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키토산 처리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4초

저장고 형태에 따른 온주밀감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Satsuma Mandarin during Storage by Storage Warehouse)

  • 김성학;임자훈;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1-136
    • /
    • 2002
  • 저장고 형태에 따른 온주밀감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항균제로서 베프란(iminoctadime-triacetate) 2,000배 희석액과 키토산 1.5%에 0.5% CaCl$_2$를 혼합한 용액에 감귤을 충분히 침지 하였다. 풍건시킨 후 26L인 플라스틱 컨테이너에 감귤을 12kg 정도씩 담아 3$0^{\circ}C$에서 24시간동안 저장전처리를 하고, 상온저장과 내부온도 4$^{\circ}C$ 상대습도 87%를 기준으로 저장하였다. 저장고내의 온습도 편차가 적은 저장고에서 가장 낮은 부패율이 나타내어, 감귤저장 중 온도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감귤 저장 중 Penicillium italicum, Monilia candida Alternaria citri, Mucor hiemalis, Phomopsis citri, Botrytis cinerea, Phoma citricarpa, Glomererella cingulata, Penicillium digitatum 등이 부패미생물로서 동정되었다. 중량 감소, 껍질과 과육의 수분 함량은 저장 중 서서히 감소하였다. 산 함량의 감소는 저장 4개월 동안 상온저장에서 24%에 비하여, 저온저장에서는 15~18%로 저장효과가 컸다. 총당 함량은 저장 3개월 이후부터 감소 폭이 많았으며, 비타민 C 는 저장 60일 후부터 감소가 많아 장기간 저장으로 감귤 품질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키토산 및 키토산올리고당 의생리 활성 기능

  • 박헌국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1999년도 학술심포지움 자료집
    • /
    • pp.39-57
    • /
    • 1999
  • Chitin은 새우나 게 등을 비롯한 해산 갑각류의 가공 폐기물로 버려지는 부패, 악취발생 등의 환경공해를 일으키며 처리비용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던 물질이지만 최근에는 부가가치가 높은 chitosan 및 chitooligosaccarides로 가공되기 때문에 폐기물의 자원화와 미이용 자원의 개발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기대가 모아지고 있는 다당류이다. 더욱이 chitin의 탈아세틸화로 얻어지는 chitosan은 polycation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현재 응집제로서 각종 공업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외에도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의료, 생호학, 화장품, 식품, 화학 공업 및 농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한 신소재로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런, chitosan은 생리적 기능은 우수하지만 물에 용해되지 않고 점도가 높으며 떫은맛이 나기 때문에 식품을 비롯한 기타 응용분야에 이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장애를 개선함으로써 chitosan 자체가 갖는 우수한 생리적 기능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항종양성을 비롯한 새로운 생리적 기능을 갖는 chitosan 유도체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Chitosan 유도체 중에서도 chitooligosaccharides는 chitosan의 가수분해로 얻어지는 저분자 화합물이므로 물에 잘 용해도며 점도가 낮고 용액이 단맛을 낼뿐만 아니라 chitosan이 갖지 않는 새로운 생리적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chitosan과 chitooligosaccarides의 생리 활성 기능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에 대한 면밀한 사안이 밝혀지는 경우가 많지 않다. 또한 그 발생 경위나 원인요소에 대해서는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우리가 실천하여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정보가 함께 제시되지 못하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최근 수년간 외국에서 학교급식을 비롯한 집단급식 등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식중독 발생에 기여한 주요 원인을 찾아내고 여기서 얻어지는 교훈을 토대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실천적 대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중의 E. coli O157:H7이 연관되어있다는 보고도 있다. 목장 방문시 원유를 마신 어린이에서 HUS가 유발하였고, 균분리 결과, 농장의 소와 어린이에서 유사한 E. coli O157:H7이 분리된 바 있다. 본 연자들은 베로톡신 유형, plasmid profiles, RFLP 분석, phage type을 기초로하여 소에서 분리된 E. coli O157:H7이 사람유래주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mm 및 2-6mm 난포에서의 101개(67.8%) 및 47개(50.0%) 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체 회수 난포란수도 4등급이 59.1%(149/252)로써 1, 2, 3등급의 0.4% (1/252), 7.6%(19/252) 및 32.9%(83/252)보다 높게 나타났다. 1회 평균 회수 난포란은 $\leq$2mm 난포에서 4.8$\pm$3.7개로써 2-6mm(3.0$\pm$3.4개) 및 $\geq$6mm (0.3$\pm$0.6개)보다 높았으며, 1회당 평균 8.1$\pm$5.1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in

  • PDF

키토산처리에 의한 텐셀 직물의 개질기능화(II) - 염색성의 변화 - (Modification of Tencel Fabric Treated with Chitosan( II ) - Change of Dyeing Properties -)

  • 육은영;배현숙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0
    • /
    • 2002
  • Tencel fabric cationized with chitosan can be effectively dyed with anionic dye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dyeing properties of cationized Tencel fabric, some experiments were performed under the several dyeing conditions with acid and reactive dyes. Whiteness index de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crosslinking agent concentration. The cationized Tencel fabric was dyed well by anionic dye such as acid dye, the dyeability of reactive dye was improved by addition of a little salt without alkali. The dye fixation on the cationized Tencel fabric was increased with chitosan concentration without electrolyte and alkali. The dyeability of Tencel treated with chitosan was better than controlled Tencel, especially under the acidic condi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he types of functional group of reactive dyes, dye affinity of the modified Tencel fabric varied and wash fastness of acid dye was better than reactive dye.

키토산처리에 의한 텐셀 직물의 개질기능화(I) - 물성 변화를 중심으로 - (Modification of Tencel Fabric Treated with Chitosan ( I ) -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

  • 배현숙;육은영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26
    • /
    • 2002
  • Chitosan has reactive amino and hydroxyl groups which can be used to chemically alter its properties under the mild reaction conditions. Thus the cationization of Tencel with Chitosan is effective to modify the fabric. To investigate the modified properties of Tencel fabric, the tests were performed under the several finishing process with enzyme/glutaraldehyde/soften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encel which has the structure of cellulose II wasn't changed by enzyme, chitosan and crosslinking agent treatment and the thermal stability was improved by chitosan and crosslinking agent treatment. Wrinkle recovery angle under the dry condition increased highly until $0.1\textrm{mol}/\ell$ of glutaraldehyde concentration, and then decreased. Tensile strength of modified Tencel fabric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weight loss, but it was improved more or less by chitosan, crosslinking agent and softener. Moisture regain was improved by enzyme and chitosan treatme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showed nearly 100% on Tencel fabric treated with 0.5% chitosan and adsorption of metal 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chitosan concentration.

키토산-아스코베이트 처리 과메기의 식이가 정상 흰쥐의 혈청지질과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tosan-Ascorbate Treated Kwamaegi on Serum Lipid Profiles and ROS-Related Enzyme Activities in Rats)

  • 김도균;김재원;오승희;이상일;김미정;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87-995
    • /
    • 2009
  • 440 kDa의 키토산을 아스코르브산 0.05% 용액에 교반시켜 만든 CA 용액에 과메기를 침지한 후 냉풍 제습 건조한 과메기(CAK)와 자연 건조한 과메기(NPK)를 각각 동결 건조하여 식이에 5%씩 첨가한 식이를 5주령의 SD계 흰쥐에 6주간 급여하였을 때 혈청지질함량과 활성산소종(ROS) 관련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식이 효율 및 간장, 신장, 심장, 고환 등의 장기 중량 비율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중성 지질, 총콜레스테롤 함량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HDL- 콜레스테롤 함량은 과메기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군(NC군), NPK 군 및 CAK군에서 각각 62.00, 48.01 및 71.84 mg/dL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각각 34.98, 57.49, 35.17 mg/dL로 CAK군이 다른 두 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동맥경화지수도 각각 0.80, 1.49, 0.68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각 군의 total XOD (xanthine oxidoreductase) 활성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XOD O type의 활성은 NPK군에서 NC군보다 높은 활성을 보이는 반면 CAK군은 NC 및 NPK군보다 21~45% 낮았다. 간조직의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CAK군이 NC 및 NPK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GST(glutathione S-transferrase)의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혈청 ALT의 활성은 NC군에 비해 NPK군에서 증가하였으나, CAK군은 NC군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AK군은 NC 및 NPK군에 비하여 간조직 내의 GSH(glutathione) 함량은 높은 반면 LPO(lipid peroxide)함량은 낮았다. 이상의 결과 CA처리 냉풍 제습 건조 과메기는 자연 건조 과메기에 비하여 높은 혈중 지질 개선 효과와 더불어 체내 ROS 생성계 효소 활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소거계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산업적 활용성이 기대되며, 일반 성분 분석을 통한 자연 건조 과메기와 CA처리 냉풍 제습 건조 과메기의 일반 성분 차이 및 기능성 물질의 연구는 추후 당면 연구과제이다.

  • PDF

Chitosan-polyurethane 혼합 용액으로 처리된 직물의 태 연구 - 면, 폴리에스터, 나일론 직물의 열 Curing - (A Study on the Hand of the Fabrics Treated with Chitosan-polyurethane Mixture Solution -Thermal Curing of Cotton, Polyester, and Nylon Fabrics-)

  • 곽정기;전동원;김종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997-1007
    • /
    • 2005
  • The textile finishing methods utilizing chitosan have been mostly focused on the applications in the improvement of the dyeing of cotton fabrics, or the improvement of hand of the cotton or wool fabrics.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application examples in the synthetic fiber fabrics including polyester and nylon fabric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iffness and the poor wash fastness of the fabrics treated only with chitosan. We tried to improve the softness by employing chitosan and polyurethane mixture solution and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chitosan from the fabric. The treatment was applied to cotton, polyester, and nylon fabrics. The change of the properties of the treated fabrics were investigated. The optimum finishing condition was sought by changing the mixture ratio of the chitosan/PU(polyurethane) solutions. The adjusted ratios of the chitosan/PU solutions were 1 : 0, 1 : 0.25, 1 : 0.5, and 1 : 2 during the mixture solution preparation. Using the KES(Kawabata Evaluation System),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nished fabric specimens were analyzed, and hand values of the specimens were calculated through the use of translational formulas. Accord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fibers, chitosan solution or chitosan/PU mixture exhibited wide range of coating effect. Since the chitosan acid solution has high polarity, the bonding force with the cotton fibers is high. By the appropriate addition of PU in the chitosan treatment of cotton, KOSHI and HARI values of the fabric improved. The air permeability of the chitosan/PU treated cotton fabric specimen improved, resulting in the highest value at the mixture of chitosan : PU=1:0.25.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Different Edible Coating Materials on the Storability of 'Bing' Sweet Cherries

  • Park, Su-Il;Zhao, Yanyun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5-61
    • /
    • 2006
  • 'Bing' 체리 (P. avium L.)는 짧은 저장성을 가지는 신선 농산물로, 코팅에 의한 저장성 향상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네 종류 ($Semperfresh^{(R)}$, calcium caseinate, chitosan, or TIC $Pretested^{(R)}$ colloid 911)의 식이성 코팅 재료를 1% 농도로 체리에 코팅 처리 한 후 $2^{\circ}C$, 88% 상대습도 조건에서 35일 간 저장하며 코팅 물질에 따른 저장성 및 품질변화를 확인하였다. $Semperfresh^{(R)}$ 코팅은 체리의 전반적인 품질 및 저장성 향상에 기여하였는데, 무게 감소를 줄이고 표면 색변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키토산을 기본으로 하는 코팅은 저장 중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colloid 911 과 calcium caseinate를 이용한 코팅은 신선 체리의 저장성 향상에 기여하지 못했는데, 이들 친수성 코팅 물질의 경우, 체리의 표피층과 코팅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체리의 자연적인 보호층인 큐티클 층이 영향을 받음으로 체리의 무게 감소가 저장 기간 중에 촉진되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다이옥신 처리에 대한 키토산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hitosan on the Lipid Metabolism in Treated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in Rats)

  • 황석연;양진배;장철수;김태업;이형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782-787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chitosan on lipid peroxidation and key lipid parameters in Sprague-Dawley rat (SO rat) accutely exposured to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Male SO rats received single intraperitoneal (ip) injection of TCDD (40 j.lg/kg), and were given diet containing 3 or 5% chitosan for 4 weeks from 1 week before TCDD treatment. The gain in body weight was less in group treated with TCDD than in CON group, while that of Ch/H+ TCDD group (5% chitosan diet) increased. The decrease in liver and testis weight caused by TCDD was prevented by high dietary intake of chitosan (5% chitosan).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 and LDL-C) and liver lipid parameters (total lipi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CDD-induced rats, but these parameters excluding HDL-C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high dietary intake of chitosan (5% chitosa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tosan is believed to be a possible protective effect against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in rat.

African marigold(Tagetes erecta L.) 생화(生花) 추출물(抽出物) 염색(染色)에서 염욕(染浴)의 pH, 매염제(媒染劑,), Chitosan 처리(處理)가 섬유소섬유(纖維素纖維)의 염색성(染色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Dyeing Bath, Mordant and Chitosan Treatment on the Dyeing of Natural Cellulose Fiber Using African Marigold(Tagetes erecta L.) Petals Extract)

  • 김경선;전동원;김종준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1호
    • /
    • pp.136-148
    • /
    • 2007
  • African marigold is a common plant easily available in many flower beds. It has been reported as a practical and prospective resource of dyes since the dyes can be extracted from their bodies as well as petals. In this research, cotton and ramie fabrics which are made from natural cellulose were dyed using the extract of the African Marigold which is a variety of marigold. Dyeing tests were carried out under different pH of the dye solution and mordants. Dyeability was evaluated by examining and measuring surface color, K/S value, and the changes in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The probability of improving dyeability was investigated by pre-mordanting with pre-treated chitosan. For the dyeing with marigold extract, the color tone did not differ by pre-mordanting and non-mordanting. Reaction with post-mordanting was excellent, which was colored in various yellow series. The best dyeability was achieved in dye solution of pH 6.5-7.0 which is not conditioned. The largest K/S value and color difference were obtained in tin mordanting. The dye uptake was greatly increased in chitosan pre-treated mordanting compared with the post-mordanting without chitosan pre-treatment. Due to its high heat resistance, African Marigold extract is easy for dye extraction and dyeing, and its dyeability is excellent for natural cellulose fibers. Also, colorfastness was proved to be practically usable.

침수 및 대기 발아방식과 키토산 처리가 현미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rminating Types of Water-soaking & Air-exposure and Chitosan Treatment on Brown Rice Germination)

  • 이준;임기택;홍지향;이종욱;최영수;이양봉;최성문;정중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1권4호
    • /
    • pp.363-368
    • /
    • 2006
  • The effects of germinating types and treatments of acetic acid, water-soluble and water-insoluble chitosan on the germination ratio and sprout length of brown ric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treatment of 0.001% acetic acid improved the germination ratio and sprout growth of brown rice in the germinating types of a air-exposure method after water-soaking (Type II) and a repetitive method of water-soaking & air-exposure (Type III), not water-soaking method (Type I). The treatment of water-soluble chitosan with higher concentration caused higher germination ratio and faster sprout growth. The treatment of water-insoluble chitosan repressed the germination and the sprout growth of brown rice. The germination ratios of brown rice germinated by the Type III were higher than those by Type I and Type II for all the treatments of acetic acid and water-soluble & water-insoluble chitosan as more than 97% germination ratio. Also, the Type III method accelerated the sprout growth of brown rice compared with Type I and Type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