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투입지표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5초

공공도서관의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Korean Public Libraries)

  • 김규환;남영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13-139
    • /
    • 2008
  •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환경에서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통합적 관점에서 성과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성과평가연구는 특정 영역과 특정 분석방법에 치중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이에 도서관의 활동 영역(투입, 과정, 산출, 결과)을 평가할 수 있는 다면적인 성과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국제표준화기구와 IFLA는 BSC(균형성과지표)에 기초한 통합성과평가체제의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서관의 성과평가영역(투입, 과정, 산출, 결과)과 성과지표(투입지표, 산출지표, 결과지표)의 유형을 도출하고 국내 외 공공도서관 평가사례를 대상으로 평가영역과 성과지표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결과에 따라 국내 외 평가사례에 기초한 공공도서관의 통합적 성과지표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국제표준화기구 평가사례로부터 4개의 평가관점과 인력자원, 이용, 장서, 시설 등의 세부적 평가영역을 선정하였고 평가영역별 성과지표와 성과측정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평가영역과 성과지표에 대한 적합성 검증 방법을 제안하였다.

국가별 ESG 이행성과지표 투입기준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Input Criteria for ESG Performance Index : The Country Level of ESG Index Perspective)

  • 이경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1-4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의 ESG 이행 성과와 유관한 세부 지표들을 분류 및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그 적용 가능성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투입 데이터로서 World Bank의 자료를 토대로 총 239개의 국가를 대상으로 측정한 67개 종류의 ESG 관련 세부 지표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의 확인적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시행하여 세부지표들을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3가지 부문으로 그룹화할 수 있는 최적 모형 도출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총 10개의 세부지표들이 국가의 ESG 이행성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당 세부지표들은 1차 잠재변수인 E, S, G와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모형의 적합도에서도 전반적으로 높은 지수를 보여 변수투입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ESG를 구성하는 다수의 세부 성과 지표들의 잠재변수로의 분류가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변수의 선정 방법 및 투입 타당성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할 수 있다.

V-Q Sensitivity를 이용한 조상설비 투입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active Power Allocation using V-Q Sensitivity)

  • 정진우;배문성;조환희;이병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93-194
    • /
    • 2015
  • 국내의 경제 성장으로 전력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속적인 전력 수요의 증가는 계통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어 계통의 안정도를 감소시키므로 정전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무효전력은 계통의 전압과 안정도에 크게 관련이 있으므로 계통의 전압 유지와 안정 향상 방안 중 하나로 조상설비 투입을 고려 할 수 있다. 조상설비 투입 시 조상설비를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여 투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압 안정도 지표인 V-Q Sensitivity의 계통의 외란 발생 전후의 차를 새로운 안정도 지표로 제시하여 조상설비 투입 위치를 선정하는 방안에 대해서 제시를 하였고IEEE-30 계통을 이용하여 검토 하였다.

  • PDF

투입물거리함수(投入物巨利函數)를 이용한 한국(韓國) 무연탄(無煙炭)의 희소성지표(稀少性指標) 산정(算定) (Derivation of Scarcity Index for Korean Coal Using Input Distance Function)

  • 이명헌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3권1호
    • /
    • pp.33-47
    • /
    • 2004
  • 원(原)자원의 거래가격과 일치하는 무연탄에 대한 암묵가격은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의 가격통제로 인하여 희소성지표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김동수 이명헌 (2002)은 비용함수의 추정이 수반되는 Halvorsen and Smith(1984)의 실증적 모형을 적용하여 무연탄의 연도별 암묵가격을 도출한 결과 1970~1996년 기간동안 평균 8.93%의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이들 암묵가격이 희소성지표로서 신뢰성을 얻기 위해서는 투입 생산요소 특히 자본에 대한 정확한 가격산정이 먼저 전제되어야 하지만 우리나라의 열악한 자료환경하에서 자본가격의 산출이 임기웅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이들 암묵가격으로 판단한 고갈속도는 실제 상황을 왜곡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출량과 요소 투입량에 대한 자료만으로 추정이 가능한 Shephard(1970)의 투입물거리함수를 활용하여 무연탄 암묵가격을 산출한 바, 동일기간을 대상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2.89%의 상승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김동수 이명헌(2002)의 연구처럼 비용함수 추정방식으로 도출된 암묵가격에 의거하여 고갈속도를 판단할 경우 실제보다 약 3배 이상 빠르게 고갈되고 있는 것으로 잘못 인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서울시 공공도서관 운영 분석을 통한 서비스 성과관리 설계의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Outcome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Library Operations and Services in Seoul)

  • 김신영;권나현;김선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85-409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공공도서관의 운영 분석을 통하여 서비스 성과관리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차 서울시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8~2022)」과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 따른 서울시의 시행계획을 연계하여 분석하고, 서울시민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종합하여 정책개발 쟁점을 도출하였다. 이어 서울시 25개 자치구 173개 공공도서관의 투입지표와 자료서비스, 프로그램 이용실적, 웹이용, 상호대차 등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치구별 도서관 서비스의 성과를 가시화 할 수 있는 성과관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관리를 위하여 전략목표와 핵심과제의 선정에 내실화, 성과관리의 범주 설정, 이용자 중심의 성과지표 개발, 정성지표 한계점 개선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물리적인 투입지표의 부실로 인하여 산출지표로 표현되는 서비스의 질적 저하가 우려되는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투입을 강화하는 한편, 이들 지표 간의 관련성이나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성과관리체계의 구축을 통하여 서비스 격차의 해소를 독려할 필요성이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New & Renewable Energy Feed-in Tariffs)

  • 조기선;이창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485-487
    • /
    • 2008
  • 본 논문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2002년도부터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발전차액지원제도의 시행성과의 평가기준으로서의 성과지표를 개발하였다. 제안한 성과지표는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 정량(계량)지표와 정성(비계량)지표로 구분하고, 사업시행절차에 따른 투입, 과정, 산출, 그리고 결과지표로 구분하여 성과지표를 구성하였으며, 유관기관별 성과지표의 정보공유체계를 제안하였다.

  • PDF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정보취약계층의 지표 분석 (Analysis of Indicators for Information-Poor shown in Library Statistics)

  • 김홍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93-214
    • /
    • 2016
  • 본 연구는 정보격차해소를 위하여 공공도서관에서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투입과 성과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조사와 분석은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투입과 성과의 양적인 상태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도서관 통계지표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도서관 통계지표의 분석을 통하여 정보격차해소를 위해 각 도서관이 투입하는 요소들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시설의 퇴보, 장애인용 특수자료 수의 지속적인 감소, 정보취약계층 서비스 이용자수의 감소, 전체 도서관 예산에서 차지하는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예산의 매우 적은 비율과 그 예산마저도 매년 감소하는 현상 등의 문제점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지표들과 그 추이는 각종 관련 정책들과 공모사업들의 추진이 지식정보격차해소에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오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즉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노력은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추진되고 있는 듯 보이나, 실질적인 예산의 투입이나 관련 정책의 추진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강력한 대책이 요구된다.

경북지역 공공도서관 격차분석 연구 (A Study on the Gap Analysis of Public Libraries in Gyeongbuk Region)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25
    • /
    • 2022
  • 대다수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을 지식정보센터, 복합문화공간, 평생학습시설, 제3의 장소다. 이러한 정체성과 역할에 충실할 때 회자되는 사회적 오마주가 지식정보 아고라, 문화기반시설, 도시의 거실, 민중의 대학이다. 그런데 국가나 지역을 불문하고 공공도서관 상호간에 상당한 격차가 존재하면 지역별 주민의 접근·이용의 불평등을 초래하고, 정보격차 및 지역격차의 동인으로 작용하며, 사회격차 및 문화복지 격차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지역문화시설의 요체로 간주하고 지역 간의 상대적 격차가 문화격차를 유발한다는 전제 하에 시도별 및 경북지역의 시군별 입지계수, 투입지표(서비스 대상인구, 연면적, 직원수와 사서수, 운영예산과 자료구입비, 도서수), 산출지표(자료실 이용자수, 대출책수, 강좌 참가수)를 이용하여 상대적 격차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투입·산출지표의 상관 및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경북지역 시군별 공공도서관의 지표별 관리모형 및 격차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Innovation Capability Index of Korea's Manufacturing Firms: An Empirical Study Using the Community Innovation Survey (CIS) Dataset

  • 신태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48-60
    • /
    • 1999
  • 과학기술지표는 전통적으로 R&D 투입 데이터와 특허자료가 사용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단점을 극복할 대안으로 기업의 혁신활동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의 CIS 데이터가 소개되고 계량분석을 이용한 방법론이 소개된다. 한편 이를 이용하여 산업별 혁신 능력지수를 제시한다

  • PDF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f Development of the School Library Evaluation Criteria)

  • 곽철완;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3-19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시 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학교도서관 평가에 필요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국내 외 학교도서관 관련 평가지표를 조사 분석하여 다양한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상황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학생들에게 학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교도서관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평가지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평가 항목은 도서관 프로그램 분야, 학교지원 분야, 서비스 분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평가 방법은 조사지 이용 평가, 학교 도서관 통계 이용 평가, 표준화된 통계 이용 평가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다. 이중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통계 이용 평가를 제안하였다. 평가항목은 양적인 항목과 질적인 항목으로 구분되었다. 양적인 항목은 투입분야의 예산항목에 2개 지표와 산출분야의 장서 항목의 3개 지표, 이용 항목의 3개 지표가 제시되었다. 질적인 항목에는 소장도서와 해당 연도에 구입한 도서의 이용비율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