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목 시설물

Search Result 31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uggestion of conjunctive operation approach for flood reduction in urban drainage system (도시침수 저감을 위한 내배수시설 연계운영방안 제시)

  • Lee, Eui Hoon;Lee, Jung Ho;Kim, Eung Seok;Jo, Deok Jun;Kim, Jo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5
    • /
    • 2016
  • 기후변화에 따른 수환경의 변화로 도시홍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증가하여 도시홍수에 대한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되는 상황이지만 국내에서는 도시 내배수 시스템의 선진화기술 구축 및 그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일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침수 저감도 어려운 실정이다. 도시지역에서의 내수침수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구조적, 비구조적 홍수방어 대책의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기존의 도시침수 저감 대책들은 유하시설의 용량 증설 및 통수능 확보를 초점으로 하는 구조적인 대책에 머물러 있으며, 유하시설 위주의 대책은 하류에서의 더 큰 홍수를 발생시킬 위험이 있다. 기존 내배수시설의 전체적인 확장은 막대한 예산과 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및 국지성 집중호우에 완벽하게 대응하기 곤란하므로 구조적인 대책과 더불어 집중호우에 대비할 수 있도록 각 시설물의 기능 및 경제성을 최대로 하며 방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구조적인 대책이 동시에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구조적인 대책 중 하나로 빗물펌프장 및 빗물저류조의 연계운영에 초점을 맞추었다. 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하여 빗물저류조의 추가저류공간을 확보하는 운영을 실시하고 빗물 펌프장 유수지의 수위를 낮추어 내수침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운영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계운영을 비교하고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s of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 using Census Data (센서스 자료를 활용한 다차원홍수피해산정법 개선 연구)

  • Kim, Gil ho;Kim, Duck hwan;Choi, Cheon kyu;Kim, Kyung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76-576
    • /
    • 2016
  • 치수경제성분석, 투자우선순위 및 시설물 규모결정 등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실무에서는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법(MD-FDA)을 현재까지 널리 사용 중이다. 2004년에 개발된 MD-FDA는 대상지역의 자산규모를 행정구역 경계 최소단위인 "읍면동"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취합하고, 대상자산이 위치가능한 토지이용정보를 토지피복도로부터 확인하여, 읍면동내 토지이용공간면적을 기준으로 자산정보를 분배(분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읍면동 단위의 공간적인 범위는 상당한 면적의 공간적 경계이기 때문에, 이를 평균적인 밀도데이터로 분배 시 공간적인 자산분포에 대해 정밀도를 담보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행정구역경계인 "읍면동"과 비교할 때 평균적으로 1/30의 면적을 가지는 집계구 단위의 센서스 공간정보자료를 이용하여 방법론을 개선하였고, 이를 MD-FDA 분석체계를 근간으로 센서스자료와 관계된 자료들 간의 연계 및 전체적인 분석과정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경기도 동두천시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기존 방법에 의한 피해액과 그 차이를 비교하였고, 도로명전자지도의 실제 건물객체 자료(.shp)를 기준으로 오차율을 확인한 결과, 기존 방식에 비해 정밀도가 월등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oil Loss Rate According to Froude Number and Bed Material in High Speed Flow (고속흐름에서의 하상재료와 Froude 수에 따른 토양 유실율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ung, Dong Gyu;Hyun, Park Jae;Kim, Young Do;Soo, Kim 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0-110
    • /
    • 2017
  • 하천시설물 설계, 시공 및 관리에 있어서 하상재료는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재료에따른 호안이나 하안의 보호능력이 떨어지거나 수리적 특성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구성물질에 의해 하천환경의 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비독성 자연형 하상재료를 이용하여 홍수시 수리조건을 반영하여 상류에서부터 사류까지 다양한 Froude 수에 따른 저항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진행은 기 개발된 바닥응력을 직접측정하는 장치와 PIV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리특성을 측정하였다.(Park J.H. et al. 2016, Flow Measurment and instrumentation.) 또한 각각의 조건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하상 재료는 콘크리트를 배제한 자연형 제방이나 하상에 사용되는 재료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Foude 수는 일반적인 흐름의 상류에서 홍수 시, 고유량에서 발생하는 사류까지 다양한 범위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재료와 Froude 수에 따른 토양 유실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토양 유실율의 측정 장비로는 초음파 변위계를 이용하여 실험 전, 후의 세굴심 변화를 이용하여 토양의 세굴면적을 수치화 시킨 수치로 적용하여 토양 유실율을 산정하였다.

  • PDF

Calculation of optimal design floods using cost-benefit analysis considering uncertainty (불확실성을 고려한 비용-편익분석을 이용한 최적설계홍수량 산정)

  • Kim, Sang U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5-275
    • /
    • 2020
  • 홍수빈도분석의 실용적 측면의 목적은 특정 재현기간에 대하여 발생 가능한 홍수량을 설계홍수량(design flood)으로 설정함으로써 댐, 제방, 배수시설, 하수관거 등의 치수기능을 가진 치수시설물이 설계홍수량 내에서 홍수로 인한 피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그 규모와 기능을 설계함에 있다. 이와 같은 중요한 기능을 담고 있는 홍수빈도분석의 기술적 절차는 해외 및 국내의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보다 적절한 설계홍수량 산정절차 및 설계홍수량의 최종 결정을 위한 기술적 수단의 제공을 위한 연구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지금도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결정된 설계홍수량이 특정유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피해규모에 대해 얼마나 적정한 지의 여부를 과학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빈도분석을 통해 산정된 설계홍수량의 적정성 여부를 과학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비용-편익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최적설계홍수량을 결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으로 발생되는 범위를 고려한 최적설계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Metropolis-Hasting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종류에 따른 홍수량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년최대계열 및 부분시계열 자료를 각각 적용하였다. 한강유역에서 가평대성, 여주 및 한강대교 수위표 지점에서 측정된 자동관측유량장치에 의한 홍수량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적설계홍수량이 기존 설계홍수량에 비해 크게 산정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for Water Supply Monitoring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을 고려한 상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예측 모델 개발)

  • Shim, Kyu Dae;Choung, Joon Yeon;Kim, Chang Ryong;Kim, Dong 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5-395
    • /
    • 2022
  •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반의 상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예측 모델의 적용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상수도모니터링 시스템은 상수관망에 설치된 센서에서 수집된 자료를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운영자의 상수도 시설물의 관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수리학적 모델을 적용하여 계산된 값과 측정된 값을 비교해 이상치가 발생하면 운영자에게 이를 알려주므로 시스템내의 문제점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수리학적 모델은 입력자료가 증가됨에 따라 계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계산된 값의 정확도가 낮아지므로.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머신러닝 기반의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예측 모델은 GS 이니마 브라질(GS Inima Brazil)에서 운영중인 아라사투바(Aracatuba) 지역 주사라(Jussara) DMA(District Metered Area)의 2018년 1월에서 7월까지의 운영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상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수관로 수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인자들을 분석하고,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를 통한 수압 예측 모델을 개선하였다. 금회 연구는 머신러닝 기반의 모델을 통하여 상수관망의 시간변화에 따른 장래 예측 수압을 검토할 수 있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 PDF

A Study for Tunnel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Using a Tunnel Scanner (터널 스캐너를 이용한 터널 유지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Yoon, Tae-Gook;Lee, S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2 no.3
    • /
    • pp.183-190
    • /
    • 2008
  •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each tunnel has been individually performed in depending on service, management agency, and tunnel siz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existing tunnel consists of simple tunnel card and the computerization of basic tunnel data, now. There is not the systemic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for tunnel. Therefore, it has been impossible the systemic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r tunnel due to loss of data obtained from each step, such as, plan, design, construction, or maintenance, with ti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uild the database system in combing the results of tunnel scanning with all data obtained from plan, design, construction, or maintenance step.

Status of Economics Analysis Using LCC in Turn-Key Project : Focus on Landscape Architecture (설계시공일괄발주(턴키) 설계에서 LCC를 활용한 경제성 분석 실태: 조경분야를 중심으로)

  • Yoon, Yong-Han;Kim, Jeong-Ho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0 no.4
    • /
    • pp.39-59
    • /
    • 2011
  •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onditions in applying the LCC method for each construction type by selecting 10 apartment complexes among the Turn-key projects which have been ongoing for the last 5 years. In addition, this article will identify the problems to the application of double landscape architecture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Among the 10 case targets, a total of 151 LCC analyses were conducted, and the average application ratio placing for each construction type was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architecture (34.4%)> electricity (21.2%)>machine (18.5%)>civil engineering (13.2%)>landscape architecture (12.6%). As numbers show, landscape architecture was the lowest. The ratio of LCC reduction amount was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machine (32.1%)> architecture (23.9%)>electricity (23.4%)>civil engineering (17.5%)>landscape architecture (3.1%).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had a reduction amount that was about 5 to 6 times lower than civil engineering which had a similar number of LCC analysis cases. The total LCC analysis items of landscape architecture was 19, including 15 double packing material, 1 building covering, 1 grass planting, 1 planting infrastructure, and 1 facility. The following measures were suggested to promote LCC analysis in landscape architecture: first, set an analysis item that considers the construction expense ratio of landscape architecture; second, legal regul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expansion of its application; third, prepare VE/LCC standards which are suitable for landscape architecture.

  • PDF

Life Cycle Cost Analysis at Design Stage of Cable Stayed Bridges based on the Performance Degradation Models (성능저하모델에 기초한 사장교의 설계단계 생애주기비용 분석)

  • Koo, Bon Sung;Han, Sang Hoon;Cho, Choong Yue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5
    • /
    • pp.2081-2091
    • /
    • 2013
  • Recently, the demand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life-cycle cost effectiveness for design and rehabilitation of civil infrastructure is rapidly growing unprecedently in civil engineering practice. Accordingly, in the 21st century, it is almost obvious that life-cycle cost together with value engineering will become a new paradigm for all engineering decision problems in practice. However, in spite of impressive progress in the researches on the LCC, the most researches have only focused on the Deterministic or Probabilistic LCC analysis approach and general bridge at design stage. Thu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actical and realistic methodology for the Life-Cycle Cost LCC-effective optimum decision-making based on reliability analysis of bridges at design stage. The proposed updated methodology is based on the concept of Life Cycle Performance(LCP) which is expressed as the sum of present value of expected direct/indirect maintenance costs with expected optimal maintenance scenario. The updated LCC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study is applied to the optimum design problem of an actual highway bridge with Cable Stayed Bridges. In conclusion,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s to an actual example bridge, it is demonstrated that a updated methodology for performance-based LCC analysis proposed in this thesis, shown applicably in practice as a efficient, practical, process LCC analysis method at design stage.

Development of a Business Support System by Phase for Delivering Construction Management Contract in the Government Civil Project (공공토목사업 CM 발주를 위한 단계별 업무지원 시스템 구축)

  • Chae, Yeong-Seok;Park, Seo-Young;Moon, Hyoun-Seok;Kim, Seon-Yeong;Kang, Leen-Se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5
    • /
    • pp.81-92
    • /
    • 2011
  • Recently, the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announced CM business guidelines, because it is expected that the CM deliveries are going to be increased for a civil engineering industry with enforcement of the CM at Risk. In this trend, The CM business guideline, which is currently announced, is for the steps after the CM contract. However, the practical business guideline from a planning phase for the CM delivery to a selection phase of a CMr (Construction Manager) is essential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ncluding the civil engineering projects that the frequency of the CM deliveries is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a standardized process model from the planning phase for the CM delivery to the selection phase of the CMr. study configured a business breakdown structure for CM delivery. A prototype system for supporting the CM delivery was also developed, and a practical operability was verified by a case evaluation based on the developed system. He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supporting system of the CM delivery business for public clients, which have not sufficient cases of the CM delivery.

Implementation of virtual reality for interactive disaster evacuation training using close-range image information (근거리 영상정보를 활용한 실감형 재난재해 대피 훈련 가상 현실 구현)

  • KIM, Du-Young;HUH, Jung-Rim;LEE, Jin-Duk;BHANG, Kon-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1
    • /
    • pp.140-153
    • /
    • 2019
  • Cloase-range image information from drones and ground-based camera has been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of disaster mitigation with 3D modeling and mapping. In addition, the utilization of virtual reality(VR) is being increased by implementing realistic 3D models with the VR technology simulating disaster circumstances in large scale. In this paper, we created a VR training program by extracting realistic 3D models from close-range images from unmanned aircraft and digital camera on hand and observed several issues occurring during the implementation and the effectiveness in the case of a VR application in training for disaster mitigation. First of all, we built up a scenario of disaster and created 3D models after image processing with the close-range imagery. The 3D models were imported into Unity, a software for creation of augmented/virtual reality, as a background for android-based mobile phones and VR environment was created with C#-based script language. The generated virtual reality includes a scenario in which the trainer moves to a safe place along the evacuation route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successful training can be obtained with virtual reality. In addition, the training through the virtual reality has advantages relative to actual evacuation training in terms of cost, space and time effici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