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털진드기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1초

전북 진안에서 채집한 쯔쯔가무시 매개 털진드기 밀도 (Density of Chigger Mites as Tsutsugamushi Vectors Collected from Jinan, Jeollabuk-do)

  • 이혁재;박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64-371
    • /
    • 2020
  •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매개체로 인한 전파 확산에 대처하고자 전국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일환으로 전북 진안지역의 쯔쯔가무시 매개체인 털진드기 분포 조사와 병원체 검사를 위해 채집기와 야생설치류 포획을 실시하였다. 털진드기 종 분류를 위해 9~12월 둘째주까지 매주 1회씩, 총 20개의 채집기를 이용하여 채집한 결과 총 개체수는 8종 611마리가 채집되었다. 종 분류 결과는 둥근혀털진드기(N. tamiyai) 434마리(71.0%)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야생설치류 포획으로 털진드기 채집은 66마리의 설치류를 포획해서 털진드기 총 3,050마리 채집되어 chigger index는 46.2로 나타났다. 월별 chigger index는 11월 206.1로 가장 높았다. 병원체 보유여부 검사결과 총 85개의 pools중 5월과 9월에 각각 1개의 pools에서 양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쯔쯔가무시증 환자가 빈번히 발생하는 봄과 가을철의 시기와도 일치하였다.

전북 진안에서 채집한 털진드기 분포 변화 (Distribution Variations of Chigger Mites Collected in Jinan, Jeollabuk-do)

  • 이혁재;박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17-325
    • /
    • 2021
  • 털진드기 발생감시를 위해 논, 밭, 수로, 초지 4지점에 채집기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전체 채집 개체수는 7종 207마리가 채집되었다. 9월 5째주에 2마리를 시작으로 11월 3째주에 49마리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전체 채집 기간 중 지역별로는 초지, 수로, 논, 밭에서 각각 81, 52, 47, 27마리 채집된 털진드기를 표본 제작하여 동정한 결과 광릉털진드기(N. kwangneun) 73마리(35.3%)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수염털진드기(L. palpale)가 46마리(22.2%), 둥근혀털진드기(N. tamiyai)가 41마리(19.8%), 작은새방울털진드기(N. asakawai) 27마리(13.0%) 순으로 동정되었다. 야생설치류 44마리를 포획한 결과 등줄쥐(Apodemus agrarius) 35마리(79.5%), 땃쥐류(Crocidura spp.) 5마리(11.4%), 대륙밭쥐(Craseomys regulus) 2마리(4.5%)와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던 흰넓적다리붉은쥐(Apodemus peninsulae) 2마리(4.5%)였다. 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는 총 6,628마리 채집되어 chigger index는 150.6이었다. 시기별 chigger index는 10월에 234.2로 가장 높았고, 11월에 223.3, 4월에 75.6, 5월에 66.2 순으로 나타났다. 털진드기 검체로부터 쯔쯔가무시 병원체 PCR 검사는 모두 음성이었다.

한국의 털진드기상 및 검색표 (진드기 목 : 털진드기 과 와 Leeuwenhoekiidae) (Fauna and Key to the Chigger Mites of Korea (Acarina ; Trombiculidae and Leeuwenhoekiidae))

  • 이한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57-70
    • /
    • 1990
  • 한국산 털진드기 종을 다룬 모든 문헌을 조사 정리한 결과 총 43종이 보고되었는데, 그중 Salchia brennani ventralis 는 오동정한 것으로 W. comataxila 이었고 Shunsennia gracilis 는 S. hertigi 의 동종이명일 가능성이있으나 문헌상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Leptotromibidium intermedium 의 경우 문헌상의 근거가 전혀 없어 국내 서식종으로 인정할 수 없었다. 필자가 직접 표본을 조사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종은 모두 17 종이었는데 그 가운데 Leptotromibidium akamushi 는 L.zutum 의 , L.miyajimai 는 L.orientale 의 오동정이었다. 결국 한국산 털진드기류는 모두 2과 , 12속, 39종이 된다. 이 중 2 종은 조류에 , 7종은 박쥐에, 그리고 29종은 설치류에 각각 기생하는 종이고 1종은 조류와 포유류에 공동기생하는 종이다. 현재 한국산 털진드기를 동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검색표로는 29종을 아룬 Southwick (1968) 의것이 있을 뿐이고, 우리나라와 동물상이 유사하나 일본 종에 대한 검색표도 우리나라 토착종 21종이 들어 있지 않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기존 검색표는 다리의 강모식(leg setal formula) 이나 촉수의 강모식( palpal setal formula)등 관찰하기 어려운 형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동정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한국 종으로 정리된 총 39종에 대한 검색표를 만들었는데, 관찰이 용이하면서도 변이가 적은 형질을 최대한 사용하였고 특히 종 특징을 잘 나타내는 배판(scutum)의 형질을 주로 사용하였다. 실용성이 보다 큰 도식형 검색표( pictorial key)도 함께 만들었는데 원저자들의 도표에서 배판(scutum)을 그대로 전사하여 종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였다.

  • PDF

서귀포에서 채집한 쯔쯔가무시 매개 털진드기 분포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as Tsutsugamushi Vectors Sampled in Seogwipo)

  • 이혁재;박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44-350
    • /
    • 2019
  • Orientia tsutsugamushi 감시를 위한 털진드기 분포를 제주도 서귀포시 일원에서 조사 하였다. 총 20개의 채집기를 이용하여 논, 밭, 수로, 초지(4개 지점)에서 털진드기 유충을 9~11월까지 매주 1회씩 채집한 결과 개체수는 3종 51마리가 채집되었다. 설치류에 기생하는 털진드기 분포 감시를 2018년 3월부터 11월까지 한달에 한번씩 9개월 동안 논, 수로, 밭, 저수지, 야산(5개 지점)에서 Sherman traps 각 20개씩 100개를 설치해서 채집한 결과 64마리의 들쥐를 포획해서 trap index 0.08 이였다. 포획된 들쥐는 한 종류인 등줄쥐(Apodemus agrarius)로만 확인되었다. 시기별로는 4월에 15마리로 가장 많았고, 포획된 64마리의 야생 설치류에서 털진드기가 436마리 채집되어 chigger index는 6.8이었으며 시기별 chigger index는 11월 46.0로 가장 높았고, 7월에 6.8, 6월에 4.6 순으로 나타났다. 채집기와 포획된 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 총 487마리에 대한 쯔쯔가무시 보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PCR을 실시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전남 곡성군에서 포획한 들쥐 분포 및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ensity of Rodents and Chigger Mites in Gokseong-gun of Jeollanam-do, Korea)

  • 송현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42-246
    • /
    • 2016
  • 2013년 4월부터 11월까지 전라남도 곡성군 지역을 대상으로 들쥐를 포획하고 기생하는 털진드기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597개의 trap에서 79마리를 포획하여 포획률은 13.2%였고, 종류별로는 등줄쥐가 92.4%를 차지하여 절대 우점종이었다. 79마리의 들쥐중 68마리에 털진드기가 기생하고 있어 86.0%의 기생률을 보였고, 74.5개체의 chigger index를 보였다. 5,063개체의 채집한 털진드기는 2속 6종으로 동정되었고, 활순털진드기가 3,535개체(69.8%)로 절대적인 우점종이었다. 계절별로 봄철에는 대잎털진드기, 가을철에는 활순털진드기가 높은 밀도로 채집되어 진드기종의 분포가 채집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털진드기 유충에 대한 유칼립투스 오일의 기피 및 살비활성 (Repellent and Acaricidal Activities against Leptotrombidium pallidum Larvae of Eucalyptus Oil)

  • 조형찬;김광호;이상계;나영은;박형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87-292
    • /
    • 2008
  • 쯔쯔가무시병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유충을 대상으로 유칼립투스 정유, 퍼메스린 그리고 DEET의 기피력과 살비력을 실내에서 여지흡수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털진드기 유충에 대한 이들 물질들의 반수치사량($LD_{50}$)은 유칼립투스 정유와 DEET는 각각 0.025와 0.018 $mg/cm^2$로 우수한 살비력을 보였으며, 퍼메스린의 경우는 조사한 최고 농도 수준인 0.2 $mg/cm^2$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물질을 6.14 $mg/cm^2$으로 처리한 기피력 시험에서 유칼립투스 정유는 100% 기피력을 보였고, 그 처리된 지역에 들어온 개체들은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치사하였다. 그러나 퍼메스린의 경우는 가장 높은 시험농도 수준(9.20 $mg/cm^2$)에서도 처리 지역을 통과한 개체들이 생존하였고, 기피력도 60%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DEET는 1.53 $mg/cm^2$처리 수준에서 퍼메스린에 비해 8.3배, 유칼립투스 정유에 대해서는 2.8배 더 강하게 나타났다. 털진드기 유충에 대한 기피력은 DEET,유칼립투스 정유 그리고 퍼메스린 순이었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털진드기 유충에 대한 천연 유칼립투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유제의 살비력이 평가되었다. 60분 간의 노출 시간 동안 1%와 3% 유제는 강한 살비력을 나타내지 못한 반면, 6% 이상의 유제들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100%의 살비력을 보였다. 이와 같이 털진드기 유충들의 시험 유제들에 대한 반응은 유칼립투스 정유의 함유량 및 노출 시간 모두에 의존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유칼립투스 정유는 털진드기 유충에 대한 천연 방제제 또는 기피제로서 활용될 수 있는 여지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전라남도에서 쯔쯔가무시병 매개체인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에 관한 조사 (Population density of chigger mites, the vector of tsutsugamushi disease in Chollanam-do, Korea)

  • 송현제;김개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27-34
    • /
    • 1996
  • 쯔쯔가무시병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10월부터 12월에 걸쳐 전라남도 6개 지역에서 들쥐와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의 지리적 분포상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hemla식 wooden trap 814개를 사용하여 총 142마리의 들쉬를 포획하였는데 등줄쥐(Aponemr agrarius)가 131마리(92.3%)를 차지하여 절대 우점종이었고, 땃쥐(Crocidurarnwa)가 11마리로 7.7%였다 털진드기의 기생률은 들쥐 142마리 중 92마리에 털진드기가 기생하고 있어 69.0%이었고 총 10.532따리의 털진드기가 채집되어 74.2개체의 chi껄erindeu를 보였다. 이 중 등줄쥐는 73.3%의 기생률과 80.깊개체의 chiggor index를 땃쥐는 18.2%의 기생률과 05개체의 chiggor index를 보였다. 총 10.532개체 채집된 털찐드기는 4속 11종으로 동정되었는데 쯔쯔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eptotrombidium pallidum과 L. scutellgre가 각각 8.038개체(76.3%)와 1.359개체 (12.9%)가 채집되어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에 대한 지리적 분포상이 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여 각 조사지역마다 우점종이 다르게 나타났다. 장흥군 장흥읍과 보성군 복내면에서는 L. sueuwe가 8.9개체(100%)와 13.7개체(41.5%)로 절대 우점종이었고, 화순군 능주면과 곡성군 삼기면은 L. pallidum이 각각 191.9개페(88.8%). 46.0개페(59.2%)로 우점종이 었으며 함평군 월야면은 L. zetum이 5.1개체(77.3%) 담양군 담양읍은 L. pdpole가 2.6개체 (63.4%)로 우점종이었다. 지역별 털진드기의 밀도 비교에서 화순군 능주면이 216.2개체(62.4%) 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곡성군 삼기면의 77.7개체(22.4%)로 많았다.

  • PDF

국내 털진드기(Acarina: Trombiculidae)의 계절적 소장 및 지리적 분포 조사 (Seasonal Prevalence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rombiculid Mites(Acarina: Trombiculidae) in Korea)

  • 이인용;이한일;홍한기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08-415
    • /
    • 1993
  • 털진드기 개체군에 대한 지리적 분포상과 계절적 소장에 관한 조사를 1990년 8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herman trap을 사용하여 포획한 325마리의 들쥐들로부터 총 15,679개체의 털진드기를 채집하여 4속 12종을 동정하였는데,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eptotrombidium pallidum이 4,751개체로 전체의 30.3%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고, 제2의 매개종으로 알려진 L. scutellare는 1,132개체로 전체의 7.2%을 차지하였다. 털진드기 개체군의 지리적 분포상이 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이며 각 조사 지역마다 우점종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경기도 고양군 도래 5리에서는 L. pallidum, 포천군 산정리에서는 Neotrombicula kwangneungensis, 파주군 장곡리에서는 N. tamiyai, 전북 익산군 장신리에서는 L. orientale, 이리시 신용동에서는 L. scutellare 등이었다. 털진드기 개체군의 계절적 소장을 보면, L. pallidum은 2개의 정점을 보였는데 10-11월에 큰 정점을, 4-5월에 작은 정점을 보인 후 여름에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고 L. scutellare는 10월에만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 PDF

쭈쭈가부시병의 매개체로 알려진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에 관한 조사 (Study on the Population Density of Chigger Mites, the Vector of Tsutsugamushi Disease in Korea)

  • 이한일;이명철;이인용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57-264
    • /
    • 1991
  • 과거의 국내 털진드기에 관한 연구는 종 동정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근래에 와서 지역적 분포상을 조사한 몇개의 보고 예가 있을 뿐, 털진드기의 계절적 소장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것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1989년 7월부터 1990년 10월에 걸쳐 털진드기 개체군에 대한 지역적 분포상과 계절적 소장에 관한 조사를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eptotrombidium pallidum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Sherman식 live trap을 사용하여 포힉한 총 111마리의 들쥐로부터 4,498 개체의 털진드기를 채집하여 4속 12종을 동종하였는데,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 paflidum이 2,951 개체로 전체의 65.6%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다. 일본에서 매개종으로 알려진L. scutellare는 1개체만 채집되었다.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의 지리적 분포상이 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여 각 조사 지역마다 우점종이 다르게 나타났다. 9개 조사지역 가운데 L. paflidum 개체군 밀도가 특히 높은 지역은 경기도 고양군 도래 5리와 경기도 부천시 부곡동의 2개 지역이었고, 다른 3개 지역에서는 타 종에 비해 극히 낮은 밀도를 보였다. 매개종 L. paflidum 개체군의 계절적 소장을 보면 9월(9.8%)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10월(45.4%)과 11월(30.6%)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고, 그 후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가 4월(12.7%)에 일시적 증가를 보인 후 9월까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L. palpale는 겨울과 봄에만 주로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