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 성질

Search Result 40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hanges of 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Soils after Forest Fires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s (침엽수와 활엽수 산림에서 산불 후 토양화학적 및 토양미생물학적 특성 변화)

  • Kim, Jong-Gap;O, Gi-Cheo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4 no.1
    • /
    • pp.1-7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covery of forest ecosystem by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soil microorganism at the burned areas of coniferous (Mt. Chocdae) and broad leaved forest (Samsinbong in Mt. Chiri). I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the burned area of Samsinbong, pH was 5.8, and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₂O/sub 5/, exchangeable K/sup +/, exchangeable Ca/sup ++/ and exchangeable Mg/sup ++/ were 7.42%, 0.73%, 28.5 ㎎/㎏, 1.3 me/100g, 13.3 me/100g and 2.2 me/100g, respectively. But they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time. I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the burned area of Mt. Chocdae, pH was 5.3, and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2O5, exchangeable K/sup +/, exchangeabe Ca/sup ++/ and Exchangeable Mg/sup ++/ were 6.42%, 0.25%, 24.4 ㎎/㎏, 0.7 me/100g, 3.7 me/100g and 2.1 me/100g, respectively, and they also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time. In contrast, they were not changed with time at the unburned areas. At the burned area of Samsinbong, soil microorganism showed to order of fungi (69×10⁴ CFU), actinomycetes (523×10⁴ CFU) and aerobic bacteria (291×10⁴ CFU), and at the unburned area, showed to order of actinomycetes (745×10⁴ CFU), fungi (594×10⁴ CFUU), and aerobic bacteria (160×10/sup 4/ CFU). At the burned area of Mt. Chocdae, soil microorganism showed to order of fungi (676×10⁴ CFU), actinomycetes (434×10⁴ CFU) and aerobic bacteria (350×10⁴ CFU), and at the unburned area, showed to order of fungi (461 ×10⁴ CFU), aerobic bacteria (328×10⁴ CFU) and actinomycetes (319×10⁴ CFU). Soil microorganisms of the aerobic bacteria, actinomycetes and fungi appeared at the burned areas were much more abundant than unburned areas. The aerobic bacteria appeared at the coniferous forest were also much more than the broad-leaved forest. The actinomycetes and fungi appeared at the broad-leaved forest were much more abundant than the coniferous forest.

  • PDF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kgo biloba L. Seedlings and on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ed Soil -III. Effects on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ed Soil-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은행(銀杏)나무 Ginkgo biloba L. 유묘(幼苗)의 생장(生長),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및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III.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 Kim, Gab Tae;Lee, Don K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7 no.1
    • /
    • pp.43-52
    • /
    • 1988
  • One-year-old seedlings of Ginkgo biloba were treated with various simulated acid rains(pH 2.0, pH 3.0, pH 9.0 and pH 5.0)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ed soil. The seedlings were grown in a pot($4500cm^3$)containing one of three different soils(nursery soil, mixed soil and sandy soil). Simulated acid rain was made by diluting sulfuric and nitric acid solution($H^1SO^4$ : $HNO^3$ =3 : 1, V/V) with tap water and tap water(pH 6.4), and treated by 5mm each time for three minutes during the growing seasons(April to October 1985). Acid rain treatments were done three times per week to potted seedlings by spraying the solutions. The chemical properties of potting media were compared among three soil types as well as among the various pH level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Exchangeable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and base saturation of the soil decreased with decreasing pH levels of acid rain, and their decreasing rates were as follows : sandy soil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ixed and nursery soils, However, exchangeable aluminum content rather increased as the pH levels decreased. 2. Available phosphate in the soil decreased as the pH levels of acid rain decreased. Its content increased in nursery soil, compared with those before acid gain treatment, Gut decreased in mined and sandy soils. 3. Soil sulfate and nitrate contents increased remarkably as the pH levels decreased, and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lfate was found among the pH levels. Soil sulfate content was the highest in nursery soil, followed by mixed and sandy soils.

  • PDF

세포능식촉진인자(MPF)의 특이적 억제제 생산 토양균주의 검색 및 억제제의 분리와 특성 규명에 관한 연구

  • 박희동;박상곤;이승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58-258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토양균이 생성하는 2차 대사산물로부터 세포증식 촉진인자 (Maturation Promoting Factor. MPF)인 cdc2/cdk2-cyclin의 복합체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을 분리하고 그 물질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토양으로부터 순수분리된 300여개의 토양균에서 생성된 배양액을 취하여 MPF의 특이적인 기질인 합성 peptide (CSH103 :HATPPKKKRK)를 사용하여 인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중 MPF 활성 억제능이 90% 이상인 19개의 균주를 1차적으로 선정한 후 각각에 대하여 열/pH에 대한 안정성, 각종 용매에 대한 추출성 등 이화학적 성질을 규명하였으며 이중 균주 LPL 931로부터 MPF 활성 억제제를 분리하고자 하였다. 예비실험의 결과로부터 토양균 LPL 931을 대량배양하여 열처리하고, 비이온성 수지인Amberlite XAD-2에 결합시키고 70% acetone으로 용출시켰다. 이 추출물로부터 ethylacetate와 n-butanol을 사용하여 MPF 억제 활성물질을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취 TLC, 분취 HPL를 하여 MPF 활성 억제 분획을 분리하였다.

  • PDF

Nutrient Environment of Japanese Cedar(Cryptomeria japonica) -I.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Grasslands Afforestation (제주도(濟州道)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조림지(造林地)의 영양환경(營養環境)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원야조림(原野造林)에 의한 토양성질(土壤性質)의 변화(變化))

  • Jin, Hyun-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4 no.3
    • /
    • pp.177-182
    • /
    • 199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s of grassland afforestation on some chemical properties of the Japanese ceder(Cryptomeria japonica) forest soil in Cheju Isl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 1. T-C, T-N, exch. cations and base saturation in the surface soil(0~10cm) decreased sharply from planting to crown closure. However, after crown closure, exch. Ca and Mg increased considerabl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definit changes below surface soil. 2. In vertical distribution of chemical properties, T-C, T-N, exchangeable acidity and exch. cations decreased with soil depth. Especially, exch. Ca and Mg of surface soil in closed stand show a higher value than that in open stand, but there were no variation below surface soil. 3. In closed stand, the amounts of exch. Ca, Mg and K were 1.8 times, 1.6 times and 1.5 times greater than those in open st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pen and closed stand in T-C and T-N. 4. The ratios of the amounts of nutrients in surface soil to those in mineral horizons(ha, 50cm) between the open and closed stand showed 30% and 50% for exch. Ca, 30% and 40% for exch. Mg, 38% and 38% for exch. K, respectively.

  • PDF

A Study of Contaminant Removal for Pore-Water Collection (토양 간극수의 효율적 포집을 위한 오염물질 제거에 관한 연구)

  • 이성백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4 no.1
    • /
    • pp.69-73
    • /
    • 1999
  • The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limination capacity of impurity on the fiberglass wicks to exert a suction of Passive capillary samplers (PCAPS) on soil water. This impurity affects the capillary properties of the wick and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samples collected. To determine the need, capillary rise and moisture contents were measured after the wicks were cleaned by four methods : combustion, acetone extraction, detergent washing, and uncleaning. The wicks were made with fibers produced by PPG Industries and Manville Company, U.S.A. Results showed that wicks made from PPG fibers lost up to 3.4% of original mass during combustion while Manville fiber wicks lost only up to 0.6%. These losses are assumed to have been due to combustion of organic compounds applied by the manufacturers. All cleaning methods had higher capillary rise than obtained with uncleaning method Combustion at 40$0^{\circ}C$ for 4 hours was the best cleaning method. removing 98 to 100% of impurities.

  • PDF

Effects of Salty Irrigation Water on Soil Properties and Crop Yields (염분 관개용수가 토양의 성질과 작물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 ;Hanks, R. J.;Willardson, L.S.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29 no.4
    • /
    • pp.106-116
    • /
    • 1987
  • 미국 Utah주의 huntington 화력발전소에서 냉각수를 사용하고 버리는 염분농도가 4mmhos/cm 정도로 높아 자연하천으로 그대로 방류 시킬 수 없으며, 미 환경법에 따라 안전처리후 방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염분발생 처리방법의 하나로 보리, 밀, 옥수수, 감자 그리고 알팔파등 사료작물의 관개용수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장기간 시험연구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이 방법이 경제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이 염분폐수로 인한 토양의 성질변화 작용의 생산량 감소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1977년에 시작하여 8년 연속 연구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난 8년간(1977~1984년)의 관측.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염분 관개용수가 장기적으로 생산량 추정과 계획예측을 위한 자발성과 토양수분변화를 추정할 수 있는 모형에 의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EC 4mmhos/cm의 염분 관개용수로 8년간 장기간 추출한 결과, 추출용수의 양에 관계내 염분축적은 예상보다 서서히 진행되었으며, 이 염분축적이 작물의 생산량 감소의 주원인은 아니었다. 2. 지난 2년간의 관측 결과, 염분 관개용수에 함유된 10ppm정도의 요소가 작물 특히 보리, 옥수수, 감자등의 생산량 감소의 주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염분용수 진개구에는 하천수 보다 20배가 많은 요소가 축적돼 있었으며, 이는 요소가 토양내에 잘 침투되며, 토양으로 부터 요소를 용달시키려는 염분을 용달시킬 때 보다 후러씬 더 많은 용달용수를 필요로함을 뜻한 작물들의 면요소성을 구명하기위한 모형개발이 요구된다. 3. 염분관개용수로 관개할 때 보리, 옥수수, 감자등의 작물 생산량과 풍작물 생산량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보리, 옥수수의 염분용수에 의한 생산량과 하천수에 의한 생산량과의 비는 풍건물의 경우 0.6, 매물의 경우 0.5였으며 감자의 경우는 0.2이하였다. 4. 염분용수 관개구와 하천수 관개구의 모든작물에서 풍건물 생산량과 축배량 사이에는 강한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다. 보리, 감자의 작물 생산량과 축배량사이에도 선형의 관계가 성립되었으나, 밀과 옥수수의 매물 생산량과 축배량사이에는 곡선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Spatial Distribution of Nutrients from Sea Water and Aeolian Sands in Coastal Dunefield, Sindu-ri, Korea (해수와 해빈 모래 기원 영양소의 공간적 분포 - 신두리 해안사구 지대를 대상으로 -)

  • 김대현;박수진;유근배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36-36
    • /
    • 2004
  • 전통적으로, 토양은 식생의 분포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로서, 생태 시스템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서는 토양의 성질과 그 공간적 분포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알려져 왔다. 특히, 기질(substrate)이 사질 입자로 구성된 해안사구 생태 시스템은 영양소의 자체적인 생산이 충분하지 못하므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영양소가 식생의 진입과 서식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중략)

  • PDF

지반환경 연구 및 기술동향

  • 지반환경기술위원회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a
    • /
    • pp.396-409
    • /
    • 2004
  • 토양, 땅, 토지, 지반은 지구를 구성하고 지구상에 존재하는 인간 및 생명체의 생활터전이 되며 각종 시설물의 지지체 역할을 한다. 현대의 도시화 및 산업화 속에서 인간은 흙 및 토지에 대한 향수가 더욱 커져가고 있다. 이들 지반의 성질과 상태는 지금까지 자연의 조화에 의하여 균형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산업혁명이후 인구의 도시집중 및 산업화에 의하여 지반 내에 폐기물 및 오염물질이 축적됨에 따라 토양은 자정 및 복원능력을 상실하고 이로 인한 환경문제는 심화되고 있다.(중략)

  • PDF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s on Soil Properties and the Development of Chinese Cabbage (Braccica campestris) in the Alpine Regions of Korea (강원도 고랭지 채소 재배지에 시비한 유기물이 토양과 배추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Kim, Su-Jung;Yang, Jae-E.;Shin, Young-Oh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15 no.1
    • /
    • pp.85-91
    • /
    • 2007
  • 광범위하게 집중적으로 채소 재배에 이용되고 있는 강원도 태백산맥 지역의 고랭지를 대상으로 유기물 시용이 토양의 비옥도를 비롯한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또한 이런 조건에서 재배되는 배추의 생장과 수확량, 그리고 품질을 평가했다. 토양에 첨가한 많은 양의 돈분과 톱밥, 계분과 톱밥, 계분, 퇴비 등의 유기물질과 화학비료가 토양 유기물 함량에는 결과적으로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토양의 pH에도 마찬가지로 별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K와 함께 Fe와 Mn의 함량은 감소한 반면 Ca와 Mg의 함량은 증가했으며 특히 유효 $P_2O_5$는 대단히 많은 양이 축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배추의 양분함량을 내엽과 외엽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외엽의 영양소 함량이 내엽보다 많았으며 토양에 첨가한 유기물질의 종류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수확량에도 첨가한 유기물질의 종류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게 하지 않았으며 병충해에 의한 피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