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합적 고찰

검색결과 1,053건 처리시간 0.031초

지구단위계획의 현황과 전망

  • 최찬환
    • 건축사
    • /
    • 3호통권383호
    • /
    • pp.105-109
    • /
    • 2001
  • 개정된 도시계획법에서는 종전에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던 도시설계제도와 도시계획법에 규정하고 있던 상세계획을 발전적으로 통합하여 지구단위계획제도로 개편하였다. 새롭게 나온 것이지만 제도 자체는 완전히 새로 도입한 것이 아닌지 종전의 두가지 제도를 통합한 것을 의미한다. 보다 적극적으로 지구적 차원의 능동적이고 상세한 계획제도의 도입이다. 그러나 현재 이 지구단위계획의 운용에 있어서는 여러 집단의 의견이 분분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비추어 3회에 걸쳐 지구단위계획에 있어서의 현황과 전망, 계획차원에서 그리고 건축설계에 있어서의 지구단위계획의 전반적인 것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 PDF

요가치료 문헌 고찰을 통해 본 현황과 발전 방향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a Review of Yoga Therapy Literature)

  • 정연희;이거룡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8-78
    • /
    • 2022
  • 배경: 통합의학의 관점에서 새로운 요가치료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요가치료 임상연구의 현황을 과학적 범주로 분석하고, 요가치료의 내용과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방법: 자료수집은 RISS, NDSL, DBpia, e-article, KISS 등 전자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출판된 KCI 등재후보 이상 국내 학술 논문 530편을 선정하였고, PRISMA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최종 28편을 추출하였다. 결과: 질적인 측면에서는 CEBM 근거수준의 3b에 머물렀고, 양적인 측면에서도 전체 임상연구의 실험군이 288명이라는 점에서 요가치료의 국내 임상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요가치료의 내용은 80%가 아사나 동작에 중점으로 두는 운동치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요가치료에 있어서 통합의학적 관점의 8지요가 및 판차코샤 이론에 대한 이해와 실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즉, 요가치료는 개인의 정신적, 신체적 체질을 바탕으로 한 전인치유 요가와 아유르베다를 기반으로 하는 명상치료와 운동치료가 통합된 심신통합치료 프로그램으로의 발전이 요구된다.

u-City 도시통합운영 플랫폼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Enhancement of Integrated u-City Management Platform)

  • 고영근;서동섭;이재욱;서명우;백송훈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69-72
    • /
    • 2008
  • u-City 도시통합운영 플랫폼은 u-City 내 교통, 건물, 시설물 등의 첨단화된 기반 시설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체계적으로 통제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시통합운영 플랫폼에 인가되는 부하는 도시 전반에 분산된 센서와 같은 정보원의 규모뿐 아니라 그 정보의 복잡성에도 의존할 수 밖에 없어, 효율적인 도시운영을 위해서는 플랫폼의 성능확보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성능개선의 방법으로는 이미 발생한 부하의 효율적 처리를 통한 개선과 더불어 부하원의 근본적 통제와 같은 우회적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네트워크 구조 개선을 통한 부하분산 방법과 더불어 플랫폼의 주 부하원인 센서 네트워크와의 연동방식 개선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u-City 도시통합운영 플랫폼의 성능개선 방향을 고찰한다.

  • PDF

시장 진입순서 연구에 관한 통합적 접근: 향후 연구 방향 제안을 중심으로 (Order of Market Entry: A Conceptual Synthesis and Future Research)

  • 채서일;여준상;한계숙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5권4호
    • /
    • pp.1-30
    • /
    • 2003
  •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꾸준히 연구되고 있는 시장진입 순서의 효과에 관한 광범위한 문헌고찰을 통해 이제까지의 연구들을 유기적·인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통합적인 틀을 제시하고,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진입순서 연구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를 크게 선발이점 발생에 관한 연구, 후발이점 발생에 관한 연구, 진입순서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에 관한 연구, 진입순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에 관한 연구로 구분하고 각 부분별 문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도출하였다. 먼저, 기존 연구에서 선·후발 진입에 대한 정의와 기업이 속해있는 시장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그 효과가 매우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동시에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메커니즘도 사후적인 해석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 외에도 진입순서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에 관한 연구가 생산자 관점에서 주로 다루어져 실제로 제품을 소비하는 수요자의 특성을 감안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으며, 진입순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 자원기반 관점 요인과 시장·경쟁 요인뿐만 아니라 조직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고려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진입순서 외에도 후발기업의 진입시차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 PDF

노인복지분야의 통합적 케어와 사회복지사의 역할 (Integrated Care Setting for the Elderly and the Roles of Social Workers)

  • 윤경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41-45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대상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와 효과를 탐색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다학제팀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기술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신속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검색과 수기 검색을 단계적으로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대상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는 케이스매니지먼트, 개별케에플랜, 서비스 특성, 클라이언트 욕구중심, 환자교육, 자기관리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노인의 케어경험과 건강 및 경제적 측면에서, 결과가 혼합되어 있긴 하지만, 대조군에 비해 프로그램 참여노인에게 어느 정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통합적 케어 프로그램의 다학제팀에서 사회복지사는 케이스매니저, 케어매니저, 케어코디네이터, 그리고 직접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대상 통합적 케어를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과 정책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분노조절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Anger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s for Parents)

  • 김초롱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80-89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literature on anger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s for parents published over the last 10 years and to extract the key elements of the interventions through an integrative review. Method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stages following Whittemore and Knafl's integrative literature methodology. Key words in Korean and English were used to search the PubMed, MEDLINE, EMbase, CINAHL, RISS, KISS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databases. Several intervention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selected papers on the basis of the framework which was helpful to identify the intervention patterns and were classified into meaningful themes. Results: The extracted intervention factors from the final nine studies classified into four themes: 1) Modifying irrational beliefs through cognitive approaches, 2) Empowering parenting competencies through learning a parent's role, 3) Utilizing emotion management skills, and 4) Parent-child relationship improvement training based on self-reflection. Conclusion: Four main themes were drawn from the key components of the various interventions.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in practice, and further intervention development studies for parents using these findings should be conducted.

한국 간호대학생의 학습경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An integrative review of learning experiences for nursing students in Korea: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 홍수민;김상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1-122
    • /
    • 2020
  • Purpos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ursing education will change in a different way than b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on learning experiences for nursing student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nursing education geared to the needs of the future. Methods: An integrative review method was used. Based on Whittemore & Knafl's approach, five steps were applied. Results: Eleven papers met the selection criteria and had above average ratings in quality appraisals. Thre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learning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were derived: (1) overcoming difficultie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concentrating on problem-solving, (2) improving self-efficacy through experiencing achievement in the learning process, (3) establishing nursing professionalism, (4)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and self-reflected learning, and (5) developing teamwork. Conclusion: This review found that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were conducted for practical experience and learner-oriented learning. Nursing students overcame difficulties to achieve their learning outcomes, and developed their professionalism.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comprehensively explore research including other countries, and the experiences of instructors.

가족-보건교사 간 학교건강관리 파트너십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Regarding Family-School Nurse Partnership in School Health Care)

  • 엄주연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5-18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is an integrativ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conducted on family-school nurse partnership in school health care, as perceived by school nurses, children, and familie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ve stages of integrative review suggested by Whittemore and Knafl (2005), which involved problem identification, literature search, data evaluation, data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results. Suitable literature was found using portals such as PubMed, CINAHL, Embase, and Web of Science. Key words such as school nurses, family, parents, children, and partnership were used to narrow the search results. Studies published in peer-review journals between 2006-2018 were selected. The quality of studies was appraised using critical appraisal tools provided by the Joanna Briggs Institute (2020). Result: Thirteen studies (5 quantitative and 8 qualitative) were finalized for the final review process. After an extensive review, four key themes of school nurse-family partnership in school health care were identified: partnership components, partnership barriers, partnership facilitators, and strategies to promote partnership. Conclusion: Partnership and its components, barriers, and facilitators, along with strategies for its promotion should be considered in school health ca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on the perceptions held by parents and children regarding school health care partn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