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트렌치 굴착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지중연속벽 시공을 위한 트렌치 굴착시 지반변형에 관한 모형실험 (Model Tests on Ground Deformation during Trench Excavation for Diaphragm Walls)

  • 홍원표;이문구;이재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2호
    • /
    • pp.77-88
    • /
    • 2006
  • 지중연속벽 시공을 위한 트렌치 굴착시 굴착배면지반의 침하거동을 규명하기 위한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트렌치 굴착을 모사하는 모형실험장치를 제작하였으며 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트렌치 굴착시 굴착배면지반의 침하를 측정하였다. 모형실험결과 트렌치 굴착시 굴착배면지반의 침하량은 굴착면에 가까워질수록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의 상대밀도가 작고, 지하수위가 높을수록 굴착시 배면지반에서의 침하량은 크게 발생하였다. 그리고, 굴착배면지반에서의 침하량은 최종 굴착깊이의 약40%에 해당하는 이격거리에서 급격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트렌치 굴착완료후 굴착면내 안정액의 수위를 저하시킬 경우 굴착측벽에서는 벌징(Bulging) 현상이 발생되고, 굴착배면지반에서는 침하현상이 발생되어 종국에는 굴착면 상부에서 지반붕괴가 발생되었다. 모형실험에서 측정된 굴착배면지반에서의 침하량은 Clough and O'Rourke(1990)에 의해 제안된 침하량보다 작게 발생하였으며, 굴착배면지반의 침하기준선은 굴착벽면 주변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쌍곡선형태로 관찰되었다.

저심도 철도 건설을 위한 트렌치 쉴드 장비 개발연구 (Development of a trench shield machine for the near-surface railway construction)

  • 이소오;사공명;김상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75-187
    • /
    • 2015
  • 본 논문은 저심도 철도 건설을 위해 사용될 트렌치 쉴드 장비의 설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저심도 철도는 도로 아래의 5~7 m에 설치되며 개착 공법으로 시공을 하게 된다. 개착 공법으로는 주로 가시설을 이용한 공법이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현 기술 수준으로 가시설을 이용한 공법의 한계점으로 높은 시공비와 시공 기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트렌치 쉴드 장비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트렌치 쉴드 장비는 주변 토압을 지지하는 토류판과 하단부의 굴착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토류판이 가시설의 역할을 대신하며 전면 하단에 굴착기가 부착되어 굴착시간을 단축 시켜준다. 또한 굴착 후 바로 세그먼트를 삽입을 하기 때문에 시공시간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트렌치 쉴드 장비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굴착기의 비트 설계 및 요구되는 모터 동력의 산정에 대한 연구 내용을 서술하였다.

지하연속벽 공법 자동화 도입 타당성 검토 (Feasibility Study to Apply Automated Trench Cutter)

  • 박경순;구자경;이태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64-367
    • /
    • 2007
  • 도심지에서 수행하는 공사가 확대되면서 소음, 진동 등을 최소화하는 공법으로, 지하연속벽 공법이 제안되어 많은 활용이 이뤄지고 있다. 지하연속벽 공법은 기존 공법에 비해 대심도 굴착이 가능하며, 소음과 진동이 적어 활용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굴착 작업 간 수직도 확보를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공법의 적용이 이뤄지고 있는 현장방문 결과 건설기계를 통해 작업이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장비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경험과 직관에 더 높은 의존도를 갖고 있는 것이 큰 문제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지하연속벽 공법의 주요 장비인 트렌치커터 운전기사 및 관련된 기술자들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공법과 장비의 특성을 조사하고 Cost-oncern Matrix를 통해 굴착장비의 자동화 도입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를 통해 지하연속벽 공법에서 굴착 작업을 수행하는 트렌치커터를 자동화 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개착 시공을 위한 트렌치 쉴드장비의 적용성 평가를 위한 실내실험 (Laboratory Experimental Test of the Applicability of a Trench Shield Machine for Open-cut Excavation Technology)

  • 이영민;사공명;김철한;송승철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13-223
    • /
    • 2016
  • 도시에 밀집된 인구에 의하여 교통 혼잡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도시민의 불편이 증대 되었다. 이러한 교통 불편을 최소화 하는 방안으로 저심도 철도와 같은 다양한 교통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제적인 저심도 철도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개발중인 트렌치쉴드의 설계와 더불어 소형 트렌치 쉴드 장비를 제작하여 트렌치 쉴드의 적용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 도출한 트렌치 쉴드는 굴착부와 쉴드부, 추진부로 구성되어있다. 이렇게 검토 및 설계된 트렌치쉴드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내실험을 추진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트렌치 쉴드를 통한 개착시공현장의 급속시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비록 실내실험이고 상대적으로 소규모의 실험이지만 트렌치 쉴드를 이용할 경우 3m/일의 시공속도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연속벽 시공 시 트렌치 굴착방법 개선을 통한 공기단축에 관한 연구: 현장적용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ression of Construction Period by the Improvement of Trench Excavation for Slurry Wall Method)

  • 이영수;박형근;강규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D호
    • /
    • pp.499-505
    • /
    • 2012
  • 도심지의 굴착공사 시 굴착심도가 깊어지고 있어 굴착공정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도심지 굴착공사 시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면서, 주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굴착공법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국내 및 국외에서 다수 시공된 벽식 지하연속벽의 공법인 Slurry Wall 공법의 문헌자료를 통해 지하연속벽 시공의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기존 지하연속벽 공법의 트렌치 굴착 시 발생되는 비효율적인 시공단계의 주요한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술요소를 반영하여 개선 가능한 새로운 공법을 제시하였고, 제시된 굴착공법을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바탕으로 기존 굴착공법과의 공사기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공법을 현장에 적용한 결과, 기존예정공정표에 표시된 48일에서 15일 단축된 33일에 굴착공정을 마칠 수 있었다. 또한, 제안된 공법은 기존 지하연속벽 공법들에 비해 공기단축의 효과는 물론 경제성, 환경성 및 안정성 또한 뛰어난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지하연속벽 시공의 공기단축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트렌치 공간의 진동차단 메카니즘

  • 박정봉;양영균;손기상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91-497
    • /
    • 2003
  • 암반굴착 등을 위해서는 발파는 필수적인 지반공사 과정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도심지 공사 특히, 아파트 등 건물 공사일 때는 인근 주변에 기존 주택가들이 밀집되어 있어 발파진동으로 인한 영향을 미치기 쉽고 이것은 곧바로 민원으로 공사진행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는 결과로 이어진다.(중략)

  • PDF

필터케이크(filter cake)를 고려한 슬러리월 연직차수벽의 현장투수계수 평가 (Evalua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of Slurry-wall-type Vertical Cutoff Wall with Consideration of Filter Cake)

  • 웽테바오;이철호;최항석;김상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1호
    • /
    • pp.121-131
    • /
    • 2008
  • 슬러리월 연직차수벽 시공시, 지반을 트렌치 형태로 굴착하고, 굴착시공 중 굴착면 붕괴에 대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벤토나이트와 물을 혼합한 슬러리를 트렌치에 채운다. 이렇게 채워진 벤토나이트 슬러리로 인하여 필터케이크(filter cake)이라 불리는 얇고 투수성이 낮은 층이 트렌치벽 표면에 형성되며, 슬러리가 제거 된 이후에도 굴착면에 잔존하여 연직차수벽에서의 순간변위시험(slug test) 해석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수치해석 프로그램 Slug-3D를 수정하여 순간변위시험 해석시 필터케이크의 영향을 고려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정확한 연직차수벽의 투수계수를 산출하도록 하였다. 필터케이크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Slug-3D에서는 차수벽과 토양층의 경계면에 불투수조건(no-flux)을 경계조건으로 설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투수계수 산정에서 기존의 타입커브법(type curve method)을 이용하기 위하여 개선된 type curve를 도출하였고, 선형 커브피팅법(line-fitting method)를 필터케이크가 존재하는 연직차수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필터케이크를 고려한 해석방법은 EMCON(1995)에 의해 수행된 현장시험 결과의 재해석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Choi and Daniel(2006)에 의해 수행된 필터케이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순간변위시험 해석결과와 비교를 통해 필터케이크 고려가 반드시 필요함을 보여준다.

트렌치 굴착에 있어서 경량 흙막이 구조체의 안정성 해석 (Stability Analysis of the Light Weight Earth-Retaining Structure in the Trench Excavation)

  • 서성탁;허창환;김희덕;지홍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2호
    • /
    • pp.93-103
    • /
    • 2004
  • In trench excavation, essential factor of earth-retaining temporary work structure should be easy taking to pieces and movement, and dead weight must be less. This paper studies about the light weight material and application as earth-retaining structure to prevent the slope failure of sand soil ground caused by the variation of groundwater level in trench excavation. That is, light weight earth-retaining structural is proposed and a simulation with FEM on application of proposed structural in sandy soil is presen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udy proposed FRP H-shaped pannel for the light weight member, and also presented estimation method about stability. (2) Mechanical property (bending moment, shear force, axial force, displacement) were changed according to groundwater level, but these values had been within enough safety rate and allowable stress. Therefore, proposed light weight pannel with FRP is available for bracing structure in trench excavation.

준설매립지반 표층건조처리를 위한 트렌치 굴착시 간극수의 침투해석 (Analysis of seepage in trenching for surface desiccation of dredged soft ground)

  • 정하익;오인규;이용길;이승원;이영남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29-53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os to present and discuss some of flow and drain observed in modelling results. Because dredged fill ground of Yul-Chon located in the south coast of Korea is very soft, this ground should be improved after operation of surface stabilization. There are surface stabilization method such as chemical stabilization, desiccation, horizontally vacuum drain, replacement, and geosynthetics. In Yul-Chon, PTM(Progressive Trenching Method) is adopted to provide the necessity condition of surface desiccation. In the case trench in the dredged soft ground is formed by PTM equipment, pore water in the ground is drained through trench. There, drain and desiccation of surface ground increase, and bearing capacity is improved. In this research, when trench in the dredged soft ground is formed by PTM equipment, permeable characteristics and drain efficiency of pore-water are analyzed using SEEP/W software package. Results show variation of total head, pressure head, flux, hydraulic gradient, and flow quantity.

  • PDF

퇴적 구조 관찰 시 유념해야 할 토양화 및 지하수 유동 흔적: 경주 용장리 트렌치 단면의 예 (Evidences of Soil-Forming Processes and Groundwater Movement Obscuring Sedimentary Structures: A Trench Profile in Yongjang-li, Gyeongju, South Korea)

  • 윤소정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6호
    • /
    • pp.519-52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2017년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트렌치 단면에서 퇴적층을 관찰할 때 고려해야하는 토양화 과정과 지하수의 유동에 기인하여 나타나는 특성을 기술하였다. 지표로부터 굴착된 트렌치 단면은 토양화 과정과 지하수 유동에 의한 흔적을 포함하고 있어 퇴적학자들의 관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사이트 토양은 비교적 초기단계의 토양화 과정에 있어서 퇴적층의 특징을 관찰하는데 크게 어려움을 주지 않으나, 퇴적층리 관찰을 가장 어렵게 하는 요인은 지하수의 이동에 따른 망간산화물과 철산화물의 침전이었다. 지하수면을 따라 형성된 이 침전물은 퇴적층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기도 하고, 지하수면의 위치 또한 접하고 있는 퇴적층의 입자 크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여러 위치에서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또 이들 지하수면 상하부에서는 각기 철의 산화환원 상태에 따라 색변화가 관찰되므로 퇴적층 기술에 주의가 요구된다. 미세기공을 통해 모세관 현상으로 상부로 이동하는 지하수에 의해 일부 세립질 퇴적층이 지하수면 수 미터 상부까지 환원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원철 상태를 지시하는 색을 띠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