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발달

Search Result 49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ulture Conditions Affecting Spore Germination, Prothallus Propagation and Sporophyte Formation of Dryopteris nipponensis Koidz. (참지네고사리의 포자발아, 전엽체 및 포자체 번식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 조건)

  • Jang, Bo Kook;Cho, Ju Sung;Lee, Ki Cheol;Lee, Cheol Hee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4
    • /
    • pp.480-489
    • /
    • 2017
  • We investigated a suitable method for in vitro germination of spores, propagation of prothalli, and the formation of sporophytes in the fern Dryopteris nipponensis Koidz. Spore germination rate was relatively high regardless of culture medium. Prothallus development was faster in Knop medium than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a. Prothalli used in all experiments were obtained from germinated spores, and were cultivat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edia components. The active formation of sexual organs such as antheridium made 1MS medium suitable for prothallus propagation, although there was a lower propagation ratio compared to Knop medium. Growth and morphogenesis of prothalli were most effective on 1MS medium containing 2% sucrose, and 60 mM of total nitrogen source with 20:40 mM ratio of $NH_4{^+}:NO_3{^-}$. To select a suitable soil composition for sporophyte formation, ground prothalli were cultivated on single and mixed soils using bed soil, peat moss, perlite, and decomposed granite for 14 weeks. Bed soil promoted sporophyte formation and growth regardless of single or mixed use. In particular, a mixture of bed soil and decomposed granite in a 2:1 ratio (v:v) led to accelerated sporophyte formation ($0.83/cm^2$).

Improvement of Flood Forecasting System in the Nakdong River (낙동강홍수예보시스템 개선)

  • Yoon, Kwang-Seok;Lee, Min-Ho;Lee, B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06-810
    • /
    • 2005
  • 홍수로 인한 국민의 재산과 인명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요지점을 선정하여 홍수예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예보는 초기 강우법, 수위법 등의 단순한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나, 컴퓨터가 발달되면서 여러 형태의 홍수유출모형이 개발되어 현재에는 홍수유출모형을 이용한 홍수예보를 수행하고 있다. 낙동강홍수예보 시스템은 1987년 낙동강홍수통제소의 개소시 42개소의 수위관측소와 54개소의 우량관측소를 중심으로 43개 소유역을 구분하고 티센망을 구성하여 홍수예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홍수예보시스템이 구축된 후 여러 차례의 매개변수 개선과정을 거쳐 운용하고 있다. 반면, 지속적인 수문관측소의 증설이 이루어졌으나 이를 모형에 반영하지 않아 증설된 수위관측소를 반영하여 114개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추가된 우량관측소를 이용하여 티센망을 구성하였으며, 당초 반영되지 않았던 소규모댐을 모형에 추가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재고하였다. 증설된 수문관측소를 모형에 반영과 함께 우량자료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우량관측소의 확장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낙동강홍수예보 시스템의 소유역을 114개로 나누고 기존의 유효우량산정법, 유역유출모형 하도유출모형의 매개변수를 전통적인 방법으로 재산정하여 홍수기에 적용한 결과 당초의 홍수예보시스템으로 예측한 결과보다 소유역의 적절하게 재구성하는 것으로도 예측의 정밀도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유역의 수와 하도의 수가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오차를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지속적인 시스템의 운용을 통하여 모형구성을 개선함으로서 어느 정도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밖에 기존의 매개변수산정을 전통적인 방법에서 우리나라 하천 또는 낙동강유역의 하천에 적당한 방법을 개발하여 개선시킬 필요성이 있다.>$4.3\%$로 가장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총 유출량에서도 각각 $7.8\%,\;13.2\%$의 오차율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타 모형에 비해 실유량과의 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모의되었다. 향후 도시유출을 모의하는 데 가장 근사한 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며, 도시재해 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

  • PDF

Horizontal Gene Transfer among Bacteria by Transformation in Soil and Aquatic Environments (토양 및 수계환경에서 Transformation에 의한 세균들간의 수평적 유전물질 전이)

  • 이건형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18 no.2
    • /
    • pp.205-213
    • /
    • 2000
  • Laboratory studies have revealed that naturally transformable bacteria develop competence under in situ conditions. Thus, the occurrence of competent bacteria in the environment can be considered as a certainty The persistence of free DNA in natural habitats is influenced by nucleolytic degradation and protection from degradation by adsorption to minerals. Although DNA seeded into natural environment was hydrolysed at substantial rates, but was still detectable at low levels after even several weeks. Compared to the number of laboratory based studies, only a few data have been published dealing with transformation of bacteria in the field. Recently, the potential transfer of recombinant DNA (rDNA) from deliberately or accidentally released bacteria to indigenous microbes has raised biosafety issues, since the persistence of rDNA becomes independent of the survival of its original host and leads to unpredictable, long-term ecological effects. The aim of the present review is to summarise recent literature on horizontal gene transfer (HGT) by transformation among bacteria in both soil and aquatic habitat and special emphasis is placed on recent reports which have addressed HGT among bacteria in the field. [Transformation, Horizontal gene transfer (HGT), recombinant DNA (rDNA), Genetically modified microorganisms (GMMs), Biosafety]

  • PDF

이방성대수층에서의 투수량계수 텐서

  • 강철희;이대하;이철우;김용제;채병곤;우남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72-175
    • /
    • 2001
  • 이 연구에서는 5개의 시추공에 대한 양수시험을 실시하여 대수층의 수리학적 이방성과 지하수의 주 유동방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코아검층 및 초음파주사검층을 통해 각각의 공에 대한 균열방향을 결정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해본 결과 크게 세 방향의 균열군이 집중성을 보였다. 가장 빈도가 높은 균열의 방향은 N0$^{\circ}$~40$^{\circ}$E/30$^{\circ}$~50$^{\circ}$SE 그리고 N30$^{\circ}$~ 80 $^{\circ}$W/20$^{\circ}$~50$^{\circ}$ NE이 방향이 함께 나타났으며 두 번째 균열의 방향은 N0$^{\circ}$ ~50$^{\circ}$E/60$^{\circ}$ ~80$^{\circ}$NW로 나타났다. 세 번째 방향은 N30$^{\circ}$~50 $^{\circ}$W/70$^{\circ}$~80$^{\circ}$SW방향의 균열로 구성된다. 이처럼 지표하에서는 크게 세 방향의 균열이 다른 방향을 보이는 균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빈도를 가지며 발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수층이 이방성이고 균질하다는 가정하에 양수시험을 실시하여 각각의 공에 대한 최대 투수량계수 ( $T_{{\varepsilon}{\varepsilon}}$)와 최소 투수량계수 ( $T_{ηη}$)값을 산출하고 주 텐서방향 ($\theta$)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BH-1, BH-4, BH=5공을 제외한 BH-2, BH-3호공에서의 이방성 투수량계수텐서값은 이 논문의 가정인 대수층이 이방성이고 균질하다는 가정에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원형좌표계에 도시하였을 때 다른 공에 비해서 비균질성이 심한 결과로 인해 이방성타원체 에서 많이 벗어남을 보였다. 이로인해 3개의 공 BH-1, BH-4, BH-5호공을 사용하여 대수층의 이방성을 분석하여 보았다. BH-1호공에서의 $T_{{\varepsilon}{\varepsilon}}$는 171.90 $m^2$/day, $T_{ηη}$는 71.0l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l5.39$^{\circ}$ E로 나타났다. BH-4호공의 $T_{{\varepsilon}{\varepsilon}}$는 268.20 $m^2$/day, $T_{ηη}$는 28.75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7.55$^{\circ}$E이며 BH-5호공에서의 $T_{{\varepsilon}{\varepsilon}}$는 168.40 $m^2$/day, $T_{ηη}$는 66.80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76.59$^{\circ}$E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구지역에서의 각각의 공에 대한 투수량계수텐서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주 텐서방향도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 PDF

Studies on the Disease Development and Chemical Control of Tobacco Wild Fire (담배 야화병의 발생소장과 그 방제에 관한 연구)

  • Hou Il;Ban Yoo Su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9 no.2
    • /
    • pp.91-94
    • /
    • 1970
  • Tobacco wild fire caused by Pseudomonas tabaci(Wolf et Foster) Steve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s on tobacco plant in Korea.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1)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disease development, 2) the effect of chemical spray and soil sterilization on the disease development, and 3) the proper date for chemical sprays during the growing season. The appearance of wild fire on tobacco plant was somewhat proportional to temperature and moisture in atmosphere. The first occurrence of the disease was in late part of June when the temperature was $18\;to\;20^{\circ}C$. with $65\;to\;70^{\circ}C$ of relative humidity. The disease was, then, gradually increased during early part of July with the temperature of $22\;to\;26^{\circ}C$. and $85\;to\;86^{\circ}C$ of. relative humidity.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disease occurred after heavy rain or storm during July. Two to three times of Phytomycin sprays(1:300-350) during the epidemic season reduced $28.3\%$ of disease damage when compared with control plot. Soil sterilization with chloropicrin. 10 liter/10a, Prior to transplanting of seedlings reduced not only wild fro damage but also the other tobacco diseases on field. The study showed that the damage caused by tobacco wild fro could be reduced with the use of early varieties and/or 2 or 3 times of Phytomycin sprays during early part of June, and soil sterilization with chloropicrin prior to transplanting.

  • PDF

Evaluating the Trapping Efficiency of Vegetative Buffer Systems on Sediment Reduction Using SWAT model (SWAT 모델을 이용한 수변 완충지역에서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평가)

  • Kim, Ik-Jae;Son, Kyong-Ho;Kim, Jeo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19-1823
    • /
    • 2007
  • 유역에서 상류 유역 또는 수변을 따라 자연 자원을 이용하여 조성되어야 할 완충지대는 비점오염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최적 관리공법이다. 교란된 토지 피복과 수변 완충지대를 관리 및 복원할 때 같은 지형조건이라도 식생 종류, 발달정도, 토양조건에 따라 오염물 제거효과가 다를 수 있으며, 최소 완충지대 길이도 제거 오염물질 대상별로 적합하게 설계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용담댐 유역에서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식생 완충지대의 비점오염원 저감 모의 재현성을 평가하는 것이였다. 소유역의 관측값과 모델 예측값에 대한 모델의 검 보정이 선행되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높은 모델 효율을 가지는 소유역에서 three zone concept의 90m 수변완충지대를 지방하천을 경계로 하여 토지 피복도를 변화시켜 SWAT 모델에 적용하였다. 이 때 교목으로는 포플러 (Populus, 30m)을 적용하였고, 포플러의 높이 및 Leaf area index를 조정하여 관목 지대(30m)에 입력하였다. 잔디 지대(30m)는 자연초지를 선택하였다. 또한 지형변수(average slope)와 Manning's coefficient을 수변완충지대의 조건에 고려하여 변화를 주었고 이에 따른 유출량 및 유사량, T-N, T-P의 변화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5, 10, 30m의 식생 여과대를 밭 지역에만 적용하여 오염물의 저감 효율을 평가하였다. SWAT 모델은 각 소유역에서 발생된 전반적인 유출량과 수질변수의 추세를 잘 예측하였으며 정자천 소유역이 선택되었다. 모의된 완충지대에서는 연평균 940 m3/ha의 유출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유사농도는 28.7 %의 저감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T-N, T-P의 농도는 오히려 증가되었는데 본 연구에서 고려된 보다 수변완충지대를 조성할 때 지하수 수위, 식생 성장변화 등과 같은 보다 정확한 설계 인자 산출 및 모델 DB 개발이 유역모델에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한 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약제재의 변비약 수준으로 변비 개선 효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비의 개선이나 대장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유효성분의 보강 등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더불어 산화물질 해독에 관

  • PDF

Effects of Medium Components and Composition on Mass Propagation of Arachniodes aristata (G. Forst.) Tindale (가는쇠고사리의 대량번식에 미치는 배지구성물질과 배양토의 영향)

  • Cho, Ju Sung;Han, Ji Hyun;Lee, Cheol Hee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1
    • /
    • pp.131-14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 vitro mass propagation methods suitable for each growth stage of A. aristata (G. Forst.) Tindale, from spore germination to sporophyte formation. Among spores germinated in $1/8-1{\times}MS$ medium and Knop medium, Knop medium yielded the highest germination percentage (87.1%). We cultured prothalli obtained from germinating spores for 8 weeks on media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crose and active carbon, as well as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ratios of nitrogen, to select a suitable growth medium. A. aristata (G. Forst.) Tindale prothalli grew most actively in MS medium with 3% sucrose and 20 : 40 mM of $NH_4Cl$ and $KNO_3$ (total concentration of 60 mM). We investigated sporophyte formation according to soil type, finding that bedding soil mixed with perlite at a 2 : 1(v / v) ratio yielded the highest number of sporophytes per pot ($73.8/7.5{\times}7.5cm\;pot$). By contrast, when peat moss was used alone or mixed with other substrates, prothallus development and sporophyte formation were suppressed.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propagation method for A. aristata (G. Forst.) Tindale is to grow prothalli in MS medium and to induce sporophyte formation in a mixture of bedding soil and perlite (v / v = 2 : 1).

Effects of Pre-sowing Seed Soaking and Planting Depth on Dormancy Breaking and Seedling Emergence of Pearl Millet (Pennisetum americanum(L.) Leeke) (진주조의 파종전 침종 및 파종심도가 휴면타파와 출아에 미치는 영향)

  • Keun-Yong Park;Rae-Kyung Park;Byeong-Han Choi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4 no.1
    • /
    • pp.81-85
    • /
    • 1989
  • On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techniques of pearl millet (Pennisetum americanum (L.) Leeke) is to encourage rapid and uniform emergence of seedlings to establish good stand and to let them grow well. Thu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sowing seed soaking and planting depth on dormancy breaking, germination and emergence of the seedlings, and to estimate the optimum planting season of pearl millet in Suwon, Korea. The seeds with dormancy germinated 99 to 100 percent when soaked in the H$_2$O$_2$ 1% solution for 24 hours and rinsed with pure water, but germinated only 38% and 83% when soaked in pure water for 24 hours just after harvest and drying, and one month later from the harvest time, respectively. The seeds of Australia inbred line did not germinate at the constant 10$^{\circ}C$, but germinated at the constant 11$^{\circ}C$. It also was possible to estimate the optimum planting season by applying minimum temperature 11$^{\circ}C$ for germination. The minimum air temperature reached from late April in Suwon, Korea in regular years but fluctuated from late April to early May in 1986 and 1987. Thus, the safe planting season was mid-May for rapid and uniform germination of pearl millet seed. The optimum depth of planting was 2∼4cm under the optimum soil moisture condition, and 4 to 6 cm under the drier soil moisture condition. Subcoleoptile internode(mesocotyle) length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d depth of planting. Seedling crown placement also became deeper due to deeper planting of the seeds. The subcoleoptile internode length and seedling crown depth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tual planting depth, indicating that deeper planting would be not good for appropriate adventitious root and tiller development.

  • PDF

Influence of Drought on Leaf Growth and Water Potential in Tobacco (한발이 담배 잎의 생장과 수분 포텐셜에 미치는 영향)

  • 이상각;강병화;신주식;변주섭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2 no.5
    • /
    • pp.632-639
    • /
    • 1997
  • The experiment which imposed the water stress to tobacco(Nicotiana tabacum L.) plant was carried at the late of maximum growth period. In order to know the influence of drought stress on the growth and developmemt of tobacco leaves of different position and to elucid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plant to various soil water content, stomatal conductance, and leaf water potential were measured. The drought stress at the maximum growth period negatively affected to the overall growth characteristics of shoot. The response of the growth was small at the middle and the lower leaves, and great at the upper leaves. The relative water content of upper, middle, and lower leaves at the fifth day after treatment were 74, 64, and 59%, respectively, as soil water content was reduced by 4.3%. This suggested that the wilting point of tobacco leaf was about 75%. The leaf water potential was -0.58 MPa in control and dropped to -1.20 MPa at the fifth day after treatment. This indicated that wilting of leaf may occur at the condition in which the difference of water potential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well watered, was greater than about 20%. Stomatal conductance at the fifth day after treatment dropped from 12 mol /$\textrm{m}^2 sec^{-1}$ to 0.8 mol /$\textrm{m}^2 sec^{-1}$ in the middle and the upper leaves. Stomatal conductance of lower leaves already matured were not affected highly by drought stress at the maximum growth period, but maturing leaves, middle and upper leaves, were highly affected by limitation of soil water.

  • PDF

Effect of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on Rice and Tomato Growth (항생물질 발효 부산물이 수도 및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

  • Lim, Soo-Kil;Yang, Han-Chul;Kim, Sung-Bok;Kwon, Hyok-J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 no.1
    • /
    • pp.52-56
    • /
    • 1984
  •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wo kinds of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on rice and tomato growth, yield, yield components, and some indicators for plant growing status were checked including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se two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se two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contain high organic matter ($21.6{\sim}24.2%$), phosphorus ($2900{\sim}4600 ppm$) and exchangeable cations ($55.4{\sim}138.3 meq/100 g$,), showing their pH values of $7.0{\sim}8.0$ range. 2) Both have developed net positive charge rather high and stiffly that exhibits high negative ion adsorption capacities, accordingly showing higher zero point of charges($pH 7.0{\sim}8.0$) than those of common soils. 3) The effect of the two kinds of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on rice growth was more or less the same comparable to the effect of the other fertilizers applied, showing the maximum yield at the application rate of 40 ㎏/10a. 4) The effect of these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on tomato growth was also similar to effects on rice plant showing the yield increment upon fertilizer application including two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ertilizers. 5) According to the plant growing status, plant height, dry matter, number of effective tillers and grain number per panicle of rice and plant height and fresh weight of plant of tomato showed similar trend with yield of both pl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