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콩 품종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22초

대두의 도복 양상 및 관련 형질 연구 (Relationship between Lodging and Agronomic Characters of Soybean Plant)

  • 박경열;한영희;송수현;김병현;이동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9-294
    • /
    • 1990
  • 초형과 내도복성이 다른 품종에 있어서 도복의 정도와 양상을 조사하고 도복과 관련된 형질들의 직ㆍ간접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3품종을 공시하여 3수준의 재식밀도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ㆍ분지수ㆍ절간장은 품종 및 재식밀도간에 각각 또는 상호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주경절수는 품종간 차이는 있었으나 동일 품종내 재식밀도간에는 광교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2. 도복양상은 팔달콩과 장엽콩은 비교적 소식에서는 뿌리도복, 밀식에서는 휨도복이 많았고, 광교에서는 휴폭 30cm까지는 뿌리도복과 휨도복이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휴폭 20cm에서는 휨도복이 현저히 많았다. 3. 팔달콩과 장엽콩에서는 도복과 경장 및 절간장은 정상관, 경엽생중 및 뿌리생중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경직경은 장엽콩에서만 부의 상관이 있었고 광교는 뿌리생중만이 도복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4. 도복에 대한 직접영향은 팔달콩과 장엽콩에서는 절간장이 가장 컸고, 도복에 약한 광교는 경엽생중이 가장 컸다. 5. 팔달콩과 장엽콩에서는 밀식일수록 휨도복이 많았고, 절간장은 도복과 정상관으로 도복에 미친 직접영향이 가장 큰 형질이었다.

  • PDF

콩씨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에 대한 콩 저항성품종 및 Race검정 (Studies on the Resistance and Races of Soybean-Cyst Nematode, Heterodera glycines, in Korea)

  • 김동근;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8-212
    • /
    • 1983
  • 콩씨스트선충의 방제를 위한 기초조사로서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공씨스트선충(Heteropera glycines)의 race를 검정하고 콩 장려 16품종들의 콩씨스트선충 race 5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리나라 콩 장려품종들 중에서 콩씨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 race 5에 대하여 저항성 을 나타내는 품종은 없었으나, 황금콩, 힐콩, 단엽콩 등이 비교적 선충의 증식이 적게되는 품종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일본에서 공씨스트선출에 저항성 품종으로 육성된 "동북태"(Kaiden)는 아주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며, 기국에서 감수성 판별품종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엽콩" (Essex)과 "힐공"(Hill)은 다른 품종보다 선충의 증식이 적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콩씨스트선충은 지역에 따라서 race가 다르게 나타났나. 전남 화순에서는 race 1, 경남 염산과 경기도 수원에서는 race 5 그리고 경북 선산에서는 새로운 "race c" 등 3개의 race가 검정되었다. 이 실험에서 우리나라에도 공씨스트선충의 race 1, race 5 및 race c가 있다는 것이 처음으로 밟혀졌다.

  • PDF

국내 육성 콩 품종의 논 재배에 따른 생육반응과 수량성 (Growth and Yields of Korean Soybean Cultivars in Drained-Paddy Field)

  • 김용욱;조준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61-169
    • /
    • 2005
  • 논 재배에 적합한 콩 품종을 선발코자 황금 콩 등 국내 육성 37개 콩 품종을 공시하여 품종간 생육반응과 수량성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토양수분함량이 높은 논에서의 콩 재배 시 생육단계별 콩 품종별 주요형질의 생육반응은 매우 다양한데, 특징적인 생육반응은 초기생육이 지연되거나 지하부의 발달이 늦은 반면 지상부가 과번무하여 T/R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품종간 수량성에 있어서도 팔도콩이 134kg/10a 그리고 도레미콩이385kg/10a 차이가 매우 컸다. 2. 생육초기인 V5 stage와 개화성기인 R2 stage의 엽면적은 지상부 및 지하부 건물중과 각각 고도의 상관관계 $(r=0.46^{**}\~0.91^{**})$를 보였으며, T/R율의 경우 V5 stage에는 지하부 건물중과 부의 상관관계$(r=-0.37^*)$를 보인 반면 R2 stage에는 엽면적$(r=0.46^{**})$과 지상부 건물중$(r=0.65^{**})$과 유의성 있는 상관 관계가 성립되었다. 3. 수량성은 100립중과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등숙율 포함한 V5 및 R2 stage에서 조사된 다른 형질과는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농업적 주요형질의 생육반응을 기초로 군집분석 한 결과 공시품종들은 크게 3개 군으로 구분되는데,동일 군의 품종들은 생육습성 등 유전적 유사성은 높았으나 수량성은 다양하였다. 5. Group 1에는 새올콩등 9품종이 포함되는데, 생육초기부터 개화성기까지의 생육이 늦은 반면, T/R율이 낮고 등숙이 양호하여 평균 257kg/10a의 수량성을 보인다. Croup 2는 팔도콩 등 12품종이 포함되는데, 지상부의 생육이 과번무하여 T/R율이 높고 등숙이 불량하여, 평균 230kg/10a의 수량성을 보였다. Croup 3에는 진품 콩 등 16품종이 포함되는데, 대부분 중만생종이며, $V5\~R2$ stage의 생육이 왕성하고 T/R율은 비교적 낮고, 등숙울 또한 비교적 높아 평균 수량성이 270kg/10a로 가장 높았다. 6.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Group 3에 속하는 품종 또는 $301\~385kg/10a$의 높은 수량성을 보이는 신팔달콩2호, 소호콩, 도레미콩, 금강콩, 부광콩, 다장콩 및 검정콩2호 등의 품종을 선별하여 재배한다면 논의 적정 경지면적 유지에 의한 국내 쌀 수급안정 및 안정적인 콩 자급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콩나물콩 품종에 따른 콩나물 및 콩나물 무침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and Cooked Soybean Sprouts by Cultivars)

  • 김미리;김혜영;이근종;황용수;구자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66-272
    • /
    • 1998
  • 콩나물콩 품종 8가지를 5일간 재배하면서 생장특성 및 성분조성과 조리방법중 무침으로 하였을때의 질감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성장량이 큰 품종은‘이리 3호’와‘준저리’이었고, 수율이 높은 품종은‘눈점박이태’와‘준저리’이었다. Vitamin C함량은‘준저리’에 가장 많았으며, 아미노산 조성중 aspartic acid 와 glutamic acid 함량은‘푸른콩’과‘준저리’에 많았다. 콩나물 무침의 관능적 특성에서 감칠맛, 고소한 냄새와 맛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비린내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는 품종은‘준저리’이었다. 관능적 질감특성에서 경도가 가장 높은 품종은‘이리 5호’이었고 부서짐성이 큰 품종은‘준저리’이었으며 , 씹힘성이 큰 품종은‘익산 나물콩’이었다. 전체적인 맛과 질감에 대한 수용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품종은‘푸른콩’이었고, 그다음이‘준저리’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콩나물 무침에 가장 적합한 품종은 생장량과 수율, vitamin C함량, 아미노산조성 및 관능적 특성에서 우수함을 나타낸‘준저리’로 사료되었다.

  • PDF

콩의 발아 전 침종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Germination by Treatment of Soaking on Germination of Soybean)

  • 조성우;김태선;권수정;;이철원;김홍식;우선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23-137
    • /
    • 2015
  •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콩 품종 90개에 대하여 종자의 발아 전 침종처리에 따른 발아능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수량과 침종일수에 따른 콩 종자의 발아력은 침수량이 증가하고, 침종일수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는데, 침수량 90ml와 3일간 침종에서 품종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종자의 수분흡수는 침종 후 6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한 후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24시간 이후부터는 줄어들었는데, 나물콩의 수분 흡수가 가장 낮았고, 밥밑콩의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다. 용존산소량은 침종 후 3시간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는데, 풋콩 및 올콩은 침종 3시간 후부터 용존산소량이 가장 낮았으나 24시간이후에는 다른 용도의 콩에 비해 높아졌다. 전기전도율과 TDS는 침종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풋콩 및 올콩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장류콩, 밥밑콩이 높았으며 종자의 크기가 작은 나물콩이 가장 낮았다. 침종 후 발아율이 높은 품종은 장류콩에서는 장수콩, 나물콩에서는 소백나물콩, 밥밑콩에서는 선흑콩, 그리고 풋콩 및 올콩에서는 선록콩이었으며, 발아율이 낮은 품종은 장류콩에서는 익산과 송학콩, 나물콩에서는 방사콩, 밥밑콩에서는 진율콩, 풋콩 및 올콩에서는 신록콩이었다. 전기전도율과 TDS가 낮은 품종들은 발아율이 높았고, 높은 품종은 발아율이 낮은 경향이었다. 종자의 수분흡수가 낮은 품종들은 발아율이 높아 수분흡수와 발아율은 부의 상관이 있었다. 종자의 무게가 높은 품종은 전기전도율과 TDS가 높았으며, 종자의 무게가 낮은 품종은 전기전도율과 TDS도 낮아 정의 상관이 있었다.

콩 조기파종이 Isoflavone 함량 및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rly Soybean Seeding on Isoflavone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 김종혁;장미하;남주희;노일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242-252
    • /
    • 2022
  • 콩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주요한 공급원으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기후온난화가 가속되는 시점에서 콩의 파종시기를 달리 하였을 때 콩 품종별 단백질, 아미노산, 항산화물질 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기 파종에 따른 isoflavone의 함량은 파종시기별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품종별로는 속이 푸른 청자 5호, 소청자, 비린내가 없는 진양콩, 나물콩인 풍산, 소원과 같은 기능성 콩에서 isoflavone의 함량이 일반 재배콩에 비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종별 파종시기에 따른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함량변화는 파종시기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적기파종보다 단백질과 아미노산 함량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일부 품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품종에서 조기파종의 경우 proline의 함량이 가장 높아 조기파종에 따른 스트레스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려품종 콩을 이용한 메주 및 된장 품질 특성 (Quality of 4-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for Meju and Doenjang)

  • 이가순;이주찬;이종국;황의선;이승수;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5-211
    • /
    • 2002
  • 국산 콩 재배를 장려하고 메주 및 된장가공용으로 적합한 우수 콩품종을 선발하고자 충남도내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대원, 소담, 진품 및 황금 콩을 이용하여 메주 및 된장을 제조한 후 품종간 품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료 콩들의 일반성분 중 조지방은 16.89~19.31%, 조단백질은 26.7~30.5%,이었고 품종별 총 유리당 함량은 4.99~5.26%로 주된 유리당은 stachyose으로서 2.59~3.51%를 함유하고 있었고 그 다음은 raffinose와 sucrose순이었다. 메주의 조지방은 16.2~21.0%로 황금콩이, 조단백질은 32.2~36.4%로 대원과 소담콩이, 가용성 무질소물은 23.5~26.62%로 진품콩이 각각 함량이 높았으며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266~371 mg%로 대원콩이 가장 높았다. 메주의 총 유리당은 2.10~2.66%로 주된 유리당은 glucose이었으며 대원콩이 유리당함량이 높았다. 메주덩어리의 색도를 본 결과 황금콩이 밝기가 가장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대원콩과 황금콩이 높았고 황색도는 소담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메주를 분쇄하여 메주분으로 조사한 결과 소담콩이 자기값이 가장 높았고 적색도가 가장 낮았으며 황색도는 황금콩이 가장 높았다. 발효된장의 조지 방은 7.90~9.71%로 진품콩이, 조단백은 9.67~13.50%로 대원콩이, formol태 질소함량은 2739~3825mg%로 소담콩이, 조사포닌 함량은 6.88~3.36%로 대원콩이 각각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총유리당 함량은 1.88~2.22%으로 황금콩이 가장 높았으며 된장의 주된 유리당은 fructose와 glucose이었다. 된장제품의 색도 중 밝기와 황색도는 소담콩이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는 황금콩이 가장 높았다 된장제품의 관능검사결과 소담콩이 색깔면에서는 우수하였으나 맛,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볼 때 황금콩이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나물용 콩의 재배시기에 따른 수분흡수율과 발아율 (Water Absorption and Germination Ratio of Sprout-soybean Varieties Affected by Different Planting Date)

  • 김학신;김홍식;김경호;오영진;서석기;박호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32-135
    • /
    • 2005
  • 나물용 콩 6품종의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 원료콩의 수분흡수율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실 수분흡수율은 파종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간에는 한남콩은 높았으나 다른 품종들은 큰 차이가 없었다. 발아율은 5월 25일 파종보다 늦어질수록 높았고, 품종간에는 풍산나물콩, 은하콩, 도레미콩과 소명콩이 치상 2일 후 $90\%$이상 이었으며 다원콩과 한남콩은 낮았다. 일반적으로 종자의 발아율 검정은 치상 후 7일간 조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콩나물 원료콩의 발아율 검정은 $25{\pm}1^{\circ}C$에서 3일간의 발아율로 함이 적합하다 하겠다.

아황산가스에 대한 주요 콩 품종간의 내성 비교 (Varietal Responses of Ten Soybean(Glycine max L.) to Sulfur Dioxide Tolerance : A Comparison of Foliar Injuries and Yields in Relation to Physiological Properties of Leaves.)

  • 박기선;구자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55-463
    • /
    • 1996
  • 아황산가스에 대한 주요 콩 품종들의 내성을 비교하고자 10개의 국내장려품종을 택하여 pot에 재배하고 밀폐된 chamber내에서 2.0ppm 의 아황산가스에 4시간 또는 8시간 처리하였다. 아울러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가시피해율과 엽록소 함량, 효소활성 및 기공 저항성 등의 생리적 특성과 내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황산가스에 대한 내성은 콩 품종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4시간 처리시 가시피해율은 보광콩, 장수콩, 장경콩에서 낮았고 은하콩, 팔달콩에서 높은 피해를 보였다. 8시간 처리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피해율이 높게 나타나 피해정도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았다. 2. 피해율과 생리적 특성과 관계는 4시간 처리에서 피해율과 SOD 활성간에 상관$(r=-0.611^{\ast})$이 인정되었으며, 엽록소 함량, POD 활성, 기공저항성등은 내성과의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3. 아황산가스에 의한 피해는 경장(莖長), 절간수(節稈數) 및 100립중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건물중, 협수(莢數) 및 총립수에는 영향이 컸다. 수량 감수율은 보광콩, 장경콩에서 적었고 은하콩, 팔달콩에서 크게 나타났다. 4.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과 수량과의 관계는 피해율이 가장 컸던 팔달콩에서는 $Y=-1.17X+98.82^{\ast\ast}$, 피해율이 가장 적었던 보광콩에서는 Y=-0.165X+94.93의 회귀를 보였다.

  • PDF

콩 품종, 파종시기 및 작부체계가 콩 불마름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rs, Sowing Date and Cropping System on the Development of Soybean Bacterial Pustule in the Field)

  • 홍성준;김용기;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지형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73-787
    • /
    • 2014
  •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생하는 콩 불마름병은 콩을 재배하는 많은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콩 불마름병 발생 억제를 위한 저항성품종, 파종시기, 작부체계에 대한 효과를 포장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0여 품종을 자연 감염된 포장에서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푸른콩 등 14품종이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30여 품종이 병반면적률 3% 이하의 중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불마름병 감수성 품종인 태광콩을 5월 25일, 6월 5일, 6월 15일, 6월 25일 등 10일 간격으로 파종시기를 조절하여 병반면적률을 조사한 결과 23.3%-25.7%, 14.7%-18.0%, 10.7%-12.8%, 1.0%-2.7%의 발생을 각각 확인하였다. 불마름병 발생이 가장 낮은 처리구는 6월 25일 파종구였으며, 발생이 가장 심한 처리구는 5월 25일 처리구였다.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불마름병 발생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6년 1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5개의 콩-동계작물 작부체계의 토양을 채집하여 불마름병 병원균의 생존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작부체계에서 병원균이 검출되었으며 콩-보리 작부체계와 콩-마늘 작부체계의 병원균 밀도가 다른 작부체계보다 생존밀도가 낮았다. 더욱이 두 개의 작부체계는 콩 불마름병 발생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