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

Search Result 17,239,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Integration of GIS with USLE in Assessment of Soil Erosion and Non point source load (토양 침식량과 비점오염량을 산정하기 위한 GIS와 범용토양손실공식(USLE) 연계)

  • Kim, Byung Sik;Hong, Jun Bum;Kim, Hung Soo;Shim, Kyou Cnul;Seoh, Byung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713-718
    • /
    • 2004
  • 우리나라의 경우 재해영향평가 제도가 실시된 이후 모든 재해영향평가에서는 토양침식량을 산정하고 있다. 유역에서 토양침식량을 산정하기 위한 많은 모형들이 있지만, 분포형 모형들은 토양침식의 산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구한다. 그래서, 가장 널리 실무에서 쓰이고 있는 모형은 범용토양침식공식(USLE, Universal Soil Equation)이다. USLE은 연 토양 침식량 산정을 위한 경험공식으로, 토양침식은 강우강도, 토양의 종류, 토지 피복과 토지이용, 사면경사와 경사길이, 그리고 토양보전을 위한 시설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모든 변수들은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수들을 추정하기 위해 지형정보시스템(GIS)을 사용하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변수들을 산정 할 수 있다. 또한, 유역에 내리는 강우는 토양침식뿐만 아니라 유기물의 흡착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유출을 발생시킨다. 침식토에 흡착된 유기물의 양은 부유의 개념을 도입하여 산정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형정보시스템(GIS)과 범용토양손실 공식을 연계하여 태풍루사의 강우에 의한 보청천 유역에서의 토양 침식량과 그와 함께 유출되는 유기질소(Organic N)의 양을 산정 하였다.

  • PDF

Diagnosis and of Improvement of Brined Drainage Problems on Fairway Soil (페어웨이 지반 토양의 배수불량 원인분석과 개선방안)

  • Lee, Jung-Ho;Lee, Jong-Min;Joo, Young-Kyoo
    • Proceedings of the Turfgras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2a
    • /
    • pp.11-21
    • /
    • 2011
  • 경기도 여주군의 R골프장에서 페어웨이 건설 시 토양조사 및 적절한 토양개량이 실시되지 않아 배수불량지역의 발생한 것으로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원인 분석결과 토양 경화로 인한 토양 물리성이 악화되어 있어, 투수에 의한 토양 하부층으로의 배수능력이 저조하여 배수 불량의 직접 원인이 되었다. 또 재배 지역의 토양과 이식 지역의 토성이 달라 이식 후 토양에 이질층이 형성되어 수분의 하층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배수 불량의 원인되고 잔디의 생육이 나빠지게 되었다. 배수불량의 결과로 인해 토양 내 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토양이 환원 상태가 되면서 혐기성 미생물의 생육이 증가하고, 메탄가스가 축적되고 악취를 유발시키며 토양의 공기순환이 자유롭지 못해 식재된 잔디의 뿌리 생장에 악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잔디 생육이 불량하게 되는 연쇄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골프장 운영 중 잔디 지반의 문제로 잔디 생육 불량을 초래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제거하기 위해 골프코스 건설시 모재 토양의 사전 조사 및 잔디 지반으로서의 적합성에 대하여 반드시 실험 분석하여야 하며, 건설 후 지반의 배수불량을 개선하기 위해서 배수구 설치, Sand capping, 잔디 보식, 토양개량재의 사용, 배토 등 경종적 관리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배수불량지역의 개선과 잔디생육 정상화를 시행하였다.

  • PD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Loss from Burnt Mountain (산불지역 유실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 Shin, Seung-Sook;Park, Sang-Deog;Kim, Seon-Jeong;Shin, Eun-Ju;Lee, Kyu-S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41-545
    • /
    • 2010
  • 식생이 소실된 산불 피해 지역에서 유실되는 토양의 식생회복에 따른 정량적인 변화를 파악하고, 사면토양과 유실토양의 성분분석을 수행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산불 이후 10개의 조사구에서 강우에 의해 유실토양의 양을 측정한 후 토양을 건조시켜 보관하였다. 토양의 입도분석, 유기물함량, 건조밀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전처리한 토양수는 ICP를 이용하여 Fe, Mn, P, Al, Zn, Na, Mg, K, Ca의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산불 이후 시간경과에 따른 조사구별 식생 회복은 빠른 지역과 느린 지역으로 크게 구분한다. 재생이 불량한 지역은 재생이 왕성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토양이 유실되었다. 사면토양의 성분분석 결과 재생불량 지역의 성분함량이 가장 작았으며, 재생왕성 지역은 비피해지에 비해 성분함량이 대체로 높았다. 유실토양의 성분분석 결과 식생회복이 느린 조사구에서 영양염류 함량이 대체로 낮았다. 그러나 식생회복이 느린 조사구에서 많은 양의 토양이 유실되기 때문에 정량적인 영양염류의 소실량은 가장 많았다. 따라서 지표식생이 없는 지역은 다량의 토양유실로 인해 다량의 영양염류가 소실되어 식생 재생을 더디게 만드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a land surface soil temperature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air temperature and vegetation (기온과 식생을 고려한 지표면 토양온도 예측 모형 개발)

  • Cho, Seon-Ju;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84-288
    • /
    • 2012
  • 토양온도는 기후변화, 지역기상모형, 수생태 영향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특히 기후는 토양의 분포와 성장, 그리고 소멸에 영향을 미치고, 식생은 증산과정에 의해 대기로 수분을 내보내는 과정을 통해 기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때, 지표면의 토양온도는 토양수분 및 식생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격자기반 일 지표면 토양온도 모형이 제안되며, 이를 이용하여 한반도 남동쪽에 위치한 낙동강 유역 내 안동댐 상류지역에 대한 지표면 토양온도가 모의된다. 제안된 모형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입력 자료는 일평균기온 및 관측 NDVI 자료이다. 전국 60개 지점에서 관측된 일 평균기온은 고도가 고려된 Krignig기법을 이용하여 격자별로 구축되며, NDVI 및 지표면 토양온도를 위한 위성자료는 적절한 전처리 과정을 거쳐 자료를 구축한다. 전반적으로 모의된 일 지표면 토양온도는 관측 자료를 잘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추가적으로 감쇠율을 적용하여 토양온도를 토양깊이에 따라 예측하는 방법이 제안되며, 토양깊이에 따라 토양온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형은 추후 하천수온예측 및 격자기반의 수문모형의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기후-토양-식생의 관계를 바탕으로 미래기후에 대한 물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impact of topography and soil property to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at a Forest Hillslope in the Cheong-Mi Catchment (청미천 산림사면에서의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지형 및 토성인자들의 영향)

  • Gwak, Yong Seok;Jang, Eun Se;Kim, Sa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72-472
    • /
    • 2015
  • 토양수분은 수문학에서의 물 순환을 비롯한 여러 다양한 자연과학적 분야에 중요한 인자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사면인 지형학적, 토양학적으로 복합적이고, 불균질한 작은 산지사면에서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지형, 토성인자의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토양수분은 TDR방식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안정적으로 측정이 되었으며, 각 영향인자들은 사면의 지형분석 및 토성분석을 실시하여 확보되었다. 지형인자는 습윤지수, 기여사면면적, 지역적 경사 그리고 토양깊이 인자이며, 토성은 모래, 실트, 점토함량, 가밀도 값을 이용하였다. 사면의 측정된 토양깊이별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변동에서의 각 인자와의 상관분석 및 다변량 분석을 통해, 각 영향인자들의 관련성 평가하였다. 사면 전체측정지점들의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와 영향인자의 상관분석을 통해서 토양수분의 결정에는 지형보다는 토성의 영향이 지배적으로 나타났지만, 모래함량이 높은 토성을 가진 측정지점들에 한해 분석한 결과에서는 지형의 영향은 증가하였고, 토성의 영향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토양깊이별 상관분석에서는 토양깊이 10cm의 각 인자와의 관련성이 30, 60cm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변화에 따른 각 인자와의 상관계수 변화는 토양수분이 약 28~32%정도의 포화되기 전의 습윤한 조건일 때, 각 인자들과의 상관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patial and Season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Responses along Transect Line on a Forest Hillslope in the Cheong-Mi Catchment (청미천 유역 내 산림사면에서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특성의 공간적 및 계절적 변동)

  • Gwak, Yong Seok;Kim, Sang Hyun;Lee, Jung Hun;Lee, Yeun Gil;Jung, Sung Won;Kim, Su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73-473
    • /
    • 2015
  • 토양수분은 수문학적 과정의 시공간적 변동과 수자원 관리 및 계획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원인규명에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의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의 분포 및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청미천 유역내의 사면에서 10개월 동안의 토양수분들을 측정하여, 토양깊이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토양수분특성은 간단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토양수분의 감쇄기울기 값으로 표현하였다. 추가적 연구로, 측정지점의 위치, 지형, 토성의 토양수분에 대한 반응분석을 하였다. 깊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는 지표층에서의 공간적 분포 경향과는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사면의 지형 및 위치 그리고 토성의 공간적 분포는 토양수분의 시 공간적 분포특징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부흐름의 기여를 받는 측정지점에서는 토양수분 변동의 안정화가 진행이 되는 것으로 보이며, 수문학적 경계(Hydrologic Threshold)에 대한 추가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부사면에서의 높은 토양수분 변동성 및 뷸 균질적인 공간적 분포는 우선적 흐름발달의 영향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initial condition in rainfall-runoff model using the Satellite-based soil moisture data (위성 토양수분 데이터 기반 강우-유출모형 초기조건 산정)

  • Choi, Minha;SunWoo, Woo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09-109
    • /
    • 2016
  • 유역의 물수지는 기상인자, 지형, 토양, 식생 등 여러 가지 인자들에 의해 결정된다. 물수지 분포를 평가하기 위해 수문모형의 모의 시 필요한 수문요소 조건들을 정보화하게 되며, 동시에 토양수분의 특성, 강우 입력자료,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들은 불확실성에 기인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수문모형 모의 시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 모형 초기조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선행이 필요하다. 특히 토양수분은 대기와 지표 사이의 상호작용에 작용하는 중요한 수문기상학적 인자로 평가되고 있다. 토양수분 데이터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유출모형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여 실제 토양수분의 변동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유역기반의 유출현황을 산정하기 위해 매우 유용한 초기조건으로 그 역할이 기대된다. 현장에서 관측하는 토양수분 데이터는 넓은 유역의 토양수분을 대표하는 자료로 사용되기에는 한계점이 있으며, 위성기반 토양수분 데이터는 원격탐사를 통해 획득되기 때문에 토양수분의 시 공간적인 변동성 파악에 용의하며 경제성 또한 높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수문순환 분석을 하고, 위성기반 토양수분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Aqua위성에 탑재된 Advanced Mircowave Scanning Radiometer Earth Observing System(AMSR-E)와 Metop-A의 Advanced SCATterometer(ASCAT)의 토양수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강우-유출모델의 초기조건을 산정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기존 강우인자 초기조건 및 지점에서 관측된 토양수분 초기조건 등을 비교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A Brief Review of Soil Systematics in Germany (독일 토양분류체계 소개)

  • Kim, Rog-Young;Sung, Jwa-Kyung;Kim, Seok-Cheol;Jang, Byoung-Choon;Sonn, Yeon-Kyu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3 no.1
    • /
    • pp.113-118
    • /
    • 2010
  • Due to diverse soil-forming environments and different purposes of the soil classification, numerous soil classification systems have been developed worldwide. The World Reference Base for Soil Resources (WRB) and the Soil Taxonomy of the United States are well-known in Korea. However, the German Soil Systematics based on somewhat different principles from the two former systems is little-know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herefore to give a short overview of the principles of the German Soil Systematics. The German Soil Systematics consists of a six-level hierarchical structure which comprises soil divisions, soil classes, soil types, soil subtypes, soil varieties, and soil subvarieties. Soils in Germany are firstly classified into one of four soil divisions according to the soil moist regime: terrestrial soils, semi-terrestrial soils, semi-subhydric/subhydric soils, and peats. Terrestrial soils are subdivided into 13 soil classes based on the stage of soil formation and the horizon differentiation. Semi-terrestrial soils are differentiated into four classes regarding the source of soil moist: groundwater, freshwater, saltwater, and seaside. Semi-subhydric/subhydric soils are subdivided into two classes: semi-subhydric and subhydric soils. Peats are classified into two classes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origins. Classes can be compared to orders of the U.S. Taxonomy. Classes are subdivided into 29 soil types with regard to soil forming-processes for terrestrial soils, into 17 types with regard to the soil formation for semi-terrestrial soils, into five types with regard to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for semi-subhydric/subhydric soils, and also into five types with regard to peat-forming processes for peats. The soil mapping units in Germany are types, which can be additionally subdivided into ca. 220 subtypes, several thousands of varieties and subvarieties using detailed nuances of morphologic features of soil profile. Soil types can be compared to great groups of the U.S. Taxonomy.

Quality of Korean Soil and It's Prospection Influenced with Heavy Metals and Arsenic Analyzed with Soil Pollution Indices (토양오염지표에 의한 국내 토양의 중금속과 비소 오염도 및 향후 전망)

  • 박용하;윤정호;이승희;김강석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1 no.1
    • /
    • pp.55-65
    • /
    • 1996
  • Soil quality of most of Soil Network area was estimated healthy by employing Soil Pollution Indices (Soil Pollution Score and Soil Pollution Class). However, 1.5∼3.7% of the total Soil Network area was determined Soil Pollution Class (SPC) 4 which may need cleanup process due to slight or heavy pollution with arsenics and heavy metals. Numbers of the SPC 4 sites were 9, 47, 19, 17, and 17 in 1987, 1989, 1991, 1993, and 1994, respectively During 1987 and 1994, all of SPC 4 sites were identified agricultural land except one in 1994. Soil Pollution Scores (SPSs) was determined high around smelters, metalliferous mines, and industrial sites among the 16 major soil pollution sources of the Soil Network. Also, most area of SPC 4 sites were densely populated in these area of the Soil Network. SPSs of Inchon and Taegu were high among the other major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Numbers of SPC 4 were high in the province of Kangwon, Kyongbuk, Kyongnam amongst. Cumulative numbers of SPC 4 multiplied by a weighting value 0.3 during 1987 and 1994 of the Soil Network were regressed to develop a model equation for prospecting the soil quality. The model equation was Y= 1.16+0.23x, where as Y is the number of Class 4 and x is the year. Resulting the area of SPC 4 were 4.8%, 6.0%, 6.6% of the Soil Network in the year of 2001, 2006, 2011, respectively Based on this results, the area of SPC 4 would increase 5, 7, and 10 times comparing the area polluted with heavy metals in 198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