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지정보 모델

Search Result 21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Digitizing of Terrain by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s (비정규삼각망 데이타구조에 의한 지형의 수치화)

  • Lee, Suck Chan;Kho, Young Ho;Lee, Chang Kyung;Choi, Byoung G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4 no.2
    • /
    • pp.325-334
    • /
    • 1994
  • Modern society is the age of a high state of information and demands more effective land information. Moreover, because the use of land in Korea is intensive, Korea requires more synthetic and systematic geographical information for which the digitizing of terrain is prerequisite. This study aims at development of the data structure which is suitable to the digitizing of terrain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Regular grid has been used generally in Digital Terrain Model(DTM), for it is easy to manipulate. But regular cannot reflect well the terrain surface features. In the meantime,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TIN) has complex data structure, but it can describe well terrain surface features and is useful in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paper the method which constructs effective DTM by improving TIN has been researched.

  • PD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enhancement using restortation of buildin shadow and occlusion (건물 그림자와 폐색 보정을 통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분류정확도 향상)

  • Kim, Hye-Jin;Han, You-Kyung;Choi, Jae-Wan;Kim, Yong-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13-17
    • /
    • 2009
  •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분류 기술은 최근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 텍스쳐(texture), NDVI, PCA 영상 등 다양한 전처리 정보들을 추출하고 이를 멀티스펙트럴 밴드와 조합하여 분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 건물의 그림자와 옆벽면의 폐색 지역은 개체 추출 및 분류를 방해하는 주된 요인이 되며, 다양한 형태와 분광특성을 갖는 개개의 건물은 자동 분류 과정을 통해 제대로 식별되지 않는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OMPSAT-2 단영상으로부터 효율적으로 건물 정보 및 토지피복을 분류하기 위하여, 추출된 건물 정보를 바탕으로 건물의 그림자와 폐색지역을 보정한 후 비건물 지역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여 분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우선 삼각벡터구조 기반의 반자동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건물의 3차원 모델 및 그림자 영역을 추출하고 이로부터 추출된 그림자 영역을 효과적으로 보정하기 위해 반복 선형회귀 연산을 이용한 그림자 보정을 수행한 후 inpainting 기법을 건물 폐색영역 복원에 적용하여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심 지역의 영상 분석에 있어 가장 큰 오차를 일으키는 인공물의 그림자와 폐색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한 후 분류에 적용하여 이를 보정 전 영상을 이용한 분류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adastral Parcel Data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에 있어서 지적필지 Data에 관한 연구)

  • Yeon, Sang-Ho;Cha, Dek-Ki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 no.2 s.2
    • /
    • pp.97-104
    • /
    • 1993
  • The Cadastre assum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of GIS has the highest priority in GIS model and Organization of the Cadasual embraces the modern methods of gaining and collecting geometric type cadastral data concerning on the land and it's ownership. Geneally, the measurement of the topologigraphic map offers great convenience for the architects to device. But the graphic precision of the value from the map is too low for many users, the large scale digital map as well as cadastral map can solve these problems. So it is necessary to get the coordinates of the characteristic points and the graphic information. In this paper, for calculating the point of measured element such as distance, and it's adjustment. This paper dicusses the methodes also, the combination of GIS data and Cadastral data and the geo-reference system, topology, data system, data modeling and so on.

  • PDF

Simulation of soil moisture on Youngdam Dam basin using K-DRUM (K-DRUM 모형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의 토양수분 변화 모의)

  • Hur, Young Teck;Lim, Kwang Suop;Park, Jin Hyeog;Park, Gu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81-281
    • /
    • 2016
  •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학적 자연재해로부터 대비하고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유역의 다양한 수문 요소들에 대한 분석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계절적 강수량의 편차가 큰 우리나라는 유역 통합 물관리가 중요하며, 효율적 수자원 관리와 물안보 확보를 위해 유역내 물순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역의 유출을 결정하는 요소들에는 강우, 증발산량, 토양 수분 및 지하수 등이 있으며, 시간적으로는 홍수와 같이 단기에 발생하는 유출과 장기적으로 발생하는 유출이 있다. 장기 유출은 단기 유출에 비해 토양내 수분량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1년 이상의 장기 유출 해석을 위해서는 강우가 발생하지 않는 기간 동안의 토양 수분량 변화와 증발산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K-water에서 자체 개발된 분포형 장단기유출 모델인 K-DRUM은 유역을 격자(grid)단위로 구분하고 각 셀들에 대한 매개변수는 흐름방향도, 표고분포도, 토지이용도, 토지피복도 등을 GIS처리하여 일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개변수 산정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경험적인 요인을 제거하였다. 흐름의 구분은 얕은면 흐름, 지표하 흐름, 지하수 흐름으로 구분하여 운동파법과 선형저류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초기 토양함수 자동보정기법으로 실제의 기저유출량을 재현하여 전체적인 유출모의 정확도를 높였으며, FAO-56 Penman-Monteith법을 적용한 증발산량 산정모듈과 Sugawara et al.(1984)이 제안한 개념적 융설 및 적설모듈을 추가하였다. K-DRUM모형을 이용한 유출분석은 용담댐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2013년도 1년간의 유출모의를 수행하였다. 입력자료는 용담댐 유역의 지형, 토양 및 토지특성 정보와 시단위 강우 및 기상정보(온도, 바람, 일사 등)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총 관측유출량은 7,151 ㎥/s이고 총 계산유출량 $8,257m^3/s$이며, 관측유출량 대비 계산유출량은 약 115% 정도로 나타났다. 연간 총 강우량은 1303.5 mm로 유역면적 약 $930km^2$을 적용하여 유역 총 강우량을 산정하면 $14,030m^3/s$로서 관측유출량은 유역 총 강우량 대비 51%이고 계산유출량은 59% 정도로 나타났다. 즉 유역 유출율은 약 51% 수준으로 보통의 유역과 유사한 수준이다. 관측된 토양수분량과 K-DRUM 모형의 계산된 토양수분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관측 토양수분량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모의결과 토양수분은 강우에 의해 변화하며, 관측결과와 유사한 형태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Feasibility Study on Soil Moisture Retrieval using GNSS Reflected Signal (GNSS 반사신호를 이용한 토양수분 산출 가능성 연구)

  • Sin, Dae-Yun;Dinesh, Manandhar;Ryosuke, Shibasa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80-80
    • /
    • 2016
  • GPS로 대표되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은 지구 주위를 돌면서 연속적으로 항법신호를 보내고 있다. 그 중 지구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항법신호를 수신하고 해석함으로써 지구표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가 있다. GPS로 대표되는 항법신호는 L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토양수분의 변화 등에 대한 반사강도의 감도가 비교적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토양수분 측정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량화, 소형화하기 쉬운 점, 능동적 마이크로웨이브 리모트센싱시스템(Active Microwave Remote Sensing System)과 달리 스스로 신호를 발사하지 않기 때문에 관측의 스텔스성(Stealth)dl 뛰어난 점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향후 10년 이내에 준천정위성(QZSS), Galileo, COMPAS, IRNSS 등 많은 위성항법시스템이 본격 운용되어 GPS와 함께 120기 정도의 항법위성이 항법신호를 송신할 예정이므로 이용 가능성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항법위성을 이용한 바이스테이틱 리모트센싱은 반사파의 강도가 상당히 미약하기 때문에 정량적 계측모델의 구축은 미미한 상태이다. 즉, 지상 타워에서의 관측, 항공기에서의 관측, 소형 위성에서의 관측 등이 수행되고 있으나, 타워관측과 같이 지상의 거의 동일한 장소를 계속적으로 관측하는 경우를 제외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토지의 피복상황이나 토양수분 등의 상관관계를 제시하는 수준으로써 정량적인 계측방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GPS위성으로부터의 항법신호를 이용하여 지구표면에 관한 정보를 얻는 바이스테이틱 리모트센싱(Bi-static Remote Sensing) 기술을 바탕으로 육지면과 해면의 판별에 신호특성이 어떻게 유효한가를 실험적으로 밝혔다. 이러한 기술은 토양수분 측정 등 수자 원인자를 추출하는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수면의 고도 측정, 해상풍 산출 등에도 응용 가능하다.

  • PDF

Application of Inference Models for Estimating Parameters of a Catchment Modelling System (추론모델을 통한 강우-유출모형 매개변수의 간접추정법 적용)

  • Choi, Kyung-S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4
    • /
    • pp.587-596
    • /
    • 2003
  • Application of a catchment modelling system requires recorded information to ascertain the reli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predicted flow conditions. Where this recorded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reliable and robust predictions must be obtained from other available information sources. The alternative approach presented in this paper used inference models for getting this necessary information that is required to calibrate and validate the catchment modelling system for both an ungauged and a gauged catchments. In this study, inference models were developed for determination of control parameters of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mainly based on landuse component of the catchment, which is a major factor to impact on quantity and quality of catchment runoff. Results from the study show that the new approach for determination of the spatially variable control parameters produced more accurate estimates than a traditional approach. Also, the number of control parameters estimated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as the proposed method only requires determination of control parameters associated with each land use of the catchment while a traditional approach needs to assign a number of control parameters for a number of subcatchment.

Evaluation of GIS-based Soil Erosion Amount with Turbid Water Data (탁수자료를 이용한 GIS 기반의 토사유실량 평가)

  • Lee, Geun-Sang;Cho, Gi-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4 s.31
    • /
    • pp.75-81
    • /
    • 2004
  • Because geological types and land cover conditions of Imha basin have a very weak characteristics to soil erosion, most soil particles (low into river and bring about high density turbidity in Imha reservoir when it rains a lot. This study used GIS-based RUSLE model and analyzed soil erosion to make basic data for the countermeasures of turbidity reduction in Imha reservoir. Total soil erosion amounts was evaluated as 5,782,829 ton/yr using rainfall data(2003) and especially Dongbu-basin was extracted as most source area or soil erosion among Imha sub-basin. Also it was evaluated that soil erosion amount by RUSLE model was suitable by applying turbidity survey data.

  • PDF

Spatio-temporal Analysis of Forest Change using Spatial Information : A case study of Heongseong and Wonju (공간정보를 활용한 산림 변화 시공간분석: 횡성과 원주를 사례로)

  • Oh, Yi Kyun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8 no.2
    • /
    • pp.21-30
    • /
    • 2018
  • The spatial information recently observed by various sensors and platforms has been provided by national portal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database over a number of time periods, with easy access to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national territory space according to time. This study is intend to analyze forest changes based on a case of some areas in Heongseong and Wonju using the various spatial information observed in many ways, such as aerial photographs, ortho photos, digital topographical maps, DEM and DSM. DSM created by the airborne lidar and the aerial photos was able to analyze forest change areas more effectively than DEM of topographical maps. Also, forest management and analysis could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s using spatial information.

Development of Tree Detection Methods for Estimating LULUCF Settlement Greenhouse Gas Inventories Using Vegetation Indices (식생지수를 활용한 LULUCF 정주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을 위한 수목탐지 방법 개발)

  • Joon-Woo Lee;Yu-Han Han;Jeong-Taek Lee;Jin-Hyuk Park;Geun-Han Ki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6_3
    • /
    • pp.1721-1730
    • /
    • 2023
  • As awareness of the problem of global warming emerges around the world, the role of carbon sinks in settlement is increasingly emphasized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urban areas. In order to manage carbon sinks in settlemen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arbon sinks. Identifying the status of carbon sinks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and a corresponding budget. Therefore, in this study, a map predicting the location of trees was created using already established tree location information and Sentinel-2 satellite images targeting Seoul. To this end, after constructing a tree presence/absence dataset, structured data was generated using 16 types of vegetation indices information constructed from satellite images. After learning this by applying the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oost) model, a tree prediction map was created. Afterward,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as investigated in model learning using the Shapely value of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SHAP).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maps produced for local parts of Seoul and sub-categorized land cover maps. In the case of the tree prediction model produce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ven hard-to-detect street trees around the main street were predicted as trees.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Using Ensemble FR and LR models at the Inje Area, Korea (FR과 LR 앙상블 모형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지도 제작 및 검증)

  • Kim, Jin Soo;Park, So 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5 no.1
    • /
    • pp.19-27
    • /
    • 2017
  • This research was aimed to analyze landslide susceptibility and compare the prediction accuracy using ensemble frequency ratio (FR) and logistic regression at the Inje area, Korea. The landslide locations were identified with the before and after aerial photographs of landslide occurrence that were randomly selected for training (70%) and validation (30%). The total twelve landslide-related factors were elevation, slope, aspect, distance to drainage, topographic wetness index, stream power index, soil texture, soil sickness, timber age, timber diameter, timber density, and timber type.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landslide occurrence and landslide-related factors was analyzed using FR and ensemble model. The produced LSI maps were validated and compared using relative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cur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produced ensemble LSI map was about 2% higher than FR LSI map. The LSI map produced in this research could be used to establish land use planning and mitigate the damages caused by dis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