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퇴행성 질환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6초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환자의 진단에서 단층촬영과 골스캔 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on the Usefulness of Tomography and Bone Scan in Diagnosis of Patients with TMJ Osteoarthritis)

  • 김철;김영준;문지회;박문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2호
    • /
    • pp.125-133
    • /
    • 2012
  •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은 관절조직에 가해지는 과부하에 의해 관절면과 하부 골조직에서 일련의 퇴행성과정과 함께 관절부의 국소적 압통, 하악운동에 의한 관절의 염발음, 하악의 운동범위 제한, 심한 경우에는 과두지지가 없어져 구치부 과다접촉과 전치부 개교합이 나타날 수 있는 퇴행성질환이다. 일반적으로는 임상검사 후 파노라마방사선사진, 측두하악관절 파노라마, 경두개방사선사진을 촬영한 뒤 진단하게 되는데 이들 일반적인 방사선사진들은 질환 초기의 미세한 골변화를 평가하는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골조직의 퇴행성변화가 의심되어 확진을 위해 단층촬영 및 골스캔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영상의학적 검사소견들 간의 일치도와 임상소견과의 관계를 평가하여 골관절염의 진단에서 이들 다양한 검사법들의 한계와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 향후 추가연구를 위한 예비자료를 얻기위해 시행하였다. 골관절염의 진단에서 일반방사선사진과 단층촬영, 골스캔 검사의 결과 일치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위음성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임상검사소견에 따른 단계적인 영상의학적 검사 시행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ransferrine peptide ligand로 개량된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신경전구세포로의 유전자 전달 효율 조사 (Modified Adenovirus Mediated Gene Transfer to Neuronal Precursor Cells)

  • 정인실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3-76
    • /
    • 2006
  • 신정전구세포를 이용한 퇴행성 뇌질환의 세포치료나 유전자치료에서 효율적인 유전자 전달을 목적으로 개량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의 실용 가능성을 쥐의 해마에서 유래된 신정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외피단백질을 조작한 개략 아데노바이러스벡터는 분화전과 후의 신정전구세포로 1세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에 비해 6배 정도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전달하였다. 또한 바이러스의 감염은 신정전구세포가 신경세포나 신정 아교세포로 분화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않았다. 따라서 신정전구세포를 이용한 신정질환의 세포치료나 유전자 치료에서 개량된 아데노바이러스로 유전자를 전달하면 치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위령선 약침이 콜라겐으로 유도된 골관절염 모델에서 흰쥐의 PAG 영역에서 N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ematis mandshurica Rupr. on Nitric Oxide Synthase in the Periaqueductal Gray of Collagenase-induced Rat Osteoarthritis Model)

  • 양국정;김순중;서일복;박세근;김정선;서정철;최선미;이혜정;김이화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2권4호
    • /
    • pp.109-116
    • /
    • 2005
  • 목적 : 골관절염은 진통을 수반하는 퇴행성 관절질환이며, 장애를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또한 노인들에 있어서 골관절염은 매우 흔한 질환이라 할 수 있다. Nitric oxide(NO)는 Nitric Oxide Synthase(NOS)에 의하여 칼슘의존성통로를 통하여 L-arginine 으로부터 합성되어지며, NO는 중추신경계에 있어서 중요한 세포사이의 전달자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위령선 으로부터 추출한 액이 콜라겐으로 유도된 관절염에 걸린 쥐의 dorsolateral periaqueductal gray(DL-PAG) 영역에서 nNOS(neuronal NOS)와 NOS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 을 nNOS immunohistochemistry와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diaphorase(NADPH-d) 검사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골관절염이 유발된 흰쥐의 DL-PAG 영역에서 nNOS와 NOS의 발현억제가 관찰되었으며, 위령선이 콜라겐으로 유도된 골관절염에서 감소된 nNOS와 NOS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위령선은 골관절염이 유발된 흰쥐의 DL-PAG에서의 nNOS와 NOS의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MPTP로 유발된 파킨슨병 Mouse 모델에 대한 봉약침의 농도의존적 효과 (Dose-dependent Effects of Bee Venom Acupuncture on MPTP-induced Mouse Model of Parkinson's Disease)

  • 전형준;김용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5호
    • /
    • pp.59-68
    • /
    • 2010
  • 목적 : 최근 한의학에서 널리 사용되며, 신경계 질환에도 응용되고 있는 봉약침의 농도의존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표적인 신경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의 동물모델을 통해 세포보호효과와 세포사멸 및 신경염증 기전을 관찰하였다. 방법 : C57BL/6 mice에 신경독소인 1-methyl-4-phenyl-1, 2, 3, 6-tetrahydropyridine(MPTP)를 4번 복강내 주입하여 중뇌의 흑질 도파민 신경세포를 파괴하여 Parkinson 질병동물 모델을 만든 후, 2개의 군에는 마지막 MPTP 투여 2시간 후에 1차, 그 후로 48시간이 지날 때마다 양측 신수에 각각 0.06mg/kg 농도와 0.6mg/kg 농도의 봉약침을 시행하여 총 4회 시술한 후, 도파민 세포를 측정하는 TH 면역조직 화학법을 통해 세포의 보존 정도를 관찰하고, 세포사멸과 관련된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Caspase 3, 신경염증과 관련된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iNOS의 발현여부를 면역 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 관찰결과 MPTP 투여 후 MPTP 투여군의 흑질의 도파민 세포 수는 감소하였으나 0.6mg/kg 봉약침을 투여한 경우에는 유의성 있게 세포 수가 유지되었다. Caspase-3와 iNOS 발현억제 실험에서 0.6mg/kg 봉약침군은 MPTP 투여군과 0.06mg/kg의 봉약침군과 비교하여 Caspase-3, iNOS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결론 : 봉약침은 MPTP 투여로 인한 신경세포 손상에 대하여 농도에 따라 세포사멸 기전과 신경염증 기전을 억제함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추후 적절한 경혈점 및 최적의 봉약침 농도를 찾는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보이차 열수 추출물의 근아세포 근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u'er tea extract on C2C12 myoblast differentiation)

  • 이효성;최선경;이보영;김은미;이웅희;한효상;김기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585-594
    • /
    • 2020
  • 현재 노화와 관련된 퇴행성 근육 질환은 심각한 문제로 간주되고 있으나 근육 감소증의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약물 효과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다. 이에 중국 전통차인 보이차의 추출물을 근육 감소증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ABTS 분석, MTS 분석, 면역 블롯 분석, 면역 형광 현미경법을 수행하였다. 보이차 추출물은 우수한 라디칼 소거 능을 나타냈으며, 또한 근관을 형성하는 Myh3의 발현이 촉진시켰고, 근관 형성을 증진시켰다. 따라서 보이차는 근육생성을 촉진하는 천연 물질이며 근감소증을 포함한 다양한 근육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제약 연구의 재료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며, 보이차의 구체적인 지표물질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승모판막질환에 있어서 인공판륜을 이용한 승모판막재건술의 임상적 고찰 (Mitral Reconstruction Using Prosthetic Ring in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 나명훈;황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598-606
    • /
    • 1997
  • 1994년 9월부러 1995년 8월까지 일년동안 부천 세종병원에서 시행된 승모판막질환 수술은 총 136례였으 며 이중 인공판륜을 사용하여 판막성형술을 시행된 44례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이 44례의 평균 연령은 38.2세(범위: 5세~63세)였으며 남성이 18례 여성이 26례였다, 사용된 인공판륜은 Carpentier ring이 32례, Dmm ring 이 12례였다. 판막질환의 원인은 류마치스가 30례(68%), 퇴행성 질환에 기인한 것이 13례(30%)였으며, 1례는 선천성 승 모판 부전증이었다. 판막질환의 형태로 보면 승모판막부전증이 33례(76%),승모판 협착증이 2 례(5%), 승모판 협착부전증이 9례(19%) 있었다. Carpentier의 기능적 분류는 I형이 5례(11%), II형이 24례(55%), III형이 4례(9%) 있었으며, II형과 III형의 혼합형이 11례(25%)에서 관찰되었고, 매 환자당 평균 3.7가지의 병변이 있었다. 승모판에 시행한 수술 수기는 전례에서 인공판륜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한 환자 당 평균 3.4가지의 수기 를 사용하였다. 수술 사망은 2례에서 발생하였으며, 수술 후 승모판 부전증이 진행되어 2주에 시행한 재수술이 일 례 있 었다. 12개월의 추적 관찰에서 수술 전후의 NYHA 기능적 鈞畢\ulcorner평균 3.0에서 1.3으로 개선되었다. 심장 초음파 검사에서 술후의 승모판 면적은 2.07$\pm$0.11 cm2(평균 $\pm$ 표준오차)이었으며, 좌심실 수축력의 호전을 보였고, 판막부전의 정도는 전혀 판막부전 소견이 없어진 경우가 23례(53%), 경미한 폐쇄부전이 있는 경우가 18례(42%)였고, II도 부전의 소견을 보인 례가 2례(5%) 있었다.

  • PDF

토마토 첨가 건강기능식품이 골다공증 질병모델 쥐의 혈청과 뼈의 칼슘함량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mmato-supplemented yogurt on bone mineral density and calcium contents of blood and bone in ovariectomized rats.)

  • 이정희;장경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비만ㆍ다이어트 박람회
    • /
    • pp.149-149
    • /
    • 2003
  • 토마토는 가지과에 속하는 일년생 작물로써 주로 온대지방에서 재배되며 세계각국에서 해마다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기후풍토가 적합하여 전국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토마토는 특히 vitamin A와 ascorbic acid 가 풍부한 과일로 최근에는 각종 암, 비만, 심장질환 및 만성퇴행성 질환에 미치는 효과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모든 연령층에 걸쳐 칼슘 섭취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편으로 2001년도 국민영양조사(보건복지부 2002)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칼슘 섭취량이 권장량의 71.0%로 나타났다. (중략)

  • PDF

일측성선조체의 6-OHDA손상 후 도파민효능약물 투여로 발현된 회전운동의 특성

  • 이순철;문민선;이수정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4-104
    • /
    • 1997
  • 본 실험은 신경독성물질을 이용하여 선조체도파민신경찰성을 충분하게 손상시키고 도파민효능약물투여 후 유발되는 특정행동이 basal ganglia에서 발생되는 진행성이며 퇴행성신경질환인 파킨슨씨 질환(Parkinson's disease : PD)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지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흰쥐의 왼쪽선조체에 6-OHDA 8,16 and 24$\mu\textrm{g}$/2${\mu}\ell$(in 0.1% ascorbic acid)를 각각 투여하여 효율적으로 상동행동을 발현하는 신경독성물질의 투여 용량을 검토하고 도파민신경에 작용하는 약물의 투여방법(반복투여), 관찰기간(수술후 1주부터 4주간) 및 투여시기(7,21 및 35주령)에 따른 행동발현의 특성을 비교검토하고 아울러 성별의 영향도 검토하였다.

  • PDF

BV-2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에 대한 녹차 유래 폴리페놀 EGCG의 억제 효과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e Gallate (EGCG) Prevented LPS-induced BV-2 Micoglial Cell Activation)

  • 박으뜸;전홍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40-64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녹차 유래 polyphenol 중의 하나인 epigallocatechine gallate (EGCG)를 이용한 신경염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LPS로 유도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로 분비되는 nitric oxide (NO)와 pro-inflammatory cytokine을 포함하여 iNOS, TNF-a와 IL-1b 유전자의 발현과 LPS 수용체인 TLR-4의 활성에 미치는 EGCG의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Latex beads를 이용한 phagocytotic activity를 확인한 결과 LPS로 유도된 미세아교세포 활성에 의한 식균활성이 EGCG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BV-2 미세아교세포 조건배지를 이용하여 도파민성 신경세포 SN4741의 세포 사멸확인에서도 EGCG에 의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녹차 유래 polyphenol인 EGCG의 신경염증 반응억제효능과 신경퇴행성 질환 제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녹차 유래 polyphenol인 EGCG의 신경염증 반응과 그로 인한 신경 퇴행성 질환 제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농촌지역(農村地域) 주민(住民)의 만성퇴행성질환(慢性退行性疾患) 유병률(有病率) 및 이용의료기관(利用醫療機關) (The Prevalence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and Utilization of Medical Facility in Rural Population)

  • 안길수;천병렬;예민해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1권2호
    • /
    • pp.209-220
    • /
    • 1996
  • 경상북도 문경시지역 중 9개 읍면에 거주하는 30세이상 주민 28.883명을 대상으로 1993년 10월 1일부터 1994년 2월 28일까지 건강면접조사한 자료중 5,797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만성퇴행성질환 유병률과 이용의료기관실태를 분석하였다. 인당유병률은 1,000명 당 336이었고 남녀별로는 남자는 278, 여자는 388이었다. 건당유병률은 367이었으며 남자 300, 여자 425였다. 건당유병률은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연령별 인당 유병률은 30대는 106, 40대 223, 50대 366, 60대 407, 70세 이상 457로서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유병률도 증가하였다. 만성퇴행성질환 건당유병률 1위는 신경통(128), 2위 만성위염(64), 3위 관절염(54), 4위 고혈압(44), 5위 당뇨(14) 순이었다. 남자는 1위가 신경통, 2위 위염, 3위 관절염, 4위 고혈압, 5이 천식이었고, 여자는 1위 신경통, 2위 관절염, 3위 위염, 4위 고혈압, 5위 당뇨였다. 신경통, 관절염, 고혈압 등의 질환은 남자보다 여자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주풍(뇌졸증), 결핵, 간경화증 등의 유병률은 여자보다 남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만성퇴행성질환자의 이용의료기관은 최초에는 병 의원 이용율이 높았고, 최종 또는 현재는 보건(지)소, 의원 및 보건진료소를 많이 이용하였다. 질병별로는 신경통, 관절염 천식은 최초에는 의원을, 최종 또는 현재는 보건(지)소, 조건진료소를 많이 이용하였다. 고혈압과 결핵은 최초, 최종 모두 보건(지)소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당뇨, 중풍, 암, 심부전증, 간 경화증, 신부전증은 병원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