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 칼로리미터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3초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프로필렌/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 (Flame Retardancy of Polypropylen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with Halogenated Flame Retardants)

  • 이종훈;나중현;이대회;김명덕;공정호;이영관;남재도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69-575
    • /
    • 2003
  •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PP)과 무기나노입자인 몬모릴로나이트 (MMT)의 나노복합재료에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 데카브로모다이페닐옥사이드 (DBDPO)와 클로로파라핀 왁스 (CPW)를 철가하였을 때의 난연특성 향상에 대해 실험하였다. 고분자 수지의 난연특성은 난연제의 첨가뿐만 아니라 나노복합화를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는데, 콘 칼로리미터와 한계산소지수 (LOI)의 측정을 통하여 난연제와 무기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른 폴리프로필렌/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 DBDPO와 CPW를 첨가하였을 때, 난연특성이 2배 이상 향상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CPW가 DBDPO보다 약간 우수한 난연특성을 보였다. 한계산소지수 측정결과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를 첨가하면 폴리프로필렌의 연소특성이 가연성 영역 (LOI<19)에서 난연성 영역 (LOI>20)으로 전이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에 몬모릴로나이트를 첨가하여 나노복합화를 하였을 때의 난연특성이 3배 이상 향상되었는데, 이로부터 난연제를 단순히 혼합하는 것보다 몬모릴로나이트를 나노복합화한 후 난연제를 첨가하는 것이 난연특성의 향상에 휠씬 유리하였다.

암모늄염 처리 베니어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racteristics of Veneers Treated by Ammonium Salts)

  • 정영진
    • 공업화학
    • /
    • 제18권2호
    • /
    • pp.194-198
    • /
    • 2007
  • 실온에서 베니어에 ammonium chloride, ammonium sulfate, monoammonium phosphate, 그리고 diammonium phosphate와 같은 암모늄염으로 도포하고, 도포된 베니어의 물리적 성질과 가연성을 조사하였다. 암모늄염로 처리된 베니어의 가연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ISO 5660-1 표준에 따른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베니어의 열방출율을 측정하였다. 암모늄염으로 도포된 베니어판은 미처리된 순수 베니어판에 비하여 가연성을 감소시켰다. 도포된 베니어의 flashover 가능성은 R. V. Petrella에 의한 분류 방법에 따라서 착화시간과 최대열방출율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비중측정 결과 ammonium sulfate로 처리한 베니어의 비중만 미처리 베니어보다 더 높았다. 또한 암모늄염으로 도포된 베니어는 무처리된 순수 베니어보다 낮은 평형함수율을 보였다.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에 수산화마그네슘을 첨가한 복합체의 연소성 (Combustive Properties of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Ethylene Vinyl Acetate Composites Including Magnesium Hydroxide)

  • 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69-75
    • /
    • 2011
  • 수산화마그네슘을 첨가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복합체의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에 수산화마그네슘을 40~80 wt% 첨가하여 용융 혼합하고 성형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수산화마그네슘을 첨가한 시편은 첨가하지 않은 시험편에 비하여 그의 플래시오버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이것은 순수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에 첨가한 수산화마그네슘의 흡열 분해 때문에 연소 억제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수산화마그네슘을 첨가한 시험편은 첨가하지 않은 시험편에 비해 낮은 총열방출량과 낮은 CO 발생량을 나타내었고, 수산화마그네슘 함량이 증가할수록 총연기발생량과 비소화면적이 감소하였다.

암모늄염으로 처리된 리기다 소나무의 연소특성 (Combustive Characteristics of Pinus Rigida Treated with Ammonium Salts)

  • 정영진;진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15-121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암모늄염을 처리한 리기다 소나무의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실온에서 3종류의 암모늄염 즉, 황산암모늄, 제1인산암모늄, 그리고 제2인산암모늄의 20wt% 수용액에 각각 리기다 소나무를 함침시켜 건조시킨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그의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암모늄염으로 처리한 시험편은 처리하지 않은 시험편에 비하여 그의 연소성을 감소 시켰다. 이것은 연소 억제성이 순수 리기다 소나무 시험편에 처리한 암모늄염 때문에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암모늄염으로 처리한 시험편은 처리하지 않은 시험편에 비해 낮은 최대열방출률과 낮은 총방출열량을 나타내었다.

난연처리된 소나무와 잣나무의 연소특성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Treated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 최정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44-2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잣나무(Pinus Koraensis)에 대한 연소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두 수종은 한옥의 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체적밀도는 소나무가 잣나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고 있다. 목재의 연소특성은 해당 수종의 체적밀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방염성능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를 확인하기는 어려웠지만 콘칼로리미터 시험방법에 있어서는 총 방출열량, 평균 열방출률 비교를 통하여 목재 수종의 체적밀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CO/$CO_2$의 비로부터 알 수 있는 연소가스의 유해성은 난연처리에 의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사용 목재의 연소 특성 분석(I) (Combustion Properties of Woods for Indoor Use (I))

  • 손동원;강석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75-681
    • /
    • 2014
  • 최근 친환경 재료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사용목재의 이용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내사용 목재의 내화성 부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열특성 분석에 그 목적이 있다. 열방출률과 열방출량, 가스발생량, 중량감소 등의 연소성질을 열중량 분석(TGA) 및 콘칼로리미터(KS F ISO 5660-1)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목재의 재질적 특성은 연소적 특성으로 발현되었으며, 열적성질과 연소가스 발생량과의 관계는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탄화층 형성에 의한 연소억제 효과도 수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총열방출량과 중량감소량은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점화시간과 총열방출량 등의 자료는 목재의 내화성능부여 등의 기초 자료로서 매우 중요하리라 판단되었다.

산불에 따른 $CO_2$ 배출량 분석 연구 - 참나무 대상으로 - (A Study on Analysis of Carbon Dioxide Emission by Forest Fire - Quercuss Species -)

  • 박영주;이해평;김민중;김해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36-440
    • /
    • 2011
  • 본 연구는 산불발생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을 위한 기초 data 제공에 주안점을 두고 산림연료를 대상으로 연소실험을 수행하였다. 연료의 대상은 참나무(굴참, 떡갈, 신갈, 갈참, 졸참, 상수리)를 대상으로 부위별(생엽, 가지, 수피) 채취하여 사용하였으며,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CO_2$ 배출량을 분석하였다. 중량 50g의 연료 기준에 대한 $CO_2$ 배출량은 생엽 42.38~95.41g, 가지 82.92~113.10g, 수피 72.64~100.70g 정도 범위에서 $CO_2$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위별 평균배출량을 살펴보면, 생엽 72.10g, 가지 101.88, 수피 86.46g 정도의 값을 보여 가지부위가 가장 많은 $CO_2$를 배출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CO_2$를 상대적으로 많이 배출한 수종으로는 상수리나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층건물 피트실 배관보온필름의 화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characteristic of pipe insulation film materials in the pit room of the skyscraper)

  • 이영삼;김진수;장재순;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7-10
    • /
    • 2012
  • 최근 고층건물 화재의 대표적 사례인 부산 해운대 우신골드스위트 주상복합건물 화재 확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던 석유화학제품 중 배관보온재를 감싸고 있는 보온필름의 화재특성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본 화재결과 배관보온필름이 화재취약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명확한 법적규제가 없는 것과 시공비 절감을 위해 대부분의 공사업자들은 비난연제품으로 시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잘못된 시공으로 인한 위험성을 알리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국내에서 생산된 마감용 배관 보온필름 네 종류를 사용하여 화재특성을 분석하였다. 네 종류 중 두 종류는 난연성능이 있는 제품이고 나머지 두 종류는 난연성능이 없는 제품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은 제품의 열방출률을 알기위해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하였고 또한 실제 피트 내에 배관보온필름 화재를 묘사하기 위해 45도연소시험기를 사용하여 연소실험을 하였다.

  • PDF

실물화재 실험을 통한 난연 EPS샌드위치패널의 난연성능 평가 (The Study on Brilliant Performance Appraisal of The EPS Sandwhich Pannel Leads an Actual Fire Test)

  • 최기영;김병선;오재훈;박선영;박효석;문종욱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57-60
    • /
    • 2011
  • EPS패널의 열방출율과 가스유해성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그 동안의 시험 결과는 KSF ISO 5660-1(콘칼로리미터) 시험규정에 의한 소형시편을 이용한 것으로 난연제의 과다투입 또는 심재의 변형이 쉬워 결과를 신뢰하기 힘들고 실제 생산되는 크기의 샌드위치패널의 난연성능을 판단하기 힘들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실물화재시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난연 EPS샌드위치패널과 일반EPS샌드위치패널의 실물화재 실험결과 난연EPS샌드위치패널은 기타재료의 샌드위치패널과 열방출율, 연기발생율, 부분별 온도분포, 플래시오버등과 같은 난연성능이 EPS샌드위치패널과 우레탄폼패널보다 우수하며, 글라스울과 비슷한 성능을 나태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래서 시공성, 경제성 등의 EPS샌드위치패널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며 난연제의 코팅법을 통해 우수한 난연성능을 확보하였다.

  • PDF

건축외장용 접착제의 발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eat Release for Structural Adhesives)

  • 이해평;박영주;황미정;양영숙;유재열;이미리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97-400
    • /
    • 2011
  • 건축외장용 접착제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를 용도별로 선정하였으며, 접착제의 종류는 스티로폼용, 목공용, 석재용, 타일용, 창호전용 등 총 5가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외장용 접착제를 대상으로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발열특성을 알아보았다. 실험 조건은 ISO 5660 규격에 맞춰 각각의 접착제를 100 mm${\times}$100 mm 크기의 성형틀에 굳힌 다음 복사열 50 $kW/m^2$의 조건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건축외장용 접착제의 연소특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연구결과는 각각의 화재위험 정도를 분류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