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텍스타일패턴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2초

Baroque직물에 나타난 Floral 패턴의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Floral Pattern in Baroque Textile)

  • 이선화;권영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7-127
    • /
    • 2002
  • Patterns presented at baroque were mostly floral pattern. Abstract anonymous flower, tulip, Acandus leaf, pomegranate were blended with one another and had a distinct leaning toward continuation and repetition. Components of design could be classified into flower and leaf, flower and fruit, flower and circumferential ornament, bunch of flowers, flower and pot, flower and geometry, and flower and animal. Floral patterns in this era were mostly fullness type being large, simple, and having more formalized motive and were fronted with unit type and vine shape. Unit type shows reflection of baroque style which aims to present absolute unification rather than freedom, which was inherent property of baroque style, by using symmetric pattern. Vine type were unfolded with C type curved line which was main characteristics of that time and showed flowage as a whole and pliable beauty. Floral pattern was filled the whole surface of fabric, thus background of fabric can not be discerned. So, it showed extreme decorative tendency and lavishness.

이태리 패션 브랜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와 관련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개발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yle of Textile Pattern Design Identifying Italian Fashion Brand)

  • 이은옥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1호
    • /
    • pp.127-14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tyle of textile pattern design o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fashion brand identity. In so doing, the study analyzes the color, style, and layout of the motive, and the drawings of the patter of textile of top seven Italian fashion brands which present in presented eight fashion design collections during the 1997∼2000 peri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seven brands exhibit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style, and layout of the motive, and the drawings of the pattern of textile. The results can be interpreted in a way that their distinct features oft textile pattern design indeed contribute toward the establishment of their unique brand image and brand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o initiate the top fashion brand, the fashion industry should develop its own unique style of textile pattern design.

  • PDF

텍스타일 패턴 유형에 따른 세대간 감성 이미지 차이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Sensibility Image for Textile Pattern Design Based on the Generation)

  • 구희경;김희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5-171
    • /
    • 2000
  •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evaluate the sensibility image for textile pattern design based on the generation. Ten patterns classified by a practical survey on the market are presented. A questionnaire has 14 sensibility related words scaled by 7 point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The practical research is performed for 200 women screened by sensibility test for individual character analysis based on the generation. Each subject is answered by a face-to-face interview method to improve survey's accuracy, For statistical test about differences in treatment means, SAS package is used and analyzed through ANOVA, significance probability and mean, In summary, this paper has proposed the sensibility image scale for apparel pattern design to satisfy individual sens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develop textile pattern design based on human sensibility.

  • PDF

만델브로 프랙탈 이미지의 생성 및 형태 연구 (A Study on Generation and Types of Mandelbrot Fractal Images)

  • 임미정;조형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17-222
    • /
    • 2015
  • 창조적인 작업을 하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에게는 항상 새로운 디자인의 조형적인 요소를 찾게 된다. 수작업으로 만들어진 이미지가 아닌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프랙탈 이미지는 각 분야에 새로운 디자인을 접목할 수 있는 기하학적인 패턴을 제시한다. 기술과 예술의 융.복합으로 순수 회화에서부터 텍스타일 디자인, 건축디자인, 전시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에 활용되고 있는 만델브로 프랙탈 이미지의 생성에 대해 알아보고, 생성된 이미지들의 조형적인 원리에 입각한 형태에 대해 분석해본다.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플로럴패턴 분석 및 패션트렌드 반영 연구 - 2012 S/S ~ 2017 S/S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Floral Pattern Analysis and Fashion Trend Application Appearing in Fashion Collections - Focusing on the 2012 S/S ~ 2017 S/S Seasons -)

  • 이명숙;박순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9-144
    • /
    • 2017
  • Throughout the rich human history, patterns have developed as a symbolic sign and representation of the inner psychology of human beings. Thanks to its intrinsic beauty and emotional richness, the flower has been utilized as a one of the major materials for patterns used in everyday life and art. As a product of nature, floral patterns have played a key role in fashion trends as a Surface Design with other elements of fashion design such as silhouette, fabric and color. Therefore, this research sought to identify the trends of floral patterns of women's garments that appeared at the four major global fashion collections (Paris, Milano, New York and London), and to analyze how importantly the fashion magazines' prediction were applied in the actual collections. Furthermore, the research aimed to suggest possible methods to utilize trend magazines for collections in the future. As a main research method, the authors investigated professional fashion literature and internet websites to extract a total of 4,681 items presented by sixteen designers who participated in the four major global fashion collections each time during the period of the 2012 S/S~2017 S/S seasons. First View Korea and Samsung Design Net were used as major sources for the pattern extraction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floral patterns account for 31%(1,454 items) among the total number of patterns appearing in the four major global fashion collections(4,681 items). For the reflection ratio, Samsung Design Net recorded a 4% higher ratio(52%) than First View Korea(48%). Based on the data and analysis of this research, the authors expect that floral patterns in various forms will be continuously presented in fashion collections, and conclude that utilizing fashion magazines is highly useful due to their appropriate predictions.

  • PDF

1-g 진동대시험을 이용한 포화된 모래지반의 재액상화 강도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Re-liquefaction Resistance in Saturated Sand Deposits Using 1-g Shaking Table Test)

  • 하익수;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65-70
    • /
    • 2005
  • 여러 재액상화 발생 사례들에 의하면 한번 액상화를 겪은 지반은 이전에 받은 지진규모와 같거나 오히려 더 작은 규모의 지진에도 재액상화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액상화 동안에 겪은 큰 전단변형율을 들수 있으며 이전에 받은 전단변형률은 지반의 입자구조를 액상화에 취약한 기둥구조와 연결간극구조와 같은 이방성이 큰 구조로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액상화로 인한 지반내부의 이방적 구조로의 변화정도는 모래의 입도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래지반의 입도특성과 재액상화로 인한 액상화강도 감소율간의 상관관계를 추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액상화 가능성이 큰,상이한 입도특성을 갖는 5종류의 시험모래에 대해 1-g 진동대시험을 수행하여 깊이별 시간에 따른 과잉간극수압과 지표면침하량을 계측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한번 액상화를 겪은 지반은 조성지반의 초기간극비와 유효구속압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하중반복휫수 $1\~1.5$회에 모두 재액상화되었다. 즉, 한번 액상화를 겪은 지반은 간극수의 유출로 인해 간극비는 감소하게 되나 입자구조가 액상화에 취약한 구조로 변화함으로써 액상화 강도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재액상화 강도감소율(재액상화 발생 소요 하중반복횟수/초기액상화 발생 소요 하중반복횟수)은 조성지반의 입도특성인 $D_{10}/C_u$값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며 $D_{10}/C_u$값이 0.15mm이상에서는 약 0.2(초기 액상화강도의 $20\%$ 강도)로 일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의해 제작된 패턴을 모티브로 하여 수작업에서 얻지 못한 다색 의 사용을 가능케 함으로써 새로운 느낌 의 홀치기 문양 표현과 3D 모델링을 통하여 텍스타일디자인이 상품화 되었을 때의 효과를 CAD를 이용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가장 일반적인 실로 묶기, 전통적인 손바느질 느낌이 나는 시침질, 현대적 느낌이 강한 깡통에 의한 묶기와 기하학적 효과가 나는 접기 등의 홀치기염색 기법으로 수작업 한 다음 CAD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홀치기염색기법에 의해 제작된 패턴을 모티브로 하여 수작업에서 얻지 못하는 다색사용가능성이 주䤈돀𼶖⨀塨?⨀퀍?⨀℈돐?⨀?잖⨀?⨀龜덐ࠎ?⨀?捯湣牥瑥⁰慶敭敮琻潲浡瑩潮⁢敨慶楯牳㭓慴畲慴敤⁣污礠摥灯獩琻卥瑴汥浥湴㭓瑲敳猠灡瑨整桯搻物瑩捡氠獴慴攻⤠扬潣欠捯灯汹浥爮㭡杮整楣⁷慶攠獨楥汤楮朠敦晥捴楶敮敳献㬻湤⁓敭慮瑩挠偲潣敳獩湧映䭮潷汥摧攠慮搠䥮景牭慴楯渻特映卵扳瑩瑵瑩湧⁓畢獴慮瑩慬⁊畤杭敮琻⴨㌭䉲潭潰牯灯硹⥢敮穯祬⁣桬潲楤攻潮浥湴㭤楮朠䵯浥湴㬬 Effect/Emboss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질감과 새로운 이 미지 의 홀치기염색패턴을 얻을 수 있었다. 넷째, 위의 작업 과정을 통하여 수작업에서 발생 하는 수질오염을 줄일 수 있었다. 다섯째, 이상에서 얻어진 염색패턴을 3D모델링을 통하여 상품의 제작과정과 소비자에게 착용되었을 때의 효과를 미리 볼 수 있음으로 인해서 생산자의 실패율을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여섯째, CAD를 이용한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텍스타일산업 분야에 충분히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대기의 혼염이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의 디자인 요소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sign elements of Block Stripe Pattern on Sensibility)

  • 이영진;정혜진;박희주;이주현;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5권3호
    • /
    • pp.21-28
    • /
    • 2002
  •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반영하는 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 (block stripe pattern)에 대한 디자인 요소를 조사하였다. 자극물은 명도차(3가지), 배열(2가지), 폭(2가지), 간격(3가지)의 4가지 요소를 조작하여 구성되었다. 36가지 조합 중에서 사전 조사에서 독립적인 감성을 보이는 27개를 최종 자극물이 선정되었으며, 남녀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4가지 디자인 요소가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12개의 감성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물리량에 근거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각 자극물과 감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각 디자인 요소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ANOVA 분석한 결과, 명도차, 간격, 폭, 배열의 순서로 의미있는 감성차이를 유발하였으며 명도차는 거의 모든 감성에서 감성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설명력 높은 디자인 요소로 분석되었다. 디자인 요소 레벨에 따른 감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폭이 좁을수록 '수수한', '깨끗한', '모던한', '심플한', '편한' 감성을, 간격이 좁을수록 '강렬한', '보수적인' 감성을, 명도차가 작을수록 '고급스러운', '모던한', '수수한', '심플한', '점잖은', 보수적인', '소프트한', '깨끗한', '편한' 감성을 나타내었다. 감성을 요소별 물리량으로 예측한 회귀모형을 도출한 결과, 12개의 감성 중 '보수적인', '캐주얼한', '모던한' 감성을 제외한 모든 감성에 대해 R²가 0.6 이상의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 감성이 반영된 2가지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 PDF

스웨덴의 인본적 기능주의 디자인과 스벤스크 텐 (Swedish Humanitarian Functionalism Design and Svenskt Tenn)

  • 강현대;곽철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26-135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인테리어 분야에서 스웨덴의 현대 디자인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스벤스크 텐의 철학과 인본적 기능주의 디자인의 형성과정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를 함에 있어 스벤스크 텐이 형성되던 동시대 건축과 가구디자인의 디자인 패러다임을 연구하고 이 고유의 브랜드가 당시 유럽의 기능주의 디자인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스웨디시 모던 스타일의 대표 주자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에 대한 과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1930년대 이후 스벤스크 텐의 독창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한 요셉 프랭크의 가구 및 텍스타일 디자인을 동시대 스웨덴의 디자인 사례와 비교하여 스벤스크 텐이 실현하고자 한 인본적 기능주의 디자인을 형태적 재료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개념화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공간과 요소, 양식과 기능의 유기성, 2)아말감화를 통한 독창적 공간, 3)추상적 패턴을 통한 공간의 열린 감성, 4)공간을 파괴하지 않는 가구의 형태, 5)합리적 기능주의의 한계 극복.

옵아트(Op-Art) 패턴의 여행용 패션가방 디자인 연구 -빅토르 바자렐리(Victor Vasarely)의 작품 응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vel Fashion Bag Design Using the Op-Art Textile Patterns -Applying the Artwork of Victor Vasarely-)

  • 김민혜;박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71-384
    • /
    • 2011
  • This study with 'trip' as a theme, aims to develop textile designs and fashion bags for travel which is widely applicable fitting traveler's T P O, applying Victor Vasarely's artwork. During the planning process of design, 'Whenever & Wherever's concept was set by analyzing fashion trend information in 2010-11 F/W proposed by Interfashion Planning and FCK; in addition, 'Bobos' were selected as research targets. It organized 4 images of 'Modern', 'Romantic', 'Classic' and 'Fantastic'. The motives are proposed textile design with '$Cross^2$', 'Falling Z', 'Cir-Classicism' and 'Skinny-holic' per each theme. The designs developed were printed out and into polyester canvas with a Polaris V6 DTP from dgen, Corp. Textile designs developed were applied for 'two-way' formed fashion bags for traveling with high practicality. Fashion bags for traveling consisted of big bags, tote bags, and hip sacks; a total of 12 works (4 sets per theme) were produced. This study sought practical plans for artworks by producing fashion goods through a DTP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further studies and a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reation of high values for exciting fashion products.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을 위한 헤슈타일링 개발 프로세스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Heesch-tiling for textile design education)

  • 최유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7-71
    • /
    • 2021
  • When teaching traditional pattern-themed textile design, it has been found that many students struggle during the investigation stage of traditional patterns and complete the development of patterns in relatively simple layout methods, such as block patterns and half drop patterns. Until now, digital textile design textbooks lack content on how to develop patterns. Judging that the current teaching method leads to difficulties in developing a new sense of textile design, this study focused on Heesch-tiling tessellation and software called TESS, a program that can transform patterns themselves. This study is an academic study on the methodology of first developing patterns through TESS, a tessellation program develop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U.S., and then applying various lines and colors to the complete patterns and textures using Adobe Illustrator. In this study, the concept,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generative principles of Heesch-tiling tessellation were examined,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new patterns using the TESS program, which can be used to create patterns through Heesch-tiling principles, was intended to help in textile design education. Therefore, after analyzing the comprehensive concepts and principles of tessellation, the next step i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 making only for Heesch-tiling tessellation, and then ultimately to develop new patterns. While patterns using traditional tessellation layouts have been characterized mainly by repeated geometric shapes, Heesch-tiling tessellation can express surrealistic attributes, such as those by painter M. C. Escher or style elements such as those in neo-p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