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캠퍼스 시설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19초

캠퍼스 금연정책이 대학생들의 캠퍼스 내·외 금연정책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Smoke-free Campus Policy on Receptivity of Campus and Government Smoke-free Policy among College Students)

  • 신성례;김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63-374
    • /
    • 2017
  • 본 연구는 금연 캠퍼스와 흡연허용 캠퍼스에서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캠퍼스 내 외 금연정책에 대한 수용성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대학 캠퍼스 금연정책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금연 캠퍼스와 흡연 허용 캠퍼스에서 재학하고 있는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캠퍼스 내 외 금연정책 수용성 변화를 탐색하기 위하여 입학 시인 2016년 3월에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9개월 후인 12월에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금연 캠퍼스와 흡연허용 캠퍼스 신입생들의 캠퍼스 내 금연정책에 대한 수용성은 입학 시와 9개월 후 조사된 자료를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연 캠퍼스에 재학하는 신입생들에서는 정부의 공공시설 금연정책에 대한 수용성이 변화되지 않았으나 흡연허용 캠퍼스에 재학하는 신입생에서는 정부의 공공시설 금연정책에 대한 수용성 정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 행정자들이 대학 내 보다 강력하고 일관된 금연정책을 채택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금연 캠퍼스 정책을 시행할 경우 대학의 캠퍼스 내 금연정책과 정부의 금연정책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국립대학(國立大學)의 캠퍼스 유형(類型)에 의한 대학시설(大學施設)의 특성(特性)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Institution by the Campus Types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 김종석
    • 교육시설
    • /
    • 제6권3호
    • /
    • pp.47-53
    • /
    • 1999
  • The study surveys the university institution of 57 national university campuses in order to estimat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national universities by the campus type.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 university institution floor area of the comprehensive type and mixed type campuses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type campuses. 2) The area ratio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attached facilities shows a lot of differences among the scientific and engineering type campuses. 3) The educational type campuses have enough the support facilities that is library, gymnasium and etc.

  • PDF

대학 캠퍼스에서의 다분할화의 배경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Multi-sected University Campuses)

  • 이상진;김기수;조용수
    • 교육시설
    • /
    • 제13권2호
    • /
    • pp.34-41
    • /
    • 2006
  • A multi-sected campus can be explained as an university to be consisted of several campuses, which are physically separate, but are functionally interconnected. The basic structure of university campuses started with a single-nuclei structure of which the facilities were layed out around a single campus core, and it has been changed to multi-nuclei layout, where a single campus core was subdivided into several service cores due to increased service demands. The limitation on the expansion of campuses due to urbanization of surroundings leads to the physical separation of the campuse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made it possible to connect physically-separate campuses to form the multi-sected campus. The thre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ulti-sected campuses were found; 1) the need for programatic specialization of each individual campus, 2) the need for representative imageability for each campus, 3) necessity for physical connectivity between campuses and functional independency for each campus.

한·일 국립대학 시설 기준 및 캠퍼스 면적 비교·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n the Facility Standards and Campus Sizes of the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and Japan)

  • 최형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3호
    • /
    • pp.1-15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교육제도적 측면에서 많은 유사성이 있으며, 대학입학자원 감소라는 문제를 한국보다 먼저 맞이하여 대응하고 있는 일본과 한국의 국립대학교 시설기준 및 국가수준의 대학시설 관련 정책, 실제 대학 캠퍼스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시설에 대한 양국의 국가 차원의 접근방식과 기본 철학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향후 대학 캠퍼스 계획 수립 시 주요 계획요소 및 개선방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주요 현안이나 이슈를 중심으로 한 개별 프로젝트별로 대학시설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일본은 5년마다 국립대학시설 관련 정비계획을 수립하여 종합적이고 중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국립대학시설 정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조사를 통해 본 양국의 대학시설 면적의 경우, 일본의 사례조사 대학의 평균 대학시설 면적이 한국의 사례조사 대학의 평균 대학시설 면적에 비해 약 5.6%, 일본의 학생 1인당 대학시설 면적이 한국보다 약 13%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대학시설의 전체 연면적도 한국보다 20.7% 정도 크고, 일본의 학생 1인당 대학시설 면적이 한국보다 56.7%가량 넓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지원시설 중 기숙사의 경우 한국의 기숙사 전체 층 면적이 일본보다 2.5배 넓었고, 기숙사 수용률은 한국이 일본보다 5.6% 높은 특징을 보였다. 셋째, 두 나라의 대학시설 기준 항목과 제도는 비슷하지만 학생정원 산정 방법, 계열구분, 교사 및 교지면적 산정 방식 등은 두 나라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캠퍼스의 안전을 위한 CPTED 운용전략 (Use Strategies of CPTED for the Safety of University Campus)

  • 박동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40-347
    • /
    • 2010
  • 대학은 교육 연구 시설과 장비 등 다양한 첨단시설이 집약되어 있는 공간이다. 이와 같은 물적 자원의 활용을 통해 학생들을 우수한 인재로 양성하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는 공간이다. 대학의 물적 자원은 토지, 건물, 시설의 집합체로서 첨단장비와 노후시설 등이 혼재해 있으며, 연구시설에서는 신제품의 개발, 시험, 신기술 실험연구 등의 활동으로 연구인력 양성의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교육 연구시설이 첨단화, 복잡화, 대형화 추세에 있어 인테리어 등 건축내장재, 기자재 등 가연물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연구실과 강의실 등 넓은 캠퍼스에 정원과 수목 등이 조성되어 있고, 많은 건축물에 교육 연구시설물과 기자재 등이 밀집되어 있다. 또한 교직원과 학생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다중이용공간으로서 전문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캠퍼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CPTED(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제 대학들은 학생들의 범죄피해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그 정책적 대안으로 캠퍼스 가로등의 조도를 높여야 한다. 이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치한 등 여학생들을 괴롭히는 성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된다. 또한, 범죄의 사각지대와 다발지역을 파악하여 도보순찰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대학 캠퍼스에서 각종 범죄예방을 위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CCTV와 민간경비의 활용을 고려할 수 있다.

대학교 캠퍼스 이미지 조성을 위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교문과 주변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osition Factors for Making-up University Campus Image - Focused on the Cates & Surroundings Facilities)

  • 문재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45-156
    • /
    • 2005
  • 대학교문은 그 대학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얼굴의 역할을 하며, 학교를 대표하는 주요 홍보시설이다. 특히 출입을 위한 일반적인 기능시설 이상의 비중을 지니는 상징물이다. 또한 대학캠퍼스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이어주는 매개물이며 공공성을 지니고 있는 조형물이므로 각 대학들은 교문의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과 차별되는 상징성을 추구하여 개성 있는 교문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들어 캠퍼스의 외부환경정비를 통한 일관된 대학 이미지의 정립을 위하여 대학의 옥내공간뿐만 아니라 옥외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시점에서 대학교문과 주변시설에 대한 연구는 바람직한 캠퍼스이미지 환경을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 104개 대학교 교문의 현장조사와 설문조사에 의한 실험연구를 통하여, 교문의 24개 유형분류와 5가지 형태적 특성, 8가지 상징적 특성 그리고 10가지 교문주변시설을 분석하였으며 그 구성요소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 PDF