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탐식능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1초

감초 추출물이 면역응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ycyrrhiza glabra Extracts on Immune Response)

  • 심호기;박무희;최청;배만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33-538
    • /
    • 1997
  • 감초에서 분리한 각각의 추출물(GHE, GME, GAE)을 BALB/c mice에 투여하여 탐식작용, 용혈 반형성, 용혈소 역가 측정 및 rosette 형성 실험을 통해 감초가 면역응답에 미치는 영역을 조사하였다. 1. 탐식능 측정에서 복강침출세포(PEC)와 비자세포(spleen cells)는 CONrns에 비하여 각각의 약물 투여군이 Candida parapsilosis에 대한 효과가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2. 용혈반 형성 및 용혈소 역가측정에서는 CON군에 비하여 GHE, GME 투여군 및 GAE 투여군이 높게 나타났다. 3. Rosette 형성에 대한 측정에서는 CON군에 비하여 GME, GAE 투여군이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 PDF

여정자(如貞子)가 대식세포(大食細胞) 탐식능(貪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Ligustrum Lucidum on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s)

  • 이광석;송봉근;김형균;이언정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7-236
    • /
    • 1996
  • The effect of Ligustrum Lucidum(LL) 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superoxide by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were investigated. Stimulation of the cells with LL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erferon-r(IFN-r) resulted in the increased accumulation of nitrite in the medium. To further examine the mechanism of LL induced. NO Synthesis, we evaluated the secre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by LL in murine macrophages. Treatment of LL increased the secretion of bioactive $TNF-{\alpha}$ in cultured medium. In addition, LL induced NO production was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anti-murine $TNF-{\alpha}$. neutralizing antibodies, indicating that LL induced superoxide production was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anti-murine $TNF-{\alpha}$ neutralizing antibodies. These data suggested that LL induced superoxide production was related to $TNF-{\alpha}$ secretion. In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s that LL may enhance innate immune response and be applied as a immunoregulating drug improving phagocytosis.

  • PDF

랫드의 호중구 탐식능에 있어서 계난백유래물질의 효과 (Effects of Chicken Egg White Derivatives on Neutrophil Phagocytosis in the Rats)

  • 양만표;김기흥;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52-357
    • /
    • 1998
  • Effects of chicken egg white derivatives (EWD and EF-203) on the changes of blood cells and the neutrophil phagocytic activity were examined in the rats. Rats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either EWD (200 mg/kg) or EF-203 (200 mg/kg) for 3 days. Thereafter, the changes of blood cell values (RBC, WBC, platelets, PCV, differential count of neutrophils) and the phagocytic activity of neutrophils were evaluated for 7 days. The numbers of WBC and the differential count of neutrophils of rats administered with either EWD or EF-203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

  • PDF

대식세포의 혈청으로 식균된 자이모잔의 탐식능에 대한 삼잎국화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Rudbeckia laciniata Extract on Phagocytosis of Serum-Opsonized Zymosan Particles in Macrophages)

  • 김준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1-346
    • /
    • 2016
  • Phagocytosis is a primary and an essential step of host defense, and is triggered by the interaction of particles with specific receptor of macrophag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tracts of Rudbeckia laciniata (RLE) on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 by monitoring the phagocytosis-associated signal transduction. RLE markedly increased phagocytosis of serum-opsonized zymosan particles (SOZ), while phagocytosis of IgG-opsonized zymosan particles (IOZ) or none-opsonized zymosan particles (NOZ) remained unaffected. However, RLE did not affect the binding of opsonized zymosan particles (OZ) with the cell surface of macrophage. This suggests that RLE may regulate SOZ-induced intracellular signaling during phagocytosis of macrophage. To confirm this hypothesis, we investigated whether RLE was involved in the RhoA-mediated signal transduction during phagocytosis of SOZ. Inhibitors of the RhoA-mediated signaling pathway, such as Y-27632 (for ROCK), ML-7 (for MLCK), and Tat-C3 (for RhoA), totally blocked phagocytosis of SOZ enhanced by RLE, as well as phagocytosis of SOZ. Additionally, RhoA activity was markedly increased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RLE, suggesting that RLE could increase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 via RhoA-ROCK/MLCK signal pathway. Thus, RLE may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foods for immunity.

청둥오리 압란유의 항암 효과 (Antitumor Effects of Duck′s Egg Oil on the Cancer Cells)

  • 류병호;김민정;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66
    • /
    • 2002
  • 압란유의 항암활성 및 면역 반응조절자로서의 기능을 알아본 실험 결과, 마우스 비장세포의 증식반응은 항진시켰으나 YAC-1 세포주의 증식능은 억제시켰다. CD4$^{+}$T세포 및 CD8$^{+}$T세포의 비율이 정상대조군 마우스의 그것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CD4$^{+}$/CD8$^{+}$ 비는 차이가 없었으며 비장세포에서 IL-2수용체의 발현이 항진되었다. 또한, 복강대식세포로부터의 nitric oxide와 TNF-$\alpha$ 생산을 항진시켰으며, 복강 대식세포는 탐식능이 현저하게 항진되었고 B16F10 흑생종의 폐전이가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압란유의 항암제 및 면역반응 조절자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유산균의 항암효과

  • 배형석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1997년도 창립 10주년기념 학술심포지움 행사집
    • /
    • pp.15-17
    • /
    • 1997
  • 암 발생의 원인 중 80% 이상이 식사습관과 환경오염에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음식물, 담배, 술, 대기오염, 스트레스, 자외선이 그 대표적인 원인물질로 꼽을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매일 섭취하는 음식물이 가장 중요한 발암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장암과 유방암의 발생에 대한 Wynder 등의 역학조사에서도 식사습관이 암 발생에 중요함을 시사 하고 있다.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의 다량 섭취가 대장암과 유방암의 발생을 증가 시키고 섬유질이 풍부한 곡류와 야채의 섭취는 대장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상관관계가 밝혀졌다. 그러나 우리가 늘 섭취하는 음식물 자체는 대장암과 유방암을 유발하는 기능이 거의 없다. 섭취된 음식물이 암을 일으키려면 장내 부패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하여 발암물질로 변환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 발암물질들이 장관으로 흡수 자극함으로써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일부장내 미생물들은 장내 발암물질들을 무독화 하거나 숙주의 면역기능을 증강 시킴으로써 암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Mitsuoka는 장내 미생물이 암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강조하였다. Veer 등은 유산균 발효유를 많이 섭취하면 유방암 발생이 억제됨을, 국제암연구위원회는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고 있는 핀란드 쿠피오의 거주자들에게는 덴마크의 코펜하겐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하여 대장암 발생율이 1/4에 불과하고 분변내 유산간균수는 100배 높은 사실을 역학조사에서 밝혔다. 이 외에 유산균과 발효유제품의 항암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여기에서는 유산균의 항암효과에 대한 지금까지의 관련 자료들을 요약, 정리하여 고찰하고자 한다.높은 당 함량을 나타냈으며, T-AS는 70.3%의 당과 7.8%의 단백질로 구성 되었다. GLG 대부분의 분획들은 60~93%의 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으며, 주로 $\beta$-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다. 아미노산은 Asp 및 Glu의 산성 아미노산과 Ala, Leu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칼리 추출물에서 Ser과 Thr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는 평균 분자량이 2,000 kD와 12kD에서 주 peak를 나타냈으며, 수용성 분획의 평균 분자량은 12kD이고 비수용성 분획은 36~2,000 kD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R과 NMR 분석 결과 890 cm-1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어 $\beta$-(1,3)0glucan과 $\beta$-(1,6)-glucan의 구조를 갖는 다당류로 확인 되었다. T-AS 분획은 C:H:O:N의 함량비가 38.9:5.7:49.6:1.84%이며, 이 물질의 융점은 163 $^{\circ}C$로 연한 갈색을 나타낸다. 분리된 GLG의 항암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in vivo 항암실험, 항보체 활성능, 항체 생성능, serum protein 분비능,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활성능 및 세포간 물질 분비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당류 GLG 분획물들 가운데 항보체의 활성이 높았던 분획은 sarcome 180에 대한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의 보체 활성화 기작은 classical과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의 양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었다.

  • PDF

정보요구, 정보시스템 기획유형, 그리고 정보시스템 기획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Information Requirements, IS Planning Typology, and IS Planning Effectiveness : An Empirical Study)

  • 문태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지역정보단지 조성과정보기술의 활용
    • /
    • pp.111-136
    • /
    • 1997
  • 정보시스템 기획(IS planning)은 경영환경의 변화로부터 야기되는 조직의 정보요구 를 제대로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구축이나 실행과정에 반영하는 중요한 과업중 의 하나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정보요구를 반영한 정보시스템 기획유형에 관한 연구나 정 보시스템 기획의 효과성에 관한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없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 서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 을 위하여 정보시스템 기획에 관한 상황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과업환경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정보요구의 유형에 따라 정보시스템 계획을 어떻게 추진하는 것이 바람 직한 것인지를 파악하고, 정보시스템을 기획 시 정보요구 수준과의 적합성(fitness)에 따라 정보시스템 기획의 효과성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 에서 사용된 Construct와 변수들은 기존의 정보시스템 기획관련 문헌을 이용하였다. 본 연 구를 위하여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우송하였으며, 그 중 187부가 회수되었다. 자료분석의 결과, 정보요구 수준과 정보시스템 기획유형간의 관련성은 긍정적 으로 관련되어 있었으며, 정보요구 수준에 따른 기획의 효과성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정보 시스템 기획유형에 따른 기획의 효과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정보요구 수준과 정 보시스템 기획유형간의 적합성에 의한 정보시스템 기획의 효과성에 대한 t-test결과는 적합 한 조직(fit organization)보다는 적합하지 않은 조직(unfit organization)의 성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성 형질전환 계통의 식물체 내에서의 바이러스 증식 및 이동과 관련된 저항성 기작, 여러 가지 PVY 계통에 대한 저항성 유무, 수량, 생육 특성 및 주요 화학 성분 함량 등을 발표하고자 한다.-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다. 아미노산은 Asp 및 Glu의 산성 아미노산과 Ala, Leu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칼리 추출물에서 Ser과 Thr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는 평균 분자량이 2,000 kD와 12kD에서 주 peak를 나타냈으며, 수용성 분획의 평균 분자량은 12kD이고 비수용성 분획은 36~2,000 kD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R과 NMR 분석 결과 890 cm-1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어 $\beta$-(1,3)0glucan과 $\beta$-(1,6)-glucan의 구조를 갖는 다당류로 확인 되었다. T-AS 분획은 C:H:O:N의 함량비가 38.9:5.7:49.6:1.84%이며, 이 물질의 융점은 163 $^{\circ}C$로 연한 갈색을 나타낸다. 분리된 GLG의 항암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in vivo 항암실험, 항보체 활성능, 항체 생성능, serum protein 분비능,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활성능 및 세포간 물질 분비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당류 GLG 분획물들 가운데 항보체의 활성이 높았던 분획은 sarcome 180에 대한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의 보체 활성화 기작은 classical과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의 양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었다. T-AS 분획은 mouse내의 특정

  • PDF

애완견의 결핵예방에 관한 연구 1. Mycobacterium bovis를 실험적으로 접종한 애완견에 있어서 BCG의 전처치 효과 (Studies on the prevention of tuberculosis in pet dogs 1. The effects of BCG pretreatment in pet dogs inoculated experimentally with Mycobacterium bovis)

  • 강종구;김창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7-125
    • /
    • 1992
  • Mycobacterium (M) bovis 를 인공감염시킨 개에 있어서 BCG의 전처치효과를 in vivo 및 in vitro에서 검토하였다. 개들은 BCG 전처치군, M bovis 단독처치군, 비감염대조군의 세군으로 나누었다. BCG는 M bovis 복강접종 3주일전에 0.2ml를 피내접종하였다. 결핵균 투여 4개월후에 전군을 도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도살시 모든 처치군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BCG전처치군의 폐장내에서는 경도의 macrophage의 침윤과 소상의 육아종 형성이 관찰되였으나 M bovis 단독처치군에 있어서는 보다 고도의 macrophage의 침윤, 중등도의 호중구의 침윤 및 중등도의 육아종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각 동물의 기관지폐포세정액을 분리하여 그 속의 총세포수와 각 세포의 분획을 검토하였다. 비감염 대조군의 기관지폐포세정액내의 총세포수는 두 처치군보다 훨씬 낮았으며 M bovis 단독처치군의 총세포수는 BCG 전처치군보다 1.8배 높았다. 이 세정액으로부터 폐포 macrophage를 분리배양하여 macrophage의 활성능과 결핵균의 증식능을 관찰하였다. BCG처치군은 M bovis 단독처치군에 비하여 높은 Fc receptor 활성(rosette 형성능, 탐식능)과 낮은 결핵균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BCG의 전처치는 결핵균을 killing하지는 못하였다. 개에게 BCG를 전처치하면 폐내에 극소수의 결핵균이 지속적으로 잔존하지만 폐포 macrophage는 이미 항결핵성면역능을 지닌채로 계속 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결핵에 대하여 예방효과를 갖는다고 사료된다.

  • PDF

Acmthmoeba culbertsoni 감염에 대한 silica 투여의 영향 - 대식세포의 역할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ilica on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 Acanthamoeba meningoencephalitis with reference to the macrophage role in mice)

  • 이홍수;신호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4호
    • /
    • pp.259-266
    • /
    • 1994
  • CSH/HeJ 마우스에 Acanaamoeba culbertsoni영양형 $3{\;}{\times}{\;}10^5$개를 비강으로 접종하 여 실험적 아메바성 수막뇌염을 일으킬 때 숙주의 방어기작에 대식세포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대식세포 억제제인 silica를 마우스 복강 내로 투여한 경우의 사망율이 60.6%로 아메바만을 접종한 마우스의 사망율이 10.0%와 비하여 큰 차이를 보였으며 열처리하여 죽인 Toxoplasma gondii tachyzoites의 in vitro탐식능 관찰에서 기능을 억제시킨 대식세포의 탐식능이 3% 이하로써 아메바에 대한 복강대식세포의 기능의 저하로 인한 수막뇌염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A. culbertsoni에 대한 대식세포의 살해활동의 in vitro 실험에서 silica투여한 실험군의 복강대식세포의 뚜렷한 기능 저하를 관찰하였고, 효소표지 면역 검사법(ELISU)을 이용한 마우스 혈청 내의 $interleukin-1{\beta}(IL-1{\beta})$의 흡광도는 아메바 접종군과 생리식염수 투여군보다 silica투여를 수반한 실험군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 대식세포가 억제되었을 때 실험적 수막뇌염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대식세포가 A. culbertsoni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