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전염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97 seconds

고추 탄저병 역병 방제 "포인트"는 무엇인가?

  • 조의규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7 no.3
    • /
    • pp.92-96
    • /
    • 1986
  • 고추에 피해를 주고 있는 병으로 잎오갈병, 더뎅이병, 탄저병, 역병등 19종이 우리나라에 보고 되어 있다. 이러한 고추의 병해를 병원균별로 보면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등 바이러스가 5종, 더뎅이병균등 세균이 3종이 있으며 곰팡이는 역병균등 14종이 고추에 병을 일으키고 있다. 이와같은 고추병들이 고추에 피해를 주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고추를 이어짓기 하는 밭이나 비닐하우스에서 고추의 작황을 좌우하는 것은 대부분이 역병에 의한 피해이다. 역병의 피해는 물론 고추를 이어짓기함으로써 토양 전염되는 역병균의 전염원이 매년 증가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역병이 발생하기 쉬운 여름철에 장마가 겹치므로 물빠짐이 나빠지거나 침수가 되기 때문에 피해가 증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 PDF

Disease Survey in Melon, Watermelon, and Cucumber with Different Successive Cropping Periods Under Vinylhouse Conditions (연작연수에 따른 시설재배 참외, 수박 및 오이의 병해 발생 양상)

  • 박소득;권태영;임양숙;정기채;최부술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4
    • /
    • pp.428-431
    • /
    • 1996
  • 참외, 수박, 오이의 주요 시설재배단지인 경북 성주, 칠곡, 고령에서 1992년부터 3년간 이들의 주요 병해인 덩굴쪼김병, 덩굴마름병, 탄저병, 노균병, 흰가루병 및 잿빛무늬병의 연작수해에 따른 발생량을 조사하여 이들 병의 방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하였다. 토양전염성병균에 의한 병해인 덩굴쪼김병, 탄저병 및 참외와 수박의덩굴마름병은 연작해수가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발병율이 증가하였다. 덩굴쪼김병의 경우는 1∼3년과 10년 이상 지배지에서 참외 0.6%와 2.5%, 오이 0.3%와 4.2%, 수박 0.7%와 3.3%로 전체적으로 발병율이 낮아 연작에 따른 발병율의 차이가 작았으나, 덩굴마름병과 탄저병은 이 두재배지의 차이가 커 연작장해가 심하게 나타났다. 세 박과 식물중에 수박이 연작에 따른 병발생율 증가 폭이 다소 높았다. 토양전염성병이 아닌 참외와 오이의 노균병과 흰가루병, 오이의 잿빛 무늬병은 연작수해에 따른 병발생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이들 병해는 발생은 시설재배지의 재배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PDF

Survey of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s Resistance to Mosaic Viruses and Areas Infected with Soil-borne Barley Mosaic Viruses (토양전염성 맥류바이러스 발생지역 및 맥류품종의 저항성 조사)

  • 이귀재;김형무;이왕휴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4 no.3
    • /
    • pp.286-294
    • /
    • 2001
  • Soil-borne barley viruses were investigated in 42 regions during 1999-2003, in Korea. BaYMV, BaMMV and SbWMV symptoms were found in 37 regions. Crops resistance to mosaic viruses were investigated by growing them on 10 regions infected with soil-borne viruses. It was found that 10 unhulled barley, 6-beer bar]ey, 16 rye and 2 wheat species showed resistance to virus. Most of 15 Japanese cultivars showed infection symptoms but many of them showed relatively higher resistance in Ikasan, Youngkwang and Yesan areas region. Mixed virus infection was investigated and it was found that inter-regional species except in 10 areas, were mix infected with BaYMV and BaMMV. But in Youngkwang area all of crop species except Secheon-6 were infected only with BaYMV. Japanese cultivars were mixed infected with BaMMV and BaYMV except at Yesan that were infected only with BaYMV.

  • PDF

Development of a Selective Medium for Xanthomonas campestris pv. translucens (맥류 세균성줄무늬병균의 선택배양기 개발)

  • ;David C. Sands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4
    • /
    • pp.381-388
    • /
    • 1996
  • 맥류세균성 줄무늬병균의 선택배양기(KM-1)를 개발하여 이병식물체 및 토양으로부터 Xanthomonas campestris pv. translucens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KM-1배양기의 구성성분은 증류수 1 L당 lactose 10 g, D(+)trehalose 4.0 g, thiobarbituric acid 0.2 g, K\ulcornerHPO\ulcorner 및 KH\ulcornerPO\ulcorner 각각 0.8 g, yeast extract 30 mg, NH\ulcornerCl 1 g, cycloheximide 100 mg, tobramycin 8.0 mg, ampicillin 1.0 mg 및 Bacto agar 15 g이며 1 N NaOH로 pH 6.6으로 조절하였다. X. c. t.의 균주별 KM-1의 배양효율은 비선택성 농후배지인 Wilbrinks agar에 비하여 1.30정도였으며, 기타 토양전염성식물병원세균 Agrobacterium tumefaciens, Agrobacterium rhizogenes, Erwinia carotovora var. atroseptica, Erwinia carotovora var. carotovora, Corynebacterium insidiosum, 및 기타 토양생존 부생세균 Bacillus cereus, Pseudomonas aeruginosa, Pseudomonas fluorescens, and Pseudomonas putida 등의 생장을 완벽하게 억제하였다. KM-1의 저장기간(shelf-life)도 5$^{\circ}C$에서 2개월 동안 선택성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본 병원균의 전염원의 생존 등 발생생태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가치가 충분히 인정되었다.

  • PDF

Effects of Light on Reproduction of Gibberella zeae and Overwintering of Soil-Borne Conidia (밀붉은곰팡이병균의 분생포자 및 자낭각 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영향 및 토양에서의 분생포자월동)

  • Kim Hee Kyu;Chung Hoo Sup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11 no.1
    • /
    • pp.31-35
    • /
    • 1972
  • 1. Continuous light induced more conidia than alternating light and darkness treatment in isolate Chinju 1. Isolate Suwon 3 produced much more conidia on synthetic medium than Chinju 1 in light. Conidial formation in Suwon 3 increased remarkably with alternate light and darkness in 8 days incubation. 2. Light was essential for perithecial formation in Chinju 1. No matured perithecia were observed in Suwon 3 with any treatment. Abundant perithecia were produced in Chinju 1 but only perithecial initiation occurred in Suwon 3. Suwon 3 produced significantly more conidia than Chinju 1, while perithecial formation was reversed. 3. Conidial numbers in soil decreased significantly through the winter at 10, 30 and 50 per cent soil moisture, with the most striking decrease at 10 per cent levels, but the number recovered again beginning in March, regardless of the soil moisture. The above results provide us a useful clue to support the possbility the conidia may serve as a primary inoculum.

  • PDF

Establishment of Effective Cropping System to Reduce the Injuries by Continuous Cropping in Oriental Melon. (참외 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작부체계)

  • 박동금;권준국;이재한;최영하;김회태;이순구;한상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29
    • /
    • 2003
  • 시설참외 주산지에서는 연작함으로써 뿌리혹선충을 비롯한 각종 토양전염성 병해충의 피해가 많아지고 염류가 집적되는 등 재배상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참외를 장기재배하는 농가가 많은 성주 등 경북지역에서는 뿌리혹선충으로 인해 생육이 불량하고, 과실의 착과율이 떨어지는 등 피해가 발생되면 영양결핍증상으로 오인, 계속 추비를 시용함으로써 토양의 염류집적을 가중시키고 있다. (중략)

  • PDF

조경수에 발생되는 병해 - 두릅나무에 문제가 되는 토양 병해 역병 -

  • Lee, Sang-Hyeon
    • Landscaping Tree
    • /
    • s.109
    • /
    • pp.23-24
    • /
    • 2009
  • 두릅나무는 낙엽활엽수로 맛과 향이 독특하여 어린순은 나물, 찜, 튀김 등 식용으로 뿌리는 관절염, 위암, 당뇨병, 감기, 두통 등의 약용으로 쓰이는 봄철 대표적인 생물자원이며, 재배하기도 비교적 수월하고 재배를 통해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유망한 특용수종이다. 하지만 야생상태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재배면적이 늘어나고 집단적으로 재배하면서 역병 피해가 발생되어 두릅나무에 큰 장애 요인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역병은 토양전염성 병해로 약제 방제가 어렵고, 병이 발병되면 치료가 거의 불가능한 병해로 특히, 병이 발생되지 않도록 관리에 신경을 써야한다.

  • PDF

농업기술 - 장마철 약용작물 병해충 방제기술

  • Park, Cheol-Gyu
    • 농업기술회보
    • /
    • v.51 no.4
    • /
    • pp.28-29
    • /
    • 2014
  • 장마철 집중호우로 인해 배수불량 지대에서 작물이 장기간 침수되면 뿌리활력 저하로 인한 습해와 토양전염성병, 탄저병, 점무늬병 등 지상부 병해가 나타나다. 이번달에는 고품질 약용작물을 생산하기 위해 장마철 전 후 약용작물의 병해충 방제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