum fashion trading area(FTA) under the management mind of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21C management paradigm.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for this study were 1083 women visited FTA in Busan.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MANOVA, ANOVA, frequency and trend analysis, and the Cronabach $\alpha$ and Turkey HSD were also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spatial behavior according to fashion trading area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rling position, movement means, movement time, visit purpose and visit frequency. 2 The buying behavior of fashion items according to fashion trading area shows difference in fashion trading area shows difference in fashion trading area, store and buying behavior.

  • PDF

현대적 문화 의류상품 속성에 따른 소비자 반응과 소비자 행동 (Effects of Contemporary Cultural Apparel Attributes on Consumer Response towards Consumer Behavior)

  • 채희주;이소연;고은주
    • 복식
    • /
    • 제66권5호
    • /
    • pp.1-15
    • /
    • 2016
  • Within globalization of fashion business Korean culture is affecting fashion business. Although Korean culture is creating new content and economic value presently, the research on Korean fashion culture has been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has identified attributes influencing cognitive, affective response as well as consumer preference and purchase towards contemporary Korean culture clothing. This study aims to do the following: (1) examine the effect of the identified contemporary cultural apparel product attributes on cognitive, affective response (2) Analyze the effect of cognitive, affective response o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3)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result defines the importance of studying contemporary cultural apparel product attributes for better fashion marketing business in the fashion and cultural field to attract consumers.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주얼리의 선호도 (Preferences for Fashion Jewelry Depending on Consumption Value)

  • 김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67-576
    • /
    • 2012
  • 본 연구는 패션주얼리의 디자인, 색상, 재료에 대하여 소비가치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여성소비자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비가치 조사도구는 VALS (Values and Life Style) 기법에 의하여 원리원칙 지향적 가치, 지위 지향적 가치, 행동 지향적 가치 등 세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소비가치에 따라 패션주얼리 디자인 특성에 따른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에 따라 패션주얼리 보석 세팅 개수에 따라서는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석재료에 따라서는 선호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션주얼리 색상특성에 있어서는 소비가치에 따라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주얼리 선호도에 차이가 전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은 사용가치 보다는 소비자의 소비가치에 의해 제품의 선호도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비가치에 따른 타겟화 과정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전략 도출이 필요하다.

키즈 패션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자녀의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탐색하며- (The Effect of Kids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Brand Loyalty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Child's Gender-)

  • 양수진;이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55-465
    • /
    • 2021
  • 저출산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키즈 패션 시장에서는 시장의 질이 향상되고 있어 브랜드 마케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2040 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을 통해 Aaker(1997)의 브랜드 개성 척도를 기반으로 키즈 패션 브랜드 개성 요인들을 추출하고,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하는 개성 요인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키즈 패션 브랜드 개성 요인으로 진실함, 유능함, 흥미성이 도출되었고, 각 요인들이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진실함과 흥미성의 영향력은 브랜드 동일시에 의해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개되었다. 또한, 자녀의 성별에 따라 매개된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녀의 성별이 여아로 조사 대상자인 엄마와 성별이 같은 경우에, 유능함이 브랜드 동일시에 미치는 효과가 강화되었고, 자녀가 남아인 경우는 흥미성과 진실성이 강화되었다. 자녀의 성별에 따라서 어머니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브랜드 개성 요인이 다르다는 시사점을 가진 본 연구의 결과는 키즈 패션 브랜드의 전략 수립 및 상품 기획 활동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중 패션제품 소비자 불평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I) -불평행동 특성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ross-cultural Complaint Intention of South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regarding Fashion Products (I) -Focused on the Traits of Complaining Behavior-)

  • 이옥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1호
    • /
    • pp.112-123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if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mong the determinants of consumer complaint intention, type of complaint intention, and traits of complaining behavior. Sampl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female college students in Jeollabukdo and Jeollanamdo, Korea and Yunnam, China. Questionnaire data from 780 college students(Korea: 441, China: 339) were analyzed through a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e, mea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laint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was divided into 3 factors, voice, private, and third party. Second, the findings of regression analysis for the total sample showed that the determinants of the factor 'voice' were the country, salespeople, product involvement, complaint cost, psychological tension, and social benefit. Whereas, the determinants of the factor 'private' were the producer, product involvement, psychological tension, and social benefit. Also, the determinants of the factor 'third party' were the country, oneself, salespeople, complaint cost, personal norms, and social benefit.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ndicated in the determinants of the 'voice', 'private' and 'third party' factors of complaint inten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Fourth, the complaint intention factors of 'voice' and 'third party' of Chinese consumers were higher than Korean consumers. Fifth, the attributions to dissatisfaction of Korean consumers were higher than Chinese consumers, and the product involvement, possibility for success, and consumer complaint attitudes of Chinese consumers were revealed to be higher than Korean consumers.

한·중 패션제품 소비자 불평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II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성격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Cross-cultural Complaining Behavior of South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bout Fashion Products (II) -Focused on Lifestyle and Personality-)

  • 이옥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1호
    • /
    • pp.56-70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if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s of lifestyle and personality on consumer complaining behavior between Korea and China. Sampl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male college students of Korea(Jeollabuk-do and Jeollanam-do) and China(Yunnan). The questionnaire data from 780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es: a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mea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complaining behavior types of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4 factors: third party, breakaway behavior, compensation claim, and negative word of mouth.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between the dissatisfaction and the conditions of complaining behavior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ich were related to the effects of lifestyle and personality on types of consumer complaining behavior between Korea and China. Fourth, the complaining behavior factors of 'third party' and 'compensation claims' of Chinese consum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consumers; however, the 'negative WOM' of Korean consum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Chinese consumers. Fifth, the lifestyle factors of 'fashion orientation, 'rational orientation' and 'activity orientation' of Chinese consum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consumers. The 'achievement orientation' of Korean consumers wa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consumers. And the personality factors of 'sense of responsibility' of Chinese consumers were higher than Korean consumers. Finally, 'openness' of Korean consumers were higher than Chinese consu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