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티아민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6초

비타민 (I)

  • 최진호
    • 월간양계
    • /
    • 제24권1호통권267호
    • /
    • pp.124-127
    • /
    • 1992
  • 비타민(vitamin)이라는 말은 비타민을 처음 발견한 Casimir Funk에 의해서 명명되었는데 생명체에 없어서는 안될 긴요한(vital) 물질이면서 아미노기(-$NH{_2}$)를 함유하고 있는 아민(amine)이라는 뜻으로 vital amine을 줄여서 vitamine이라고 하였다. 그 뒤에 끝의 e가 없어져서 오늘날에는 vitamin이라고 쓰고 있다. Funk가 처음 발견한 비타민은 오늘날 비타민 $B{_1}$이라고도 불리는 티아민(thiamin)이었으며 모든 비타민을 일시에 발견한 것은 아니다. 티아민이 처음 발견된 후에 수십년에 걸쳐서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여러 가지의 다른 비타민이 발견되어서 오늘날에는 14가지 종류의 비타민이 알려지고 있다. 이중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던 티아민이 아민이었기 때문에 비타민이라는 말이 명명되었는데 그 뒤에 다른 비타민들의 화학구조가 밝혀짐에 따라 모든 비타민이 다 아민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비타민이라는 용어는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 PDF

Thiamin Requirements for Vegetative Growth and Fruit Body Formation of Lentinula edodes

  • Shin, Gab-Gyun;Meguro, Sadatoshi;Kawachi, Shinsak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48-54
    • /
    • 2000
  • 표고버섯의 균사성장과 자실체 형성에 있어서 티아민의 효과를 펩톤 글루코스 기본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티아민은 표고버섯의 자실체 형성을 위해서는 필수 인자이며 최소 요구량은 10 ${\mu}g$/L 정도이다. 영양 생장기에는 티아민 농도 1.5 ${\mu}g$~1.5 mg/L의 범위 내에서는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티아민을 첨가하지 않은 펩톤 글루코스 한천배지에 3회 계대 배양을 실시해도 티아민에 의한 균사성장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티아민은 표고버섯의 균사성장에는 극히 소량이 요구되지만 거의 대부분의 티아민은 자실체 형성에 사용된다는 것을 알았다.

  • PDF

표고버섯 자실체 형성에 미치는 티아민의 영향 (The Effects of Thiamin on the Fruiting of Lentinula edodes)

  • 신갑균;이상원;김사익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00-505
    • /
    • 1999
  • 효모추출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표고버섯 자실체 형성 촉진 물질을 검토한 결과, 그 자실체 형성 촉진 물질은 티아민이었으며, 티아민은 유리의 형태로만 존재하고, 티아민 일인산, 이인산 및 삼인산 에스테르는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효모추출물 1g중에 함유된 티아민의 량은 436$\mu\textrm{g}$이고, 그 전체량의 약 76%에 상당하는 332$\mu\textrm{g}$의 티아민이 Fraction II에, 약 20%에 해당하는 87$\mu\textrm{g}$이 Fraction I 에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티아민은 표고버섯의 영양생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생식생장에 관여하여 자실체의 형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밝혔다.

  • PDF

합성페놀성 산화방지제의 티아민 분해능 (Antithiamin Activities of Synthetic Phenolic Antioxidants)

  • 한명규;김준환;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1-414
    • /
    • 1990
  • 합성 페놀성 산화방지제인 BHA, BHT, PG 및 TBHQ의 티아민 분해능에 대한 pH 및 온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모든 산화방지제는 pH4의 $38^{\circ}C$에서는 대조군과 같이 티아민 분해능이 거의 없었으나, 같은 pH의 $60^{\circ}C$에서는 $38^{\circ}C$때 보다 그 분해능이 더 컸다. 한편, pH7의 $38^{\circ}C$에서는 같은 온도의 pH4 때 보다 티아민 분해능이 더 빨랐고, 또 pH7의 $60^{\circ}C$에서는 같은 pH의 $38^{\circ}C$에서 보다 그 분해능이 더 컸다. 합성 산화방지제 중 BHA와 BHT의 티아민 분해능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거의 없거나 가장 낮았고, PG는 그 분해능이 비교적 컸으며, TBHQ는 그 분해능이 가장 컸다.

  • PDF

임신 중 수은을 섭취한 CD-1 마우스 태아의 성장발육과 기형발생에 미친 티아민의 효능 평가 (The effect of thiamin on fetal growth and development in CD-1 mice exposed with mercury for the gestation period)

  • 김진석;최석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9-75
    • /
    • 1994
  • 수은에 의한 기형발생은 이미 밝혀졌으나 이에 대한 치료가능 약제들의 효과에 대하여는 아직 밝혀진바 없다. 임신한 CD-1마우스에 20ppm의 수은(methylmercuic chloride)을 음수를 통해 임신 6일째 부터 15일 사이에 투여하고 이와 동시에 투여계획에 따라 기존 치료제 BAL과 티아민(thiamin)을 피하로 투여한 후 임신 18일째에 제왕절개술을 실시하였다. 티아민(200mg/체중 kg)과 BAL(5.0mg/체중 kg) 그리고 티아민과 BAL의 병용치료군의 태아는 체중과 두부-둔부 길이 그리고 태반의 무게가 수은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무겁거나 길어 대조군에서 보인 수치에 가까왔다. 죽은 태아/재흡수율과 기형인 태아 발생율은 티아민과 BAL 치료군에서 감소되었으며 투여용량이 높을수록 발생율이 낮았다. 또한 높은 농도의 티아민과 BAL은 어미 마우스의 사료 및 음수섭취량을 증가시켰으며 간의 상대적 무게도 증가 시켰다. 이 연구 결과는 티아민을 단독 또는 키레이트제재와 병용투여할 경우 수은에 의한 기형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일부 채소류의 지난 40년간 영양성분 변화추이 - 농촌진흥청 식품성분표를 중심으로 - (Changes in nutrients of some vegetables over the past 40 years -Focusing on the food ingredients table of the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황성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93-101
    • /
    • 2022
  • 지난 40년동안 한국산 채소의 영양성분에 변화가 있었는지, 있다면 그 변화의 특수성을 파악하고자 농촌진흥청의 영양성분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1981년부터 2021년까지 40년간 채소의 주요 영양소 변화를 조사했다. 과채류에서 조사기간 동안 감소 경향을 보인 영양소는 단백질, 지질, 칼슘, 철분, 티아민, 리보플라빈, 아스코르브산 이었다. 뿌리채소에서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회분, 칼슘,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아스코르브산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잎채소에서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인, 철, 니아신, 아스코르브산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잎과 줄기 채소에서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당류, 회분, 인, 철,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아스코르브산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식물성 섭취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아스코르브산 등의 비타민 감소가 지난 40년간 채소류에서 발생하였음이 확인됐다.

Sphingomonas 속 세균의 명조건 생장에서 티아민의 필수적인 역할 (Novel insight into the role of thiamine for the growth of a lichen-associated Arctic bacterium, Sphingomonas sp., in the light)

  • 팜눙;팜코이;이창우;장세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7-24
    • /
    • 2019
  • 극지에 서식하는 세균은 강한 빛과 자외선을 받는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북극에 서식하는 지의류 Cetraria sp.에서 분리한 호냉성 세균 Sphingomonas sp. PAMC 26621의 생장에 빛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세균은 암조건에서 명조건에서 보다 생장이 느렸다. 놀랍게도, 이 세균은 M9 최소배지에 티아민 혹은 아스코브르산을 첨가하면 명조건에서 생장이 증가하였지만, N-acetylcysteine을 첨가한 배지에서는 생장의 변화가 없었다. 첨가한 티아민과 아스코브르산은 포도당-6 인산 탈수소효소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의류와의 공생에서 제공된 티아민이 Sphingomonas sp. PAMC26621의 빛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항산화제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강한 빛과 자외선이 만연한 북극에 서식하는 세균에 대한 생리적, 생화학적 관점에서 고찰할 점을 제시한다.

학교급식에 Cook/Chill System 적용을 위한 품질보증연구(II) - 돼지불고기 - (A Quality Assuranc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Cook/Chill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 (II) - Pork Bulgogi (Broiled Sliced Pork with Sauces) -)

  • 곽동경;문혜경;박혜원;홍완수;류경;장혜자;김성희;최은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9-331
    • /
    • 1998
  • 본 연구는 학교급식에서 Cook/chill system으로 생산 가능한 음식으로 돼지 불고기를 선정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급식생산체계를 반복 실시함으로서 식품 위해 분석 중요관리점(HACCP)을 규명하고, 저장기간중의 음식품질 평가를 통해 합리적인 저장기한을 설정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돼지불고기는 냉동상태로 운반되지 않아 온도상승이 일어난 검수 단계를 제외하면 각 생산 단계별 기준이 준수된 양호한 상태 하에서 생산된 것으로 나타난다. 생산단계별 미생물 분석결과, 원재료($4.26{\pm}0.11\;Log\;CFU/g$)에서 중온균수가 조리하지 않은 식품 기준 이내이나 다소 높게 나타났고, 양념장($5.97{\pm}0.04\;Log\;CFU/g$)에서는 조리하지 않은 식품 기준에 근접한 수준이었으며, 양념으로 재우는 과정($5.56{\pm}0.21\;Log\;CFU/g$)도 위험 수준이었다. 가열 조리 후 최종 음식온도가 $8.25{\pm}3.54^{\circ}C$에 도달하였으나 중온균수($5.17{\pm}0.04\;Log\;CFU/g$)가 급식 단계 음식기준을 초과한 위험한 수준이었고, 기타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급속 냉각과 저장 1일, 3일, 5일 동안도 중온균수가 급식단계 음식 기준에 근접한 위험한 상태였고 기타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재가열 처리에 의해 저장 1일($4.62{\pm}0.22\;Log\;CFU/g$), 3일($4.55{\pm}0.20\;Log\;CFU/g$), 5일($4.25{\pm}0.16\;Log\;CFU/g$) 모두 중온균수는 감소하여 급식단계 음식기준에 충족한 상태가 되었다. 배분 3조건에서도 급식단계 음식 기준 이내에 들었다. 저장 5일간 이화학 분석 결과 pH, 산가, 휘발성 염기 질소 모두 저장 5일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관능평가에서는 모든 항목들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티아민 정량 분속 결과 ,가열 전의 티아민 함량을 100%으로 했을 때, 가열 후에는 78.6%로 손실이 일어났으며, 냉각과 저장 1일, 3일은 티아민 손실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장 5일에는 티아민이 현저히 저하되어 62.5% 보유에 그쳤다.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적,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을 분석한 결과와 티아민 함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돼지불고기의 저장기한을 3일로 제안하며, 생산 단계별 온도-소요시간 측정 및 미생물 분석을 통해 규명된 중요관리점은 돼지고기와 양념장재료인 파, 마늘, 생강의 구입 및 검수, 가열조리, 냉각, 저장, 재가열과 배식단계였다.

  • PDF

조리 방법 및 저장 조건이 ′너비아니′의 티아민 보유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Reheating Methods and Storage Conditions on the Thiamin Content in ′Nuhbiani′)

  • 김희섭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34-439
    • /
    • 1997
  • 각 가정에서 많이 제조되는 편의 음식 형태의 음식이 제공될 때의 영양가를 파악하기 위해서 육류를 모델로 시간적인 여유가 있을 때 미리 조리한 후, 저장하고, 먹기 직전에 재가열하여 사용하는 가정 조리법 모델을 개발하였다. 즉, 너비아니의 조리과정, 저장 방법, 저장 기간을 각각 달리한 후 재가열 했을 때의 thiamin 함량과 중량 손실, 그리고 thiamin 보유율을 알아보았다. 조리방법이나 저장기간을 달리 했을때 처리군 간의 thiamin 함량과 중량 소실을 고려한 thiamin 보유율은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즉, 조리/저장/재가열 등의 조리방법을 달리 했을 때, thiamin 보유율은 팬가열법으로 조리하고 저장한 후 팬으로 재가열한 PP군, 팬가열법으로 조리하고 저장한 후 전자렌지로 재가열한 PM군, 전자렌지로 조리하고 저장한 후 전자렌지로 재가열한 MM군, 전자렌지로 조리하고 저장한 후 팬으로 재가열한 MP군, 팬에 소량 물을 붓고 팬가열법으로 조리하여 저장한 후, 팬으로 재가열한 BP군 등 모든 조리 방법 처리군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 방법간에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냉장 저장 7일 후 재가열 처리군에서 티아민 보유율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냉장 15일까지 차이가 없었다. 냉동 저장 15일 후, 30일까지 냉장 저장 7일후 재가열 처리군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가정 조리의 과정을 살펴 볼 때 티아민 보유율이 크게 감소하는 과정은 예비가열 조리과정과 냉장저장 1일후 재가열시로 관찰되었다. 예비가열 조리시 보유율이 44%로 조리방법에 상관없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냉장저장 4일후 까지 재가열 처리군에서 보유율을 그대로 유지하였고 냉장저장 7일후 재가열시 저장 기간 4일 수준 보다 약 45% 정도 더 손실되어 thiamin 보유율 23%를 유지하였다. 냉동 저장 15일에서 30일까지 저장한 후 재가열 했을 때 thiamin 보유율은 냉장저장 7일후 재가열군과 같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예비가열 조리 후 저장 과정을 거쳐 재가열하여 너비아니를 섭취할 경우, 4일 이내로 소비할 경우는 냉장 저장을 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질 경우는 냉동저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옥수수겨가 티아민, 나이아신, 판토텐산의 생체이용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n Bran as a Fiber Source on the Utilization of Thiamin Niacin and Pantothenic Acid in Humans)

  • Yu, Bog-Hieu;Kies, Constanc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450-460
    • /
    • 1992
  • 본연구는 사람을 대상으로하여 8주간 종류가 서로 다른 옥수수겨를 식이섬유질의 급원으로 기본식이에 첨가하여 먹였을 때 티아민, 나이아신 및 판로텐산의 체네 이용율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실험식이의 종류의 옥수수겨를 첨가하지 않은 기본식이(Basal diet : B)와 이에 wet-milled fine(WF)/coarse(WC) corn bran이나 dry-milled fine(DF)/coarse(DC) corn bran을 첨가한 식이들로서 무작위법에 의하여 첫 4주간동안 일부의 피실험자는 B, WF, WC 식이를 급여 받았으며, 나머지 피실험자는 B, DF, DC를 급여받았다. 따라서, 각각의 피실험자들은 8주간의 실험기간동안 모든 실험식이를 섭취하였다. 비타민의 이용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24시간 뇨를 채집하였으며 이들을 주별로 나누어 이들 비타민의 뇨중함량을 측정하였고 변을 채집, 건조하여 neutral detergent fiber(NDF)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매일 뇨증의 creatinine치를 측정하여 뇨의 완전한 채집을 도모하였으며 불완전한 채집으로 인한 실험오차를 줄여주기 위하여 비타민의 이용을 계산시 각 주별의 평균 creatinine치에 대하여 비타민 이용율을 보정하여 주었다. 실험분석 결과에 따르면 옥수수겨를 첨가한 식이를 먹는 경우 티아민, 나이아신 및 판토텐산의 생체 이용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옥수수겨를 wet-milling 방법으로 처리한 식이의 경우 저하의 효과가 더운 현저한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옥수수겨의 처리방법을 막론하고 옥수수겨의 입자가 거친것이 비타민 이용율의 저하효과가 더욱 큰것으로 나타났다. 변건량과 변량에 있어서도 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고 특히 fecal trasit time이 wet-milled corn bran 식이군과 입자가 거친 옥수수군에서 빨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수수겨가 이들 세가지 B 비타민의 이용율을 저하시키는 것이 식이 섬유질의 종류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