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투자유망지역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Ginseng Market in Vietnam (국내외 산업동향 - 베트남의 홍삼시장 현황)

  • Park, JinSeo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6 no.2
    • /
    • pp.132-138
    • /
    • 2013
  • 베트남은 캄보디아, 태국, 버마, 말레이시아 등 주변 시장으로 쉽게 진출할 수 있는 거점지역으로서의 중요성을 가지며, 세계적인 컨설팅사인 AT Kearney사는 2009년 평가에서 5위로 전 세계 185개 국가 중에서 2020년까지 아시아의 유망시장으로 평가하고 있다. 평가는 인구, 소득, 시장잠재력, 위험, 유통침투 지수 등을 기초로 AT Kearney사가 개발한 소매유통산업개발지수(General Retail Development Index)에 따른 것으로 베트남은 2008년 1월, 2009년 5위 등 상위권을 지키고 있다. 또한 2010년 기준 8,700만명의 인구대국으로, 30대 이하 인구비중이 56%로 상대적으로 높아 소비자 인적구성 측면에서 성장가능성이 크며, GDP의 70%를 내부소비가 점유하고 있고, 소비여력이 큰 44세~55세 인구가 높은 비중이 높아 홍삼시장의 성장가능성이 크다. 홍삼제품은 도시 중심의 500개 소매점과 3,000개의 약국을 통해 유통되고 있고, 홈쇼핑과 인터넷 쇼핑몰 등 신규유통을 통해서도 유통이 활발해 지는 등 나름대로 유통체계가 구축되고 있으나, 소비자 인식부족과 물류시스템 등 유통 시스템의 미흡으로 본격적으로 성숙기 시장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와 유통 특성을 고려하여 시장에 진출한다면 성공적인 진입이 예상되나, 미국 등 다른 선진국들도 투자를 강화하고 있어 조만간 성숙기 시장으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지식재산(IP)스타기업 육성 정책과 지식재산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9년~2011년 스타기업을 중심으로

  • Jo, Yong-Hyeong;Park,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40-43
    • /
    • 2016
  • 본 연구는 특허청의 지식재산스타기업 육성 정책을 통하여 발굴 선정된 지역의 지식재산스타기업을 대상으로 지식재산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2011년 지식재산스타 기업으로 선정된 16개 지역의 383개 기업에 대하여 정책을 지원한 전년도와 당해 년도의 지식재산활동 및 경영성과를 분석하여 지식재산스타기업 육성 정책의 필요성을 기업에 확산시키고, 더불어 지식재산 지원정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허청은 2006년부터 지역 중소기업의 견실한 성장을 위하여 지식재산권 중심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여 독점적 지위 확보와 새로운 시장 개척(First-mover)의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성장 잠재력과 기술력을 가진 지역의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여 3년간 지식재산컨설팅 및 특허 디자인 브랜드 등에 대한 맞춤형 종합지원을 제공하여 지역의 대표기업으로 성장시키는 "지식재산스타기업 육성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식재산스타기업 육성 정책 지원을 통한 기업의 지식재산활동 중 지식재산 출원건수와 지식재산 전담인력수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가설을 실증분석한 결과, 기업의 지식재산 전담인력이 많은 기업들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매출액 증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중소기업에서는 체계적인 지식재산경영을 위한 전담인력 확충 등 노력이 요구되며, 정부 및 관련기관에서는 지역의 대표적인 강소기업 육성을 위하여 기업의 지식재산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지식재산 전담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식재산 전담인력 확충에 필요한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 이후에는 지식재산스타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와 수출역량 등 연구표본의 다양화를 통하여 중소기업의 지식재산경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지식재산 기반의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정책'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과제가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Key Successful Factors of Cruise Port (크루즈 항만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Lee, Choong Bae;Lee, Jongkoo;Noh, Jinho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9 no.2
    • /
    • pp.81-111
    • /
    • 2013
  • Along with a general growth in living standards there has been a corresponding increase in the demand for tourism. Cruise based tourism, in particular, has become one of the most dynamic and dramatic growth sectors in the tourism industry over the last 20 years, including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 line with the growth of passenger numbers, the number of cruise ships and their berth capaciti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late 1970s. Korea, as a peninsular nation, has also experienced a rapid growth in cruise passenger numbers. The national economy has greatly benefited from this as the industry acts as an income generator, creating new jobs and potential investments and in developing local tourism. Por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ny national cruise industry, providing not only ship berths but supply and bunkering facilities and a gateway to local tourism opportunities.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cruise port location is an important and complex problem because the decision makers have to consider a large number of criteria which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y, environment, human life, and society. This paper investigates those criteria that are significant in developing a successful cruise port by employ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major cruise port users - shipping companies and tourism companies. The ports, surveyed in this study are Busan, Incheon, Yeosu and Jeju. All have been identified as important potential cruise ports in the Korean Government's 'The 3rd Port Basic Plan (2011-2020)'.

A Study on Library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cused on North American University Libraries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도서관서비스 연구 - 북미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 Kim, Ji-Hyu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1 no.4
    • /
    • pp.231-247
    • /
    • 2020
  •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emerged as a promising future technology amo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are trying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cross all area of society, including librar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issues, and im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university library services. As a research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T experts of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and conclusions and discussion were drawn from interview results and related documents.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were trying to build an infrastructure that facilitates information access and retrieva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and to provide new services in collaboration with AI research institutes in universities. This study raised issues regarding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libraries and librarians, privacy, and data quality. It was also discussed that the need for re-education of university librarians to become software engineers who play a role in disseminating knowledg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invest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nformation system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center in the library. The study discussed limitations of research due to changes in the research environment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Effect of Inclusive Institution on Economic Development : Focus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game industry in Korea and Germany (포용적 제도가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독일의 게임산업 제도화를 중심으로)

  • Seok, Seung-Hye;Shryu, Seung-Ho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5 no.5
    • /
    • pp.57-78
    • /
    • 2015
  • This Study is the effect of the inclusive institution on a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we focused on the gaming industry as an index that can drive the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The reason to compare the game institution in South Korea and Germany is that both countries began to develop the game by the State, but the game institution in South Korea and Germany at the present time are sharply opposed, because the institutions can focus on the main points that are experiencing this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pen/closed network in institutionalized aspect affects the social status of the game. This second, game workers in the legal institution has been classified as artists in Germany, as addicts in South Korea. And, Germany also has incentives to creators protected profits reinvested in the gaming industry, Korea leads to punitive exploitation is being transferred to the group for addiction treatment that revenue. Third, this exclusive and inclusive institutional system could affect the stable growth of the game market. As a result, South Korea's state institutions will notice that you get a result away from opportunities for economic development due to the loss of inclusivenes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aebaek Orebody in the Yeonwha Pb-Zn Mine (연화광산(蓮花鑛山)의 태백광체탐사(太白鑛體探査)와 개발현황(開發現況))

  • Je, Young-Kun;Lee, Eun-Ja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0 no.4
    • /
    • pp.273-288
    • /
    • 1987
  • 연화(蓮花) 연(鉛) 아연광산(亞鉛鑛山)은 광체(鑛體)의 분포(分布)에 따라 본산지구(本山地區), 동점지구(銅店地區) 및 태백지구(太白地區)로 구분할 수 있다. 태백지구(太白地區)에 대한 본격적인 탐광(探鑛)이 시작되기 전인 1981년 당시, 약 25년 동안 채광작업(採鑛作業)이 진행되어 온 본산지역(本山地域)은 주종광체(主宗鑛體)인 월암(月岩) 및 남산광체(南山鑛體)가 -600m level에서 하한(下限)이 드러남에 따라 광량(鑛量)이 크게 소진(消盡)된 상태였으며, 동점지성(銅店地城)은 상하(上下)의 광황변화(鑛況變化)는 크지 않으나 광체(鑛體)의 규모(規模)가 비교적 작아, 조업(操業)의 안정(安定)을 위해서는 신광화대(新鑛化帶)의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한 과제(課題)로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평천(平川), 태백(太白), 동점역(銅店驛), 방터골, 삼방산광화대(三芳山鑛化帶) 등 연화(蓮花) 전역(全域)에 걸쳐 모암(母岩)의 분포(分布), 지질구조(地質構造), 광징(鑛徵) 등을 검토한 결과 탐광대상(探鑛對象)에서 제외되어 왔던 태백지구(太白地區)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유망(有望)한 탐사후보지(探査候補地)로 부각되었다. 첫째, 지표(地表)에서는 풍촌석회암층(豊村石灰岩層)이 분포(分布)되지 않으나 지질구조(地質構造)를 검토한 결과 -300m level 하부(下部)에서는 이의 전층(全層)이 분포(分布)할 것으로 예상되며, 둘째, 두무동층(斗務洞層) 및 동점규암층내(銅店珪岩層內)에서 발견된 광징(鑛徵)들이 하부(下部)의 풍촌석회암내(豊村石灰岩內)로 연장(延長)되면 부광부(富鑛部)를 이룰 것으로 기대되고, 셋째, 지층(地層)의 경사(傾斜)가 $50^{\circ}$ 이상(以上)인 점, 석영반암(石英斑岩)이 분포(分布)하는 점 등은 광상배태(鑛床胚胎)에 양호(良好)한 조건(條件)이고, 넷째, 본산지구(本山地區)의 월곡(月谷), 월암(月岩), 남산(南山)등 주종광화대(主宗鑛化帶)의 연장부(延長部)인 점, 다섯째, 중앙견갱(中央堅坑)으로부터 약 2km 거리로 탐사단계(探査段階)에 별도의 신규투자(新規投資) 없이 굴진(掘進)이 가능하다는 개발조건상(開發條件上)의 이점(利點)이 있었다. 이에 따라 태백지구(太白地區)에 대한 지표정사(地表精査), 물리탐사(物理探査) 및 지화탐(地化探)을 실시하고, 20여년간 축적된 연화광산(蓮花鑛山)의 지질(地質), 광상자료(鑛床資料)를 정리(整理), 그 특성(特性)을 태백지구(太白地區) 탐사(探査)의 가설(假說)로 적용하여 시추계획(試錐計劃)을 수립, 1982년 구조시추(構造試錐)를 실시한 결과 지질구조(地質構造), 풍촌석회암층(豊村石灰岩層)의 분포(分布) 등이 거의 예상했던 대로 밝혀졌으며 태백(太白) 1호광체(號鑛體)의 일단(一端)이 확인되기에 이르렀다. 1983년(年) 7월(月) 본산지구(本山地區) -600m level에서 태백(太白) 크로스 탐광굴진(探鑛掘進)이 착수되었으며, 1985년에 마침내 갱내(坑內)에서 태백(太白) 1호(號), 2호(號) 광체(鑛體)가 착광(着鑛)되었다. -600m level에서의 태백(太白) 1호광체(號鑛體)의 규모(規模)는 연장(延長) 300m, 평균맥폭(平均脈幅) 8.5m이며, 품위(品位)는 Pb 4.5%, Zn 4.5%, Ag 109g/t이다. 태백광화대(太白鑛化帶)의 지질학적(地質學的) 예상광량(豫想鑛量)은 1,000만(萬)t 이상(以上)이 될 것으로 추정(推定)되며, 현재 -480m level에서 -720m level에 이르기까지 5개 level에서 가행(稼行)되고 있다. 현재 level에서 태백(太白) 1호(號) 광체(鑛體)는 풍촌석회암층(豊村石灰岩層) 및 화절층(花折層)을 모암(母岩)으로 하여 맥상광상(脈狀鑛床)으로 생산(生産)되며, 맥석광물(脈石鑛物)은 능망간석, Mn-방해석(方解石), 방해석(方解石), 석영(石英) 등이고 광석광물(鑛石鑛物)은 섬아연석(閃亞鉛石), 방연석(方鉛石), 황철석(黃鐵石), 자유철석(磁硫鐵石), 유비광석(硫砒鑛石), 황동석(黃銅石), 사면동석(四面銅石), 엘렉트럼 등이다. 태백지구(太自地區)는 광상(鑛床)의 산출상태(産出狀態) 및 지질(地質), 광상학적(鑛床學的) 환경(環境)이 본산지구(本山地區)와 거의 동일(同一)함이 밝혀지고 있다. 태백지구(太白地區)에서는 현재 태백(太白) 1호(號), 2호(號), 3호(號), 5호(號) 및 절골 1호(號), 2호(號) 등 6개 광화대(鑛化帶)에 대한 탐광(探鑛)이 진행되고 있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and Site selection of an AIRFIELD (경비행장 개발 및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Park, Sang-Yong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0 no.2
    • /
    • pp.3-36
    • /
    • 2015
  • As of end of 2014, the population engaging in aviation activities for leisure has reached approximately 13 million, where approximately 356 cases involve a general aircraft, 200 cases involve light aircraft, and 636 cases involve an ULM. The industry for leisure has become a very promising industry in line with rapidly rising living standards which are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in the future. The demand for such services is expected to increase over ti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development and site selection of airfields in anticipation of these developments in the industry. While the government also has experience in the review of airfield location and candidate sites, it is not the government that carries out the actual construction. As such, the feasibility of the site needs to be verified in terms of actual construction.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for Site Selection of factors through a review of related documents and existing research reports. A questionnaire was also used to collect the views of experts in the field, which was then analyzed. The Research model was confirmed in the layered form for an AHP analysis. The factors for Site Selection were identified as the technical / operational factors and economic / political elements for a two-stage configuration. The third step consisted of technical and operational elements. The final step is was constructed a total of 11 elements (weather, surface conditions, obstacle limitation surface, airspace conditions, operating procedures, noise problems, environmental issues, availability of facilities, construction and investment costs,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y, accessibility, demand / the proximity of demand). The surveys are conducted for more than 10 General and light aircraft pilots, professionals, and instructo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 higher level in the technical / operating elements (73.2%) in the first step, while the next step sawa higher level of the operational elements (30.9%) than the other. The factors for Site Selection were any particular elements did not appear high, the weather conditions (17.5%), noise problems (19.8%), the proximity of demand (6%), accessibility (5.7%), environmental issues (11.1%), availability of facilities (8%), airspace conditions (7.9%), obstacle limitation surface (12%), construction and investment costs (4.2%) and to operating procedures (4.9%),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y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