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커피재배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베트남 닥락지역의 커피재배와 토지유동성 (Development of Coffee Production and Land Mobility in Dak Lak, Vietnam)

  • 김두철;쯔응 쾅 호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9-371
    • /
    • 2013
  • 베트남은 세계 2위의 커피 수출국이며, 베트남의 커피의 약 32.4%는 상업작물 재배 중심인 닥락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 커피는 닥락성(省)의 주요 수입원이며, 2010년 현재 닥락성(省) 전체 수출액의 약 85%를, 또 베트남 전체 수출액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닥락지역 커피생산의 급속한 성장은 닥락성(省)과 커피재배 농가에게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안겨주었지만, 동시에 해당지역의 원주민인 소수민족과의 토지분쟁을 비롯하여 적지않은 문제점도 노정시켰다. 이 연구는 먼저 닥락지역에서의 커피재배 개발이 지역의 토지유동성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 이러한 토지유동성 증가가 두 그룹의 지역주민 (베트남 주류민족인 킨족과 소수민족) 간의 생업에 미친 영향에 관해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닥락지역에서의 커피재배 개발은 사실상의 개별적 토지소유를 촉진하고, 이는 킨족 이주자들의 토지 점유가 증가함에 따라 소수민족 원주민들의 관습적 토지이용을 무시하는 과정에서 강화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베트남 닥락 지방의 커피 생산과 변화, 그리고 의미 (The Coffee Production and Change, and the Implications in Dak Lak, Vietnam)

  • 이상율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89-407
    • /
    • 2013
  • 본 연구는 베트남의 도이모이 정책 이후 국제시장에서 베트남의 커피 산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면서, 그 지역의 커피 생산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어왔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초점은 어떠한 내부 및 외부적인 영향 하에서 커피 재배 농가구 측면에서 커피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조사한다. 베트남의 주요 커피 산지인 닥락(Dak Lak)지역에서 커피 생산을 둘러싼 주요 관계성이 생산 및 판매에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를 사례지역의 현장 답사에 의해 조사되었다. 먼저 닥락 지역의 커피 생산의 일반적인 현황을 중심으로 커피 생산 과정의 주요 특징이 파악된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이 지역의 커피 생산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커피 재배 농민의 반응이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는 이 지역에서 커피 생산은 시장 지향적 및 외부적인 영향 하에서 커피 생산의 변화가 있다는 것이 커피 가격의 변화 및 작물 다변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며, 아울러 환경 친화적인 커피 생산의 흐름을 규명하였다.

  • PDF

베트남의 지속가능한 커피 프로그램과 그 성과 (Sustainable Coffee Program and its Achievement in Vietnam)

  • 이상율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43-359
    • /
    • 2016
  • 최근 베트남에서 생산된 커피의 농가 단위에서 커피 가격은 상당히 불안정하다. 커피 재배 면적의 증가와 세계 시장에서 가격 변동에 따른 커피 가격의 등락은 실질적인 농가 소득의 감소로 이어지게 되었다. 또한 세계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인증 커피의 선호로 커피 관련 기업에 의한 보다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커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지속가능한 커피 생산은 베트남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차원에서도 큰 흐름이 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커피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이 베트남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인증체제의 도입으로 시작되었고, 보다 본격적인 확대는 정부 및 민간의 협력체제에 의해서 '지속가능한 커피 프로그램(Sustainable Coffee Program)'의 실시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관심은 닥락 성에서 그 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그리고 그 프로그램 시행의 결과와 그 '지속가능한 커피 프로그램'이 커피 생산과 환경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기여하였는지를 파악한다. 끝으로 지속가능한 커피 생산에 참여 농가와 비 참여 농가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닥락 성에서 전개된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의 실체적인 측면을 이해하고자한다.

  • PDF

품질에 의한 커피 원두의 분류

  • 김종욱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1권4호
    • /
    • pp.93-96
    • /
    • 2008
  • 커피원두의 품질평가는 커피가 생산되는 나라마다 규격이 다르고 매우 다양한 원두가 생산되고 있어 오랜 기간 동안 숙련을 거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작업이다. 원두의 품질을 제대로 평가할 능력이 없을 경우 저가의 원두를 고가를 지불하고 구매하는 경우도 발생하며 일정한 품질의 원두를 구매할 수 없어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없게 되므로, 커피 제조업체에서는 원두 품질평가자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커피가 재배되는 산지에서는 커퍼(Cupper)라고 불리는 품질평가자들이 엄청난 양의 품질을 평가하고 가격을 결정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 PDF

베트남 중부고원지대 커피농가의 사회경제적 격차: 민족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Socio-Economic Differentials along the Ethnic Line among Coffee Farms in Central Highland, Vietnam)

  • 정수열;이승철;조영국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60-377
    • /
    • 2016
  • 베트남 중부고원 지대는 1986년 개혁개방 이후 커피생산의 비약적 증대, 글로벌 커피시장과의 적극적 연계 등을 통해 베트남뿐만 아니라 세계 유수의 커피생산 지역으로 변모하였다. 중부고원지대 커피산업의 비약적 발전은 베트남 저지 주민의 대규모 유입과 맞물려 진행되었다. 그 결과 중부고원지대는 소수민족 중심 사회에서 저지 출신 주류 민족, 킨(Kinh)족 중심 사회로 변모하였다. 한편 커피산업의 발전은 중부고원지대 가족농의 사회경제적 격차 나아가 계층 분화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커피 재배 여부 및 커피재배에서의 생산성 격차가 그대로 사회경제적 격차로 발현되었다. 이 과정에서 민족간 사회경제적 격차 문제, 소수민족의 주변화 문제가 부각되었다. 민족간 사회경제적 격차는 단순히 커피재배 참여 여부만이 아니라 커피경영에 있어서 수익성 격차에 의해서도 나타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소수민족농가의 커피 경영에 있어서 상대적 저효율이 소수민족의 인적 자본 및 사회적 자본의 취약성과, 문화적 특성에 따른 상업적 농업 부적응 측면을 지적하였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여전히 생산성의 격차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메카니즘을 충분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수민족 원주민 커피농가와 다수민족 이주민 커피농가의 커피 생산 판매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커피소득 격차가 나타나게 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사례 연구로 닥락 성의 다수민족 이주민인 킨족과 소수민족 원주민인 에데(Ede )족 커피농가를 설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민족성은 커피농가간 토지생산성 격차를 설명하는 핵심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소수민족 커피농가의 낮은 생산성은 취약한 자본에 따른 조방적 경영, 부채 문제, 나아가 낮은 소득과 부채부담으로 인한 비효율적 판매전략-대표적으로 판매시기 조절-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그린커피교육 교과과정 기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urriculum standards model of Green Coffee Education)

  • 신혜경;백현기;안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03-122
    • /
    • 2013
  • 커피는 산지와 재배 환경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지고 결정되어지므로, 커피의 향미와 품질은 그린커피에서부터 시작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현재 커피교육은 커피 로스팅, 추출, 서비스 등의 바리스타 실무교육에만 주력하고 있고 그린커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교육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그린커피 교육을 위하여 교과과정을 계획하고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교과과정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전국의 커피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그린커피에 대한 인식 정도와 교육 현황을 살펴본 후 그린커피교육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였고, 또 현재 커피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그린커피교육의 필요성과 교육현황을 설문하였다. 또한 커피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하여 그린커피의 교육 방향 및 학습 요인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그린커피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였으며 교과명 및 학습 단원을 조직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 체계적인 교과과정을 제안하였다.

베트남 중부고원지대 커피재배지역의 확대와 토지소유관행의 제도화: 닥락성(省)을 사례로 (Expansion of Coffee Plant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ustomary Land Ownership - Case study of Dak Lak Province in Vietnam)

  • 김두철;쯔응 쾅 호앙;조영국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78-398
    • /
    • 2016
  • 이 논문은 베트남 중부고원지역의 닥락성(省)을 사례로 커피재배지역의 확대와 토지소유관행의 제도화 과정을 고찰하였다. 베트남은 세계 2위의 커피 수출국이며, 닥락 지역은 베트남 최대 커피 생산지이다. 이처럼 닥락이 커피생산의 중심지역으로 성장하면서 커피재배지를 확보하려는 경쟁도 심화되었다. 특히 국가권력이 새로운 토지소유권 제도를 도입하고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토지를 둘러싼 경쟁은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새로운 토지소유권 제도의 도입은 닥락지역 소수민족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가권력이 이 제도를 도입하기 이전, 소수민족에게 있어서 토지는 마을 공동체에 귀속되는 공유자원이었으며 배타적 권리의 대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새로운 토지제도가 도입되면서 토지는 배타적 권리를 보장받는 사적 자산으로 그 성격이 변화되었다. 따라서 소수민족이 가졌던 토지에 대한 관습적 권리는 새로운 토지제도의 틀 속에 재편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습적 토지소유의 제도화는 닥락 지역 전체에서 동일하게 전개된 것이 아니라, 통치체계의 중심지로부터의 거리와 토지자원의 가치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입지 그리고 자연 조건이 상이한 세 지역을 선정하여 변경에서의 통치체계의 확립과 관습적 토지소유의 제도화 과정이 소수민족의 일상적 저항(everyday resistance)에 따라 불완전한 양태로 전개되었음을 조명하였다.

  • PDF

배양액의 농도가 몇가지 품종의 치커리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trient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some cultivars of chicory (Cichorium intibus L. var. foliosum))

  • 박권우;원재희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3년도 봄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5-6
    • /
    • 1993
  • 치커리는 서구 유럽에서 중요한 서양 채소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커피대용으로 뿌리를 이용하는 치커리를 일부 지역에서 재배하고 있을 뿐, 아직 잎을 이용하는 샐러드용으로는 보급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앞으로 각광받을 엽채류로서 이에 본 실험은 수경재배를 통한 주년생산을 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몇가지 치커리 품종에 대한 적정 배양액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중략)

  • PDF

팽나무버섯 자실체 생산을 위한 기질개발 (Development of Substrates for the Production of Basidiocarps of Flammulina velutipes)

  • 송치현;이창호;허태린;안장혁;양한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2-216
    • /
    • 1993
  • 팽나무버섯 재배에 있어서 각종 임산 및 농산폐기물을 기질로 사용한 결과, 나왕, 미송, 혼합톱밥, 커피박 및 땅콩박 중에서 커피박이 가장 자실체 생산이 양호하였으며 영양첨가제로 사용된 미강, 맥주박, 옥수수박, 대두박 및 채종박 중에서는 옥수수박에서 자실체 생산량이 높았다. 커피박과 옥수수박의 4 : 1 혼합비에서 자실체 생산이 129.38 g/bottle로 최대를 나타내었다.

  • PDF

커피박 퇴비와 벨벳콩을 이용한 호박의 고구마 뿌리혹선충 방제효과 (Control Effect of Coffee Ground Compost and Velvet bean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 Pumpkin)

  • 김민정;심창기;김용기;홍성준;박종호;한은정;허창석;류영현;지형진;김석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7-55
    • /
    • 2016
  • 본 연구는 커피박 퇴비와 벨벳콩 식물체 분말 처리에 따른 고구마뿌리혹선충 살충효과를 평가하였다. 커피박 퇴비와 벨벳콩 식물체 분말 처리중, 1% 벨벳콩 식물체 분말 처리가 뿌리혹선충의 살충율이 8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내에서 호피무늬 벨벳콩 추출물 농도별로 처리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뿌리혹선충 유충의 치사율이 증가하였다. 호피무늬 벨벳콩 추출물 처리 24시간 후, 1.2%와 2.4% 농도에서 뿌리혹선충 유충의 치사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커피박 퇴비와 벨벳콩 식물체 분말 처리가 호박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더니 20% 커피박 퇴비 처리구는 호박 유묘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1% 호피무늬 벨벳콩 분말 처리구가 호박 유묘의 생육촉진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하지만 유기성 자원인 벨벳콩과 커피박 퇴비를 이용하여 유기농 호박 재배토양에서 발생하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처리농도와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